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네트워크 거버넌스에서의 정책조정수단 분석 - 유럽연합 연구개발 분야의 개방형조정방식(OMC)을 중심으로 - = An Analysis on Policy Coordination in the Network Governance - Focusing on the Open Method of Coordination(OMC) in EU's R&TD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097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pen Method of Coordination(OMC)' has emerged as a new policy instrument in the context of European network governance in March 2000. The OMC has strengthened the logic of mutual learning, benchmarking, best practice and peer review & pressure to...

      The 'Open Method of Coordination(OMC)' has emerged as a new policy instrument in the context of European network governance in March 2000. The OMC has strengthened the logic of mutual learning, benchmarking, best practice and peer review & pressure to achieve the EU's goal of becoming the world's most competitive and dynamic knowledge-based economy, capable of sustaining economic growth with better jobs and greater social cohesion.
      In the field of Research & Technological Development(R&TD) as a target of this analysis, the Competitiveness Council of European Commission has organized the Committee for Scientific and Technical Research(CREST) to oversee process and implementation of the OMC in the area of R&TD. This paper examines the CREST-OMC which was launched in relation to the Barcelona 3% target set in 2003 as a policy instrument in the context of network governance. As a result, a positive view on the need to coordinate R&TD policies softly in EU 27 members and on the voluntary and flexible nature of policy coordination and learning in the CREST-OMC is shown even there is a negative view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open method of coordination(OM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유럽연합의 정책과정과 관련한 거버넌스는 다른 지역이나 국가에 비해 여러 가지 면에서 독특한 속성들, 즉 위원회 중심적이고, 다층적이고, 숙의적이라는 특성 등이 제시되고 있다....

      오늘날 유럽연합의 정책과정과 관련한 거버넌스는 다른 지역이나 국가에 비해 여러 가지 면에서 독특한 속성들, 즉 위원회 중심적이고, 다층적이고, 숙의적이라는 특성 등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2000년 3월 리스본(Lisbon)에서 개최된 유럽연합 이사회에서 EU의 발전전략 목표를 '경쟁적이고 역동적인 지식기반경제의 구축'으로 설정하고, 향후 10여 년간의 전략적 목표인 리스본 전략을 수립한다. 이러한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조정기제로서 제창된 것이 네트워크 거버넌스 유형으로 설명될 수 있는 개방형조정방식(OMC: Open Method of Coordination)이다. 이는 경제와 고용부문을 넘어 사회보장, 교육 및 훈련, 기업정책, 혁신정책 및 연구개발 등의 분야로 확대 적용되어 오고 있다.
      이에 개방형조정방식이 공식적으로 채택되어 활용되고 있는 정책분야의 하나인 유럽연합의 연구 및 기술개발(R&TD: Research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분야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유럽연합의 R&TD 분야의 정책조정 메커니즘으로서 CREST-OMC의 구조와 운용적인 측면을 네트워크 거버넌스 차원에서 분석한다. 이를 통해 소위 연성적(soft) 접근방식이고, 회원국에 대한 ‘맞춤형(à la carte)’ 개입정책인 개방형조정방식(OMC)의 활용성과 한계점을 탐색하고 있다. 분석결과 유럽연합의 연구 및 기술개발 분야에서 회원국별 자발적인 정책조정을 위한 OMC의 활용성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평가이지만 비구속적이고 자율적인 정책조정수단으로서의 OMC의 실효성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실효성 향상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병원, "탈냉전기 안보개념의 확대와 네트워크 패러다임"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0 (50): 23-56, 2007

      2 정명주, "정보기술아키텍처 성과분석 모형을 활용한 정보화 수준평가 제도화 방안" 한국행정연구소 46 (46): 263-293, 2008

      3 방청록, "유럽연합의 대외정책과 다층적거버넌스에 대한 연구" 한국유럽학회 (21) : 55-84, 2005

      4 안두순, "유럽연합(EU)의 연구기술개발(RTD) 정책과 그 조정 방식" 한국유럽학회 20 : 87-111, 2005

      5 김상묵, "유럽고용전략의 개방형 조정방식: 분석틀 탐색" 한국행정학회 2008

      6 송병준, "다층적 거버넌스의 확장과 국가의 재구성" 국제지역연구센터 10 (10): 83-106, 2006

      7 이수형, "다층 거버넌스로서의 유럽연합체제" 한국세계지역학회 22 (22): 29-48, 2004

      8 민병원, "네트워크국가의 거버넌스 실험: 유럽연합의 개방형 조정방식(OMC)을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4 (14): 113-139, 2008

      9 배재현,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운영기제 분석:부산시 하천살리기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18 (18): 141-168, 2009

      10 유재원, "계층제, 시장, 네트워크 -한국 거버넌스 실태에 대한 실증적 분석-" 한국정책학회 2008

      1 민병원, "탈냉전기 안보개념의 확대와 네트워크 패러다임"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0 (50): 23-56, 2007

