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청소년의 학업정서 양극화 현상 연구: 학업 열의와 학업 무기력을 중심으로 = The Phenomenon of Polarization in the Academic Emotions among Adolescents: Focusing on Academic Enthusiasm and Academic Helpless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305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henomenon of educational polarization in the domain of adolescents’ emotional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changes in academic enthusiasm and academic helplessness based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level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henomenon of educational polarization in the domain of adolescents’ emotional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changes in academic enthusiasm and academic helplessness based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levels and identify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se changes. The data for the study were obtained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A multiple-group latent growth model was appli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offer essential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policy insights.
      First, academic enthusiasm, as a positive emotion, decreased over time, while academic helplessness, as a negative emotion, consistently increased. Second, by applying a multiple-group latent growth model to compare academic enthusiasm and academic helplessness between high-achieving and low-achieving students, the study revealed the phenomenon of polarization in academic emotions. Third, it was found that several factors have similar impacts on the initial levels and rates of change in academic enthusiasm for both high-achieving and low-achieving students. Specifically, relational factors within the school environment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exacerbation of polarization in academic emotions. Fourth, along with school-related factors, family and individual factors also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academic emotions. Lastly,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nitial values in addressing the issue of educational polarization in students' emotional development. It emphasizes the need for multifaceted educational and policy support to ensure that academic emotions are not determined solely by academic achievement leve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교육 양극화 문제가 학생의 정서적 발달 영역에서도 나타나는지 규명하기 위하여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학업 열의와 학업 무기력 변화 행태와 영...

      최근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교육 양극화 문제가 학생의 정서적 발달 영역에서도 나타나는지 규명하기 위하여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학업 열의와 학업 무기력 변화 행태와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8(KCYPS 2018) 제1~4차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집단 잠재성장모형(multiple-group latent growth model)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함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업정서 중 긍정정서에 해당하는 학업 열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반면, 부정정서인 학업 무기력은 점점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바, 이는 현행의 학교교육에 대한 반성과 비판적 검토가 요청됨을 시사한다. 둘째, 다집단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상위권 학생들과 하위권 학생들의 학업 열의 및 학업 무기력 변화 행태를 비교한 결과, 상위권의 학업 열의는 점점 높아지고 하위권의 학업 열의는 점점 낮아지면서 격차가 심화되는 양상과 더불어, 하위권의 학업 무기력이 점점 높아지면서 상위권과의 격차가 커지는 ‘학업정서 양극화 현상’이 나타났다. 셋째, 학업 열의의 초깃값과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요인, 가정요인, 개인요인은 상위권과 하위권 학생들 간에 동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학업정서의 수준과 변화 양상이 달라지며, 학교요인 중 특히 관계적 요인(교우관계 및 교사관계)이 학업정서 양극화 현상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쳤다. 넷째, 학교요인 외에도 학업정서 발달에는 가정요인과 개인요인이 함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업 열의에는 가정의 경제 수준, 학생의 자아존중감, 구체적 진로결정 여부가 영향을 미쳤으며, 학업 무기력에는 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학업정서 양극화 현상에 있어 초깃값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학업성취 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학업정서가 부정적인 수준(낮은 학업 열의, 높은 학업 무기력)에서 고착되지 않도록, 전인적 교육의 관점에서 학업정서 발달이 이루어지도록 다각도의 교육적・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