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방의 정당조직에 대한 대구 유권자의 주관적 인식 = Q방법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769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지방의 정당제도에 대한 대구 유권자들의 주관적 인식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유권자들은 공통적으로 지방정치과정에서 정당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지방의 정당제도에 대한 대구 유권자들의 주관적 인식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유권자들은 공통적으로 지방정치과정에서 정당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지방의 정당조직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에 이견이 없었다. 그러나 지방의 정당제도 개혁안에 대해서는 3가지 관점으로 구분되었다. 그것은 (1) 당내 민주화 관점: 정당공천제도 개선과 정당운영에 당원의 참여를 확대하여 지방의 정당조직과 중앙당의 관계를 개선 (2) 지방정당의 자율성 강화 관점: 정당설립과 정당의 지방조직 운영의 자유를 보장하여 지방에서 정당의 경쟁력 확보 (3) 법제도화 관점: 정당운영에 법제도적 보완 노력이 요구 등이다. 연구결과 주목할 점은 기존 연구에서 찬반논쟁이 불거졌던 지방정치과정에서 정당의 유용성 문제가 유권자들에게는 논쟁적인 문제가 아니라는 점이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기존 논의에서 크게 쟁점화 되지 않았던 지방정당 설립 허용에 대해 유권자의 관심이 높다는 점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people on the local party system. To achieve this aim, this research applies Q-methodology to Daegu voters. Studies show that people generally perceive the role of political parties as i...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people on the local party system. To achieve this aim, this research applies Q-methodology to Daegu voters. Studies show that people generally perceive the role of political parties as important and agree that local political party should be strengthened. However, the ideas on the improvement of local party system was divided into three aspects. first aspect is ‘Party democratization’: The party nominat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and the party members’ participation should be expanded. Second is ‘Deregulation’: Freedom of establishment of political parties should be guaranteed. Third is ‘Legal institutionalization’: Legal complements are needed for political parties. What is noteworthy in the results is that there is no debate about the involvement of political parties in the local politics. In addition, people are interested in allowing the establishment of ’Local party’, which have not been a major issue among schola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I. 서론
      • II. 이론적 논의
      • III. 연구설계
      • IV. 연구결과
      • 국문 초록
      • I. 서론
      • II. 이론적 논의
      • III. 연구설계
      • IV. 연구결과
      • V. 결론 및 함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철, "헌법상 지방정당의 역할과 보장"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2 (22): 1-26, 2016

      2 한승주, "행정개혁에 대한 공무원의 정서적 대응: Q방법론의 적용" 한국행정연구소 48 (48): 25-57, 2010

      3 강원택, "폐쇄적 지역 정당 구조와 정치개혁: 지방정치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9 (19): 1-20, 2010

      4 김용호, "최근 한국 정당의 개혁조치에 대한 평가" 한국정당학회 7 (7): 195-210, 2008

      5 이병규, "지역균형발전의 헌법적 고찰" 한국비교공법학회 16 (16): 29-53, 2015

      6 하세헌, "지방정치의 이해" 박영사 2016

      7 김용복, "지방정치와 정당의 역할 - 연구의 범위와 쟁점-" 한국지역사회학회 17 (17): 31-52, 2009

      8 하세헌, "지방정당 대두와 일본 지방정치 활성화; 새로운 지방정당 대두의 배경과 그 영향" 현대일본학회 (35) : 61-92, 2012

      9 홍재우, "지방자치의 정치화와 민주주의 그리고 정당" 21세기정치학회 24 (24): 135-160, 2014

      10 박재욱, "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제와 경선제 -5.31지방선거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9 (9): 336-359, 2006

      1 정철, "헌법상 지방정당의 역할과 보장"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2 (22): 1-26, 2016

      2 한승주, "행정개혁에 대한 공무원의 정서적 대응: Q방법론의 적용" 한국행정연구소 48 (48): 25-57, 2010

      3 강원택, "폐쇄적 지역 정당 구조와 정치개혁: 지방정치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9 (19): 1-20, 2010

      4 김용호, "최근 한국 정당의 개혁조치에 대한 평가" 한국정당학회 7 (7): 195-210, 2008

      5 이병규, "지역균형발전의 헌법적 고찰" 한국비교공법학회 16 (16): 29-53, 2015

      6 하세헌, "지방정치의 이해" 박영사 2016

      7 김용복, "지방정치와 정당의 역할 - 연구의 범위와 쟁점-" 한국지역사회학회 17 (17): 31-52, 2009

      8 하세헌, "지방정당 대두와 일본 지방정치 활성화; 새로운 지방정당 대두의 배경과 그 영향" 현대일본학회 (35) : 61-92, 2012

      9 홍재우, "지방자치의 정치화와 민주주의 그리고 정당" 21세기정치학회 24 (24): 135-160, 2014

      10 박재욱, "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제와 경선제 -5.31지방선거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9 (9): 336-359, 2006

      11 이종수, "지방분권형 헌법 개정방향" 7 (7): 3-31, 2013

      12 하세헌, "지방분권 실현과 지방정당의 육성" 대한지방자치학회 9 (9): 25-40, 2007

      13 전진영, "지구당 폐지의 문제점과 부활을 둘러싼 쟁점 검토" 2 (2): 173-196, 2009

      14 윤종빈, "지구당 폐지와 한국정당의 민주성" 한국정당학회 10 (10): 67-92, 2011

      15 이정진, "지구당 폐지를 둘러싼 담론구조와 법 개정 논의"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1 (31): 353-384, 2010

      16 지병근, "중앙당은 어떻게 시·도당을 통제하는가?" 한국의정연구회 11 (11): 181-210, 2016

      17 송석윤, "정당민주주의와 정당법 ― 정당개혁의 관점에서 ―" 한국공법학회 42 (42): 1-30, 2014

      18 장영수, "정당과 헌법질서, 심천 계희열박사 화갑기념논문집" 박영사 1995

      19 이혜정, "정당과 지방자치의 관계 : 지방자치에 대한 정당참여의 범위와 한계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58) : 85-121, 2013

      20 이규영, "분권시대 한국정당의 과제: 분권형 권력구조를 중심으로" 10-17, 2006

      21 Byung S. Lee, "The fundamental of Q methodology" 2 (2): 57-95,

      22 김순은, "Q 방법론과 사회과학" 도서출판 금정 2016

      23 김흥규, "Q 방법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24 Brown, S.R.,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Yale University Press 1980

      25 Rodden, Jonathan, "Comparative Federalism and Decentralization: On Meaning and Measurement" 36 (36): 481-500,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 2.3 1.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12 1.982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