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analyzed the leadership of Maria Kim (金瑪利亞, 1892-1944) reveal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s or institutions she was involved in during her whole life, and her thoughts underlying the leadership through her writings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leadership of Maria Kim (金瑪利亞, 1892-1944) reveal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s or institutions she was involved in during her whole life, and her thoughts underlying the leadership through her writings ...
This paper analyzed the leadership of Maria Kim (金瑪利亞, 1892-1944) reveal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s or institutions she was involved in during her whole life, and her thoughts underlying the leadership through her writings left behind. Born and raised in a family of Protestant independence activists, Maria Kim was a “new woman” who devoted her life to the independence of Korea and education for women. It can be seen that Maria Kim always led or organized Korean women’s groups. In this article, I focused especially on the Korean Women’s International Student Society in Tokyo, the Korean Women’s Patriotic Club, Geunhwa (national flower) Association, and the National Organization of the Presbyterian Women. Through this, it concluded that Maria Kim’s leadership was a leadership for the independence of Korea by developing women’s ability, cooperation, and solidarity, far from personal success and power-pursuit. Specifically, it was confirmed that her leadership was the leadership of consistency between word and action, solidarity and cooperation, initiative, and humility based on the self-sacrificing love of Christian faith, unity and solidarity, freedom and equality. On the other hand, tasks required for further studies on Maria Kim are that (1) her writings should be collected and (2)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a Kim and missionaries who had directly engaged with her, and the Mission Board of Canadian Churches.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김마리아(1892-1944)의 생애 동안 그녀가 관계한 조직 및기관의 발전을 통해 드러난 리더십과 남겨진 자신의 글들을 통해 그녀의리더십의 기초가 된 사상을 분석했다. 김마리아는 개...
본 논문은 김마리아(1892-1944)의 생애 동안 그녀가 관계한 조직 및기관의 발전을 통해 드러난 리더십과 남겨진 자신의 글들을 통해 그녀의리더십의 기초가 된 사상을 분석했다. 김마리아는 개신교 독립운동가 집안에서 태어나서 자란 ‘신여성’으로 대한의 독립과 여성교육을 위해 평생을헌신한 지도자였다. 김마리아는 언제나 한국 여성들의 모임을 주도 혹은조직하여 발전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동경여자유학생친목회, 대한민국애국부인회, 근화회, 장로회여전도회연합대회를 집중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김마리아의 리더십은 개인적 출세와 권력 추구와는 거리를 두고 오직 여성들의 실력양성과 협력, 연대를 통한 조국 독립을 위한 지도력이었다. 구체적으로 언행일치, 협동, 솔선수범과 겸손의리더십으로 확인했다. 김마리아의 이 리더십은 기독교 신앙의 자기희생적사랑, 단결과 협동, 자유와 평등에 기초하고 있음을 밝혔다. 한편 (1) 김마리아가 쓴 글들의 집대성, (2) 직접 교제한 선교사들 및 캐나다 선교부와의관계 등에 대한 연구는 과제로 남아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죠션예수교쟝로회총회뎨十八회회록"
2 "죠션예수교쟝로회총회뎨二十二회회록"
3 "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제二十六회회록"
4 "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제二十八회회록"
5 "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제二十五회회록"
6 "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제二十九회회록"
7 "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제二十三회회록"
8 "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제二十七회회록"
9 김마리아, "조선기독교여성운동" (1) : 10-, 1934
10 정경환, "제4장 김마리아의 구구투쟁과 독립정신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7 (7): 99-136, 2013
1 "죠션예수교쟝로회총회뎨十八회회록"
2 "죠션예수교쟝로회총회뎨二十二회회록"
3 "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제二十六회회록"
4 "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제二十八회회록"
5 "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제二十五회회록"
6 "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제二十九회회록"
7 "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제二十三회회록"
8 "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제二十七회회록"
9 김마리아, "조선기독교여성운동" (1) : 10-, 1934
10 정경환, "제4장 김마리아의 구구투쟁과 독립정신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7 (7): 99-136, 2013
11 정신여자중학교, "정신백년사(상)" 정신백년사출판위원회 1989
12 주선애, "장로교 여성사" 대한예수교장로회여전도회전국연합회 1978
13 김광자, "일제강점기 기독교여성지도력 유형비교 연구 : 김활란과 김마리아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2017
14 선안나, "일제강점기 그들의 다른 선택" 피플파워 2016
15 "일반국민 개신교인 인식"
16 "이역풍토에 무궁화의 가지가지 봄 비친 듯 ―뉴욕부인들이 근화회를 조직하여"
17 이덕주, "이름 셋 가진 여인 ―박 에스더" 75-80, 1986
18 "우리 消息"
19 "외국에 있는 신여성(6) ―김마리아 양"
20 김혜경, "신문으로 보는 김마리아" 한국장로교출판사 2014
21 김녑, "신구충돌의비극" 2 : 26-36, 1918
22 김경일, "식민지 시기 신여성의 미국 체험과 문화 수용 : 김마리아, 박인덕, 허정숙을중심으로" 11 : 45-91, 2006
23 이선이, "선각자 김마리아에 대한 선교적 조망" 한국선교신학회 (44) : 215-246, 2016
24 임영희, "루이스 맥컬리의 선교활동에 관한 연구"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09
25 이희천, "독립운동자료로 보는 김마리아" 다운샘 2019
26 숭실대학부설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대한예수교장로회 여전도대회창립40주년기념회보" 로회여전도대회교육국 1968
27 "대한여자청년회조직"
28 이상규, "대한민국을 빛낸 기독교 120인" 쿰란 2017
29 "뉴욕재민동포옹호회"
30 이송죽, "김필례 : 그를 읽고 기억하다" 열화당 2019
31 김민희, "김마리아의 여성리더십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2020
32 유준기, "김마리아의 생애와 독립운동" 한국보훈학회 8 (8): 137-196, 2009
33 전병무, "김마리아, 기독교계 항일여성운동의 대모" 71-72 : 133-145, 2018
34 전병무, "김마리아 : 한국 항일여성운동계의 대모" 역사공간 2013
35 박용옥, "김마리아 : 나는 대한의 독립과 결혼하였다" 홍성사 2003
36 김영삼, "김마리아" 한국신학연구소 1983
37 오현주, "김 마리아 선생을 생각한다" 30 : 113-114, 1978
38 "가경할 비밀결사 ―남녀의 독립음모단"
39 "消息"
40 "日本留學生史"
41 "“임시의정원회의 제10회(1922.2-6), 「獨立新聞」 1922년 3월 31일.”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2권: 임시의정원1』"
42 "“임시의정원회의 제10회(1922.2-6), 「獨立新聞」 1922년 3월 1일.”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2권: 임시의정원1』"
43 "“國民代表會議 개막식, 「獨立新聞」 1923년 2월 7일.”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95권:국민대표회의1』"
44 서우진, "1883년 한국 장로교회 첫 세대가 된 김성섬 일가의 신앙 의식에 대한 미시사적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2017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대면으로 모이는 교회의 신학적 중요성
신학 전공자를 위한 기독교 사회복지 교육 방향성 탐색 연구
기독교교양 강의실에서 기후변화 가르치기 ― 기후변화 담론과 신학적 대응의 지형
재난관리 리더십과 재난대응 협업 (Disaster Management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for Disaster Response)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ernational Cooperation Team재난관리 리더십과 재난대응 협업 (Disaster Management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for Disaster Response)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ernational Cooperation Team자신감충전리더십
목원대학교 배성숙리더십개발론
대구한의대학교 김한식리더십과 심리학
우석대학교 남궁승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