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시설 공용공간의 유형별 공간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Spatial Structure of Public Space in School by Typ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101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교육시설은 급변하는 교육 제도와 사회적 흐름에 맞추어 큰 변화를 요구받는 시대적 변화에 직면해 있다. 한국의 교육시설은 이러한 흐름 앞에 학교공간혁신사업 등 정...

      (연구배경 및 목적) 교육시설은 급변하는 교육 제도와 사회적 흐름에 맞추어 큰 변화를 요구받는 시대적 변화에 직면해 있다. 한국의 교육시설은 이러한 흐름 앞에 학교공간혁신사업 등 정부주도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이를 뒷받침 할 관련 사례연구 및 이론화 과정이 부재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래세대 학교공간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선진교육을 수용하고 있는 우수 학교 사례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이를 유형화하고 유형별 계획적 특성을 도출해 다양한 학교시설의 니즈(needs)에 맞는 기초 데이터를 확립하고자 한다. 나아가 그 과정에서 사례별 공간구조의 특질에 초점을 맞추어 정량적 결과를 함축하는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학교공간의 저층부 공간의 유형별 특질을 규명해 공간의 형태에 따른 바람직한 학교공간의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내외 교육시설의 다양한 사례를 포괄적으로 수집하고 그 중 도면화가 가능한 대상을 선별하여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나아가 사례 수집의 과정에서 학교공간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의 가능성을 담보하는 저층부의 공용공간 형태를 중심으로 교육시설의 유형화 가능성을 동시에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총 4가지 유형의 공용공간의 구조적 유형화가 가능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세부적인 공간구조적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공간구조의 분석에 있어서는 정성적 분석이 아닌 정량적 지표를 제시하고 분석하여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결과) 첫째, 교육시설은 각 전용 공간들을 매개하는 다양한 형태의 공용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사례의 수집과 유형화 결과 크게 4개의 유형으로 나뉘어질 수 있었다. 단일 복도의 연계로 이루어진 단일갤러리형, 하나의 순회동선으로 구성되는 순회갤러리형, 가지형으로 전개되는 트리갤러리형, 자유로운 구성을 보여주는 자율갤러리형이 교육시설 공용공간의 형태를 기반으로 한 4가지 유형화의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유형별 내부공간의 공간구조적 특질을 분석하기 위해 가시장분석(VGA)을 통한 가시장그래프 및 위상도(visual integration)를 분석해 본 결과 각 유형별로 다른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트리 갤러리형, 자율 갤러리형, 단일 갤러리형, 순회 갤러리형 순으로 낮아지는 위상도의 분포를 볼 수 있었으며, 이는 공간의 쉬운 이해와 자율성을 의미한다는 측면에서 교육시설 계획 시 공용공간의 구성과 형태적 유형을 특정할 때 참조할 수 있는 지점을 제공한다. (결론) 본 연구는 교육시설의 공간구조적 특질에 기반한 유형화를 수행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국내외 사례의 비교분석이 가능한 사례의 수집, 유형의 분류, 정량적 분석결과의 도출 등을 통해 미래세대 교육시설 건축의 기초자료를 형성하였음에 그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철, "한국교육비전 2020" 한국교육개발원 2020

      2 윤석훈, "제4차산업혁명과 미래형 학교건축" 한국교육시설학회 24 (24): 2017

      3 박정자, "시선은 권력이다" 기파랑 2008

      4 최윤경, "사회와 건축공간" 시공문화사 2003

      5 현창용, "복합상업시설 실내 공간구조와 매장구성 성향간 상관성 분석 - 2000년대 건립사례 저층부의 유형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6 (26): 62-70, 2017

      6 김춘일, "미술과 시지각" 홍익사 1986

      7 이동국, "미래학습공간의 변화와 전망" 2019인천광역시교육청 공간혁신사업 오픈아카데미 2019

      8 현창용 ; 이재영, "공공청사시설 공간구조의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5 (15): 319-328, 2020

      9 손석의, "고교학점제애 대응하는 학교건축" 대한건축학회 62 (62): 2017

      10 Hillier, B., "The Social Logic of Space"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1 김영철, "한국교육비전 2020" 한국교육개발원 2020

      2 윤석훈, "제4차산업혁명과 미래형 학교건축" 한국교육시설학회 24 (24): 2017

      3 박정자, "시선은 권력이다" 기파랑 2008

      4 최윤경, "사회와 건축공간" 시공문화사 2003

      5 현창용, "복합상업시설 실내 공간구조와 매장구성 성향간 상관성 분석 - 2000년대 건립사례 저층부의 유형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6 (26): 62-70, 2017

      6 김춘일, "미술과 시지각" 홍익사 1986

      7 이동국, "미래학습공간의 변화와 전망" 2019인천광역시교육청 공간혁신사업 오픈아카데미 2019

      8 현창용 ; 이재영, "공공청사시설 공간구조의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5 (15): 319-328, 2020

      9 손석의, "고교학점제애 대응하는 학교건축" 대한건축학회 62 (62): 2017

      10 Hillier, B., "The Social Logic of Space"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11 Popper, K.,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Alfred Raymond Mew & Melitta Mew 1997

      12 Gordon, C., "The Foucault Effec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

      13 Scruton, R, "The Aesthetics of Architecture" Methuen 1979

      14 Marcus, T., "Buildings & Power: Freedom and Control in the Origin of Modern Building Types" Routledge 1993

      15 Andrejewski, A., V, "Building Power" The University of Tennessee Press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69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