      2 정명주, "정보기술아키텍처 성과분석 모형을 활용한 정보화 수준평가 제도화 방안" 한국행정연구소 46 (46): 263-293, 2008

      3 방청록, "유럽연합의 대외정책과 다층적거버넌스에 대한 연구" 한국유럽학회 (21) : 55-84, 2005

      4 안두순, "유럽연합(EU)의 연구기술개발(RTD) 정책과 그 조정 방식" 한국유럽학회 20 : 87-111, 2005

      5 김상묵, "유럽고용전략의 개방형 조정방식: 분석틀 탐색" 한국행정학회 2008

      6 송병준, "다층적 거버넌스의 확장과 국가의 재구성" 국제지역연구센터 10 (10): 83-106, 2006

      7 이수형, "다층 거버넌스로서의 유럽연합체제" 한국세계지역학회 22 (22): 29-48, 2004

      8 민병원, "네트워크국가의 거버넌스 실험: 유럽연합의 개방형 조정방식(OMC)을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4 (14): 113-139, 2008

      9 배재현,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운영기제 분석:부산시 하천살리기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18 (18): 141-168, 2009

      10 유재원, "계층제, 시장, 네트워크 -한국 거버넌스 실태에 대한 실증적 분석-" 한국정책학회 2008

      11 "http://ec.europa.eu/research/index.cfm?lg=en"

      12 "http://ec.europa.eu/invest-in-research/index_en.htm"

      13 "http://ec.europa.eu/eit/mission_en.htm"

      14 "http://cordis.europa.eu/fp7/understand_en.html"

      15 Rhodes,R.A.W, "Understanding Governance: Policy Networks, Governance, Reflexivity and Accountability" Open University Press 1997

      16 European Commission, "Towards a European Research Area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Key Figure" European Commission 2007

      17 Borrás, Susana, "The open method of co-ordination and new governance pattern in the EU" 11 (11): 185-208, 2004

      18 Regent, Sabrina, "The Open Method of Coordination: A New Supranational Form of Governance?" 9 (9): 190-214, 2003

      19 Cristensen, Peder, "The Open Method of Coordination in the field of research policy"

      20 Lisbon Expert Group, "The Open Method of Coordination in Research Policy: Assessment and Recommendations" European Commission 2009

      21 James, Oliver, "The Limitations of 'Policy Transfer' and 'Lesson Drawing' for Public Policy Research" 1 : 179-193, 2003

      22 Alvaro de Elera, "The European Research Area: On the Way Towards a European Scientific Community?" 12 (12): 559-574, 2006

      23 Jordan, Andrew, "The Coordination of the European Union" Oxford University Press Inc. 2006

      24 Lisbon Expert Group, "Research an Innovation in the National Reform Programmes - Opportunities for policy learning and co-operation" European Commission. 2006

      25 Brussels European Council, "Presidency Conclusions-Brussels" European Council 2005

      26 Lisbon European Council, "Presidency Conclusion" European Council 2000

      27 Braun, D, "Organising the political coordination of knowledge and innovation policies" 35 : 227-239, 2008

      28 Surgeon, Marnix, "OMC-NET as a tool for bottom-up policy coordination"

      29 Cyril, Robin-Champigneul, "Next steps for the European Research Area and the role of policy coordination"

      30 Kaiser,Robert, "Multi-level Science Policy and Regional Innovation: The Case of the Munich Cluster for Pharmaceutical Biotechnology" 11 (11): 841-857, 2003

      31 Scott, J, "Mind the gap: law and new approaches to governance in the European Union" 8 (8): 1-18, 2002

      32 Kaiser, Robert, "Managing diversity in a system of multi-level governance: The open method of co-ordination in innovation policy" 11 (11): 249-266, 2004

      33 Sabel, C. F, "Learning from Difference: The New Architecture of Experimentalist Governance in the EU" European Governance Paper 2007

      34 Sabel, C. F, "Learning from Difference: The New Architecture of Experimentalist Governance in the EU" 14 (14): 271-327, 2008

      35 Directorate-General, "Key Figures" European Commission. 2007

      36 Zeitlin, Jonathan, "Introduction: The Open Method of Coordination in Question. in the The Open Method of Coordination in Action: The European Employment and Social Inclusion Strategies" P.I.E 2005

      37 Kuhlmann,Stefan, "Future governance of innovation policy in Europe - three scenarios" 30 : 953-976, 2001

      38 Risse-Kappen, Thomas, "Exploring the Nature of the Beast: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Comparative Policy Analysis Meet the European Union" 34 (34): 53-80, 1996

      39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Innovation Scoreboard 2007 - Comparative Analysis Innovation Performance" INNO METRICS 2008

      40 김기환, "EU 환정정책분야에서 개방형조정방식(OMC)의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행정학회 2008

      41 김기환, "EU 환경정책분야에서 개방형 조정방식(OMC)의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세계지역학회 27 (27): 189-218, 2009

      42 Craig,Paul, "EU Administrative Raw"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43 Independent Expert Group on R&D and Innovation, "Creating Innovative Europe" European Community. 2006

      44 European Commission, "Community Framework for State Ai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Innovation" European Commission 2006

      45 European Commission, "Commission Communication-Towards a more effective use of tax incentives in favour of R&D" European Commission 2006

      46 Grablowitz, Alexender, "Business R&D in Europe:Trends in Expenditures, Researcher Numbers and Related Policies" Joint Research Centre, European Commission. 2007

      47 CREST, "Application of the Open Method of Coordination" Scientific and Technical Research Committee. 2004

      48 Kaiser, Robert, "A new concept of deepening European integration? - The European Research Area and the emerging role of policy coordination in a multi-level governance system"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5 0.85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1 1.01 1.11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