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장애인 고용의 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고찰: 장애친화경영 도입 의제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Paradigm Shift in Employment for the Disabled: Introducing the Disability-Inclusive Manag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729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mployment policies for the disabled in Korea are characterized as a quantitative and normative approach, driven by the mandatory employment quota system for the disabled. Such policies have been appreciated as to be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the d...

      Employment policies for the disabled in Korea are characterized as a quantitative and normative approach, driven by the mandatory employment quota system for the disabled. Such policies have been appreciated as to be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the disabled employment rate in Korea. However, recently the concerns for improving the system has been strongly raised. The issue of quality of employment rather than the amount of the disabled employment per se is gaining consensus from relevant stakeholders. We define this movement as the qualitative paradigm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In this study, we proposed ‘disability-inclusive management’ as a conceptual framework and metho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qualitative paradigm in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Based on the diversity inclusion literature, disability- inclusive management can present the feasibility of embracing disabled people as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methodology of it. In order to capture the current status of disability-inclusive management in Korea, we reported the key results of the prior study performed by the authors, which focuses on localizing the UK’s disability standard (DS) as an effective diagnosis too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shifting the employment paradigm for the disabled a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 장애인 고용 정책은 장애인 의무고용 할당제를 중심으로 정량적 성과인 장애인 고용률을 기준으로 정책적 시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의무고용제도에 기반한 정책 추진은 그...

      국내 장애인 고용 정책은 장애인 의무고용 할당제를 중심으로 정량적 성과인 장애인 고용률을 기준으로 정책적 시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의무고용제도에 기반한 정책 추진은 그간 우리나라의 장애인 고용 성과에 기여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으나 현시점에서는 제도의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장애인 고용률 못지않게 고용의 질이 중요하다는 논의가 관련 이해관계자들로부터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의무고용할당제에 기반한 양적 패러다임에 대조하여 장애인 고용의 질적 패러다임으로 칭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고용에 있어 질적 패러다임의 타당성을 제시하고 이의 실천적 개념으로서 ‘장애친화경영’(Disability-Inclusive Management)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이론적으로는 최근 경영학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다양성 포용 담론에 장애친화경영의 논의를 편입하여 이론적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실무적으로는 장애친화경영의 대표적인 진단 도구인 영국 장애표준(Disability Standard)을 활용하여 국내 513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진단 결과를 소개하고, 현재 우리 기업의 장애친화경영의 현황을 다각도에서 분석하였다. 끝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고용의 패러다임 전환의 타당성, 정책 및 기업 실무 측면에서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동진, "한국 장애인 고용정책의 효과성 평가 - 위계선형모형(HLM)을 적용한 횡단면 분석 -" 한국정책학회 25 (25): 1-32, 2016

      2 정흥준, "한국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진화: 시혜적 접근에서 전략적 선택으로" 한국윤리경영학회 19 (19): 125-149, 2019

      3 송건섭, "지방정부 장애인 고용촉진 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8 : 103-122, 1998

      4 신유리, "장애인의 사회적 포함(Social Inclusion)의 의미에 관한 탐색적 고찰"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6 (26): 125-152, 2016

      5 이형열, "장애인고용 이행수준별 고용의무 미달성기업체의 신규채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6 (26): 5-39, 2016

      6 유은주, "장애인 고용을 통한 공유가치창출, 그 가능성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30 (30): 235-260, 2020

      7 신은종, "장애 HR의 전략적 자원으로서의 가능성 탐색: 다양성 관리전략 및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중심으로" 54 (54): 16-44, 2004

      8 정준수, "기업체의 장애인 채용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인 의무고용 달성여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0 (30): 237-263, 2019

      9 김지영, "기업체의 장애인 의무고용률 이행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4 (24): 51-81, 2014

      10 심진예, "기업의 장애친화성 진단도구 도입 및 활용방안" 한국 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8

      1 임동진, "한국 장애인 고용정책의 효과성 평가 - 위계선형모형(HLM)을 적용한 횡단면 분석 -" 한국정책학회 25 (25): 1-32, 2016

      2 정흥준, "한국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진화: 시혜적 접근에서 전략적 선택으로" 한국윤리경영학회 19 (19): 125-149, 2019

