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평생학습 개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가 건강과 사회 참여 만족도, 경제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중회귀 분석 결과 노인의 평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938031
부산 :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학위논문(석사) --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 평생교육전공 , 2021. 8
2021
한국어
374 판사항(23)
부산
iv, 45 장 : 삽화, 표 ; 30 cm
지도교수: 윤민종
참고문헌: 장 42-44
I804:21016-00000015093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평생학습 개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가 건강과 사회 참여 만족도, 경제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중회귀 분석 결과 노인의 평생...
이 연구는 평생학습 개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가 건강과 사회 참여 만족도, 경제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중회귀 분석 결과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는 건강과 사회 참여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 효과를 만 65~69세와 만 70~79세의 연령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만 70~79세에서 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달리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가 경제적 안정감에 미치는 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만 65~69세, 만 70~79세 두 연령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었다. 최종 분석 모형에서 노인의 건강과 사회 참여 만족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최종학력으로 나타났으며, 만 70~79세는 정신 건강에서 가구 소득, 육체 건강에서 취업 여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가 건강과 사회 참여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이 연구 결과는 노년기의 사회 참여 활동을 활성화시키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