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의 발달과 함께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였다. 정부에서는 사회·경제 전반의 혁신을 위해 소프트웨어 교육과 인공지능 역량을 강조하고 있으며, 그 핵심 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의 발달과 함께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였다. 정부에서는 사회·경제 전반의 혁신을 위해 소프트웨어 교육과 인공지능 역량을 강조하고 있으며, 그 핵심 교�...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의 발달과 함께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였다. 정부에서는 사회·경제 전반의 혁신을 위해 소프트웨어 교육과 인공지능 역량을 강조하고 있으며, 그 핵심 교육 중의 하나로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융합(Convergence) 수업에도 주목하고 있다. 수학과 프로그래밍은 상호 깊은 연관을 맺고 있으며, 수학교육에서 프로그래밍을 활용할 경우, 학습자의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제 상황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며, 수학적 능력과 수학적 창의성, 컴퓨팅 사고를 배양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융합 수업이 수학 영재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과 컴퓨팅 사고에 어떤 교육적 효과를 지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융합 수업 프로그램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융합 수업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Python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9차시의 융합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한 뒤, 수업 적용을 통해 발현되는 초등 수학 영재의 수학적 창의성과 컴퓨팅 사고를 분석하는 탐구적, 발견적인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상남도 소재 J초등학교 수학·과학 영재학급 학생 16명(초등학교 4학년 11명, 5학년 5명)이고, 9차시의 Python 융합 수업 학습 내용을 중심으로 수업 장면 녹화, 태블릿 화면 녹화, 오디오 녹음, 실험 수업의 관찰 자료, 학생들의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 수업 프로그램에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융합형 모델과 이야기·동화 모델, 문제해결학습모형을 적용하였다. 수업 내용은 변수와 자료구조의 활용, 제어문(반복문, 조건문), 함수의 순서로 구성하였으며, 수업의 적용과정에서 명령어의 단계적 교육을 통해 결과물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는 방법을 실시하였다. Python의 기초 문법 및 명령어들을 예제들을 통해 익히게 한 뒤, 실제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습 참여와 성취도를 높일 수 있었다. 교육 주제는 프로그래밍의 난이도와 초등 영재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총 9차시의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설계하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집중력을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였고, 수업에 대한 반응도 긍정적인 편이었다. 소감문을 보면, 학생들은 수업을 통해 향상된 점으로 창의력, 사고력, 집중력과 같은 단어를 기술하였고, 다양한 명령어와 재밌거나 더 어려운 프로그래밍도 알고 싶어 하는 등 내적 동기를 보여주었다. 이외에도 수업에 참여하면서 수학과 프로그래밍 간의 연계성을 파악하게 되었으며, 수학에 대한 친밀감과 흥미도가 높아졌다는 표현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융합 수업 프로그램에서 수학적 창의성의 하위 요소인 확산적 사고, 직관과 통찰, 메타인지, 과제집착력 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문제들은,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발현을 위해 이용 가능한 정보로부터 새로운 변화를 만들고 다양한 해결 과정을 도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실제로 학생들은 주어진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알고 있던 수학적 개념과 수학적 상징 기호, 프로그래밍 명령어 등을 자연스럽게 조직하고 형식화하여 프로그래밍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관점에서 유연하게 해결하려는 확산적 사고를 보여주었다. 또한 2인 1조로 모둠원들은 대화를 통해 아이디어를 공유하면서 반성적 사고와 함께 독창적인 프로그램을 도출하는 모습도 관찰되었다. 초등 수학 영재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수준을 분석한 결과, 수학적 개념과 알고리즘, 절차 등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개방형 문제, 도전적이고 흥미로운 문제 제시, 활발한 수학적 의사소통 등이 수학적 창의성 발현에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융합 수업 프로그램에서 컴퓨팅 사고의 구성 요소인 추상화, 자동화 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다. 초등 수학 영재 학생들은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고 핵심 요소를 추출하는 활동과 수학적 개념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작은 내용으로 분해하는 활동을 통해 추상화 과정, 재귀적 사고, 비판적 사고를 경험하였고, 학습한 명령어를 활용하여 자동화하는 과정에서 수학 영재 학생들은 성취감과 도전 의식을 보여주었으며, 더 많은 명령어를 학습하여 더 발전되고 창의적인 프로그램을 작성하고자 하는 의욕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융합 수업 프로그램이 초등 수학 영재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과 컴퓨팅 사고에 어떤 교육적 효과를 지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사례 연구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시한 Python을 활용한 융합 수업 프로그램은 4차 혁명 시대의 초등 수학 영재 학생들을 위한 융합 교육 자료로 적합하다고 판단되고, 학습자들이 Python을 이용하여 창의적으로 코드를 표현하고 프로그램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수학적 지식과 사고력을 활용하여 프로그래밍을 탐구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융합 수업 프로그램이 수학적 창의성과 컴퓨팅 사고의 계발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초등 수학 영재를 위한 융합 및 프로그래밍 관련 후속 연구들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교육부, "null",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초등학교, 2015