      3 송건섭, "지방정부 장애인 고용촉진 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8 : 103-122, 1998

      4 신유리, "장애인의 사회적 포함(Social Inclusion)의 의미에 관한 탐색적 고찰"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6 (26): 125-152, 2016

      5 이형열, "장애인고용 이행수준별 고용의무 미달성기업체의 신규채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6 (26): 5-39, 2016

      6 유은주, "장애인 고용을 통한 공유가치창출, 그 가능성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30 (30): 235-260, 2020

      7 신은종, "장애 HR의 전략적 자원으로서의 가능성 탐색: 다양성 관리전략 및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중심으로" 54 (54): 16-44, 2004

      8 정준수, "기업체의 장애인 채용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인 의무고용 달성여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0 (30): 237-263, 2019

      9 김지영, "기업체의 장애인 의무고용률 이행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4 (24): 51-81, 2014

      10 심진예, "기업의 장애친화성 진단도구 도입 및 활용방안" 한국 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8

      11 조봉순, "국내 기업윤리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윤리경영학회 14 (14): 1-20, 2014

      12 WHO, "World Report on Disability" 2011

      13 Woodhams, C., "Then and now : disability legislation and employers’ practices in the UK" 45 (45): 556-580, 2007

      14 O’Reilly, A., "The right to decent work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LO Publishing 2007

      15 OECD, "Sickness, Disability and Work: Breaking the Barriers, A Synthesis of Findings across OECD Countries"

      16 Fuchs, M., "Quota systems for disabled persons: Parameters, aspects, effectivity" European Centre for social Welfare policy and research 2014

      17 장영균, "Philosophical Critiques to Positive Psychology Scholarship" 한국윤리경영학회 17 (17): 1-14, 2017

      18 권기돈, "OECD 국가 장애인 정책모델: 고용제도와 장애인 고용 지표의 상관성에 대한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6 (26): 49-73, 2016

      19 Kossek, E. E., "Managing diversity:Human resource strategies for transforming the workplace" Wiley 1-19, 1996

      20 Mor Barak, M. E., "Managing diversity : Toward a globally inclusive workplace" Sage 2017

      21 Dwertmann, D. J., "Management research on disabilities : Examining methodological challenges and possible solutions" 27 (27): 1477-1509, 2016

      22 Kudo, T., "Japan’s employment rat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outcome of employment quota system" 7 (7): 5-25, 2010

      23 Shore, L. M., "Inclusive workplaces : A review and model" 28 (28): 176-189, 2018

      24 Shore, L. M., "Inclusion and diversity in work groups : A review and model for future research" 37 (37): 1262-1289, 2011

      25 Kossek, E. E., "Handbook of workplace diversity" Sage 53-74, 2005

      26 Pelled, L. H., "Exploring the black box : An analysis of work group diversity, conflict and performance" 44 (44): 1-28, 1999

      27 Mori, Y., "Economic consequences of employment quota system for disabled people : Evidence from a regression discontinuity design in Japan" 48 : 1-14, 2018

      28 Ferdman, B. M., "Diversity at work: The practice of inclusion" Jossey-Bass 3-54, 2014

      29 Roberson, Q. M., "Disentangling the meanings of diversity and inclusion in organizations" 31 (31): 212-236, 2006

      30 Employer’s Forum on Disability, "Disability standard 2007 benchmark report" 2005

      31 이상헌, "Decentwork 무엇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3 (3): 4-11, 2007

      32 Lee, S., "Comparing employment quota systems for disabled people between Korea and Japan" 10 : 83-92, 2016

      33 Business Disability Forum, "Changes in social environment and PWD employment" 2017

      34 Lindsay, S., "A systematic review of the benefits of hiring people with disabilities" 28 (28): 634-655, 2018

      35 Stone, D. L., "A model of factors affecting the treatment of disabled individuals in organizations" 21 (21): 352-401, 1996

      36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19년 장애인 경제활동 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9

      37 고용노동부, "2019년 말 기준 장애인 의무고용 사업체의 장애인 고용상황(국가승인통계 제118030호)"

      38 전국경제인연합회, "2019 주요 기업의 사회적 가치 보고서"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6-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기업윤리학회 -> 한국윤리경영학회
      2014-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Business Ethics -> Korean Journal of Business Ethics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