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의사소통력, 공감력이 노인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현진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지도교수 조영신 본 연구는 MZ세대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252312
양산 :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
학위논문(석사) --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 2025. 2
2025
한국어
경상남도
106 ; 26 cm
지도교수: 조영신
I804:48026-20000086419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MZ세대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의사소통력, 공감력이 노인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현진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지도교수 조영신 본 연구는 MZ세대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
MZ세대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의사소통력, 공감력이 노인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현진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지도교수 조영신 본 연구는 MZ세대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의사소통력, 공감력의 정도를 확 인하고, 노인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이러한 요인들이 노인간호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며 간호 실무 개선을 위한 실 질적인 통찰 및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U광역시에 소재한 3개 종합병원에서 65세 이상의 노인환자를 돌 보는 병동에 근무하는 MZ세대 간호사 152명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였다. 자료수 집 기간은 2024년 7월 1일부터 2024년 8월 31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9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최대값, 최소값,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단계적 다중회귀(stepwise multiple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여성이 147명(96.7%)으로 대부분이었고, 평균 연령은 28.86±2.98세였다. 결혼 상태는 미혼이 127명(83.6%), 최종학력은 학사가 149명(98. 0%)이었으며, 종교는 없는 경우가 122명(80.3%)으로 가장 많았다. 현 근무부서는 외과계 병동이 93명(61.2%)으로 대부분이었으며, 총 임상 경력은 12개월에서 60개 월 미만이 85명(55.9%)으로 절반 이상 많았다. 대상자 중 37명(24.3%)만이 노인간호 교육경험(최근 2년이내)과 노인과의 동거경험이 있었다. 2) 대상자가 인식한 노인에 대한 지식은 30점 만점에 평균 20.59±2.70점, 의사소통 력은 75점 만점에 평균 56.07±6.06점, 공감력은 64점 만점에 평균 41.89±8.21점, 노 인간호수행 정도는 최대 55점 만점에 평균 39.45±6.16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t=-2.15, p=.03 8), 결혼 여부(t=-3.57, p<.001), 총 근무 경력(F=4.45, p=.00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의사소통력, 공감력, 노인간호수행은 유 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대상자의 노인간호수행의 정도는 노인에 대한 지식(r=.29, p=.003), 의사소통력 (r=.44, p<.001), 그리고 공감력(r=.24,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대상자의 노인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사소통력(β=.42, p<.001), 노 인에 대한 지식(β=.17, p=.021), 순이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21.0%였다(F=21.00, p <.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MZ세대 간호사의 노인간호수행의 향상을 위해 노인에 대한 지식, 의사소통력이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이러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타겟팅된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MZ세대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전략을 통해 이들의 역량을 향상 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의사소통 기술 향상에 중점 을 두어야 하며, 이와 같은 프로그램이 실증적으로 검증된다면, 임상 현장에서 노인 간호수행의 질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다. 아 울러, 향후 연구에서는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지역의 간호사 를 포함하여 참여자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용어 : MZ세대 간호사, 노인에 대한 지식, 의사소통력, 공감력, 노인간호수행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