2 이경화, "수학적 창의성", 경문사, 2015
3 Wing , J. M., "Computational thinking", 49 ( 3 ) , 33-35, 2006
4 교육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8번], 2015
5 교육부, "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015
6 Cropley , A. J ., "Definitions of creativity", 1 , 511-524 ., 1999
7 Balka , D. S., "Creative ability in mathematics", 21 , 633-636 ., 1974
8 송상헌, "수학 영재의 판별과 선발", 파주 : 한국학술정보(주), 2006
9 김홍원,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영재교육연구, 8(2), 69-89, 1998
10 교육부, "제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 교육부 보도자료(2015.03.16.), 2015
1 교육부, "null",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초등학교, 2015
2 이경화, "수학적 창의성", 경문사, 2015
3 Wing , J. M., "Computational thinking", 49 ( 3 ) , 33-35, 2006
4 교육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8번], 2015
5 교육부, "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015
6 Cropley , A. J ., "Definitions of creativity", 1 , 511-524 ., 1999
7 Balka , D. S., "Creative ability in mathematics", 21 , 633-636 ., 1974
8 송상헌, "수학 영재의 판별과 선발", 파주 : 한국학술정보(주), 2006
9 김홍원,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영재교육연구, 8(2), 69-89, 1998
10 교육부, "제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 교육부 보도자료(2015.03.16.), 2015
11 김대수, "소프트웨어와 컴퓨팅 사고", 서울: 생능출판, 2016
12 김경미, 황우형, 최계현, 이명희, "수학교육과 수학적 창의성",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0(4), 561-574, 2006
13 박현주, 한혜숙, 최유현, 정진수, 이주연, 백윤수, 박종윤, 노석구, 김영민,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2011
14 남승인, 이용희, 우동하, 신준식, 류성림, "수학영재교육: 이론과 실제", 경문사, 2016
15 박배훈, 이대현, "수학적 창의력에 대한 소고", 수학교육학연구, 8(2), 679-690, 1998
16 전경원, "창의성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창지사, 2006
17 박성현, "컴퓨터과학을 위한 수학교육",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8 안성진, "Computational Thinking에 대한 이해", 정보문화포럼 2015년 연구보고 서, 2015
19 박준영, "John Dewey의 반성적 사고와 교육", 敎育思想硏究, 23(3), 273-290, 2009
20 김명숙, 송상헌, 김홍원, "수학영재 판별도구 개발연구(Ⅰ)", 한국교육개발원, 1996
21 최인선, "수학적 창의성 연구에 대한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2(2), 29-32, 2012
22 김부윤, 이지성,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관점 연구", 수학교육, 46(3), 293-302, 2007
23 박경은, 이상구,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 향상과 Sage 도구를 이용한 수학교육. 수학교육논문집, 29(1), 19-33, 2015
24 고보람, 허태성, 조현선, "1vs1 온라인 기반 모바일 보드게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3(2), 149-150, 2015
25 Keating , D. P., "The study of mathematically precocious youth .", 9 ( 1 ) , 45-62 ., 1975
26 김언주, "창의력 사고에 있어서 정서의 문제", 창의력교육연구, 1(2), 171-189, 1997
27 김수철, 정보민, "미술과 수학의 융합 수업 설계 방안",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 디어 논문지, 8(3), 161-171, 2018
28 김판수, "창의성 이론을 통해 본 수학 창의성", 영재교육연구, 18(3), 465-496, 2008
29 현종익, "초등 수학교육에서 창의성 신장 학습", 제주교육대학교 논문집, 34, 1-20, 2005
30 김상룡, "초등수학에서 동화의 활용 방안 탐색", 초등수학교육, 6(1), 29-40, 2002
31 송상헌, "수학 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32 강주영, 김동화, "중등 수학 영재의 독창성에 관한 고찰", 과학영재교육, 12(3), 212-225, 2020
33 한기순, "국내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영재와 영재교육, 5(1), 109-129, 2006
34 김유경, 방정숙, "수학 기반 융합 수업 모형의 가능성 탐색", 初等 數學敎育, 18(2), 107-122, 2015
35 Sriraman , B ., "Are giftedness and creativity synonyms in mathematics ?", 17 ( 1 ) , 20-36 ., 2005
36 김성식, 조성환, 송정범, 백성혜, "스크래치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수업 효과", 한국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2(4), 375-384, 2008
37 박만구, "수학교육에서 창의성의 개념 및 신장 방안", 수학교육논문집, 23(3), 803-822, 2009
38 이재호, 장준형, "컴퓨팅 사고력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탐색", 창의정보문화연구, 4(3), 273-283, 2018
39 유정호, "수학 내용 기반의 코딩 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40 김원준, 오세경, 김은아,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분석", 열린유아교 육연구, 24(2), 307-337, 2019
41 강주영, 김영아, 김동화, "중등수학영재의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고찰",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34(4), 429-449, 2018
42 김경은, 서혜애, 김동화, "수학영재의 대수적 사고의 특징과 오류 유형", 영재교육 연구, 26(1), 187-200, 2016
43 김선회, 정재훈, 이태욱, 김은정, "스크래치를 활용한 STEAM 기반학습 자료 개 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7(1), 159-162, 2013
44 박만구, 한정민, "수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본 교사의 발문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 학회지, 14:3, 865-884, 2010
45 서용현, "초중등 연계 코딩수학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46 Pehkonen , E., "The State-of-Art in mathematical Creativity , Zentralblatt f ?", 29 ( 3 ) , 63-67 ., 1997
47 김명숙, "공교육에서의 비판적 사고 교육의 방향과 쟁점", 哲學硏究, 58, 107-144, 2002
48 정진환, "Computational thinking game을 통한 패턴일반화 수학교육", 서울대학 교 석사학위 논문, 2015
49 도종훈, "중학교 기하 영역에서의 수학적 창의성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50 Haylock , D. W., "A framework for assessing mathematical creativity in schoolchildren", 18 ( 1 ) , 59-74 ., 1987
51 박대륜, 유인환,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 활용 파이썬 학습 모형 개발", 정보교육학 회논문지, 22(3), 357-366, 2018
52 성지현,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집단창의성 발현과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53 이지윤, "Constructionism 기반 수학 창의력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54 김영민, 정진수, 이주연, 백윤수, 박현주, 노석구,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 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 2012-12, 2012
55 Wing , J. M., "Computational thinking ’ s influence on research and education for all", 25 ( 2 ) , 7-14, 2017
56 김갑수, 문미예, "초등학생을 위한 Python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방안 연구", 정보 교육학회 학술논문집, 33-41, 2018
57 김부윤, 이지성, "수학에 있어서 창의적 태도의 측정 결과 분석에 관하여", 한국수 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5(2), 155-163, 2006
58 문교식, "개념적 알고리즘에 기반한 컴퓨터 알고리즘 교육의 방향", 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1(1), 29-38, 2007
59 김수환, 채선희, 박경미, 김홍원, 김신영, "창의력 신장을 돕는 중학교 수학과 학 습 평가 방법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1997
60 김민정, 최희정, 이원규, 윤일규, 우호성, 양혜지, 양재명, 서정희, 김자미, "2017 년도 소프트웨어(SW)교육 연구학교 현황 및 효과성 분석",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61 고호경, 허난, 윤경란, 김주후, "드론을 활용한 초등학교 수학 융합 자료 개발 및 적용 결과", C-초등수학교육, 20(3), 225-235, 2017
62 신수범, "스크래치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한 컴퓨팅 사고력 향상 효과", 한국컴퓨터 정보학회논문지, 20(11), 191-197, 2015
63 임수혁, "창의성 신장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 공주교육대 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64 방민권, "초등 도덕과 내용 기반의 코딩교육 프로그램 개발방향 연구", 한국도덕윤 리과교육학회, 56, 139-176, 2017
65 이대현, "수학적 창의성의 요소와 창의성 개발을 위한 수업 모델 탐색", 한국초등 수학교육학회지, 16(1), 39-61, 2012
66 김현경, 이양락, 심재호, "STEM, STEAM 교육과 우리나라 융합인 재교육의 이해와 해결 과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4), 709-723, 2015
67 정진주, "컴퓨팅 사고력 신장을 위한 초등 수학 영재용 학습 자료 개발", 경인교육 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68 김현배, "컴퓨팅 사고력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교과 교수학습 모형 고찰", 정보교육 학회논문지, 22(1), 1-8, 2018
69 박재현, "평이한 정형문제를 통한 창의성 수준과 성향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70 강신천, 정영식, 안성진, 성영훈, 서정희, 박세영, 김영애, "해외 소프트웨어교육 운영 현황에 대한 실증자료 분석 리포트", KERIS 이슈 리포트, 2019(3), 2019
71 오경선,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컴퓨팅 사고력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72 김종혜, 유중현,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정보과학적 사고 능력에 대한 개념적 고찰", 정보창의교육논문지, 2(2), 15-24, 2008
73 이지성, "수학적 창의성의 창의적 태도에 대한 측정 도구의 개발과 적용.", 부산대 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74 김지혜, "컴퓨팅 사고 증진을 위한 중학교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단원 설계", 연세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75 김나리, 조한혁, 서용현, "코딩수학 내용 및 환경 설계 수학화와 컴퓨팅 사고력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4), 647-673, 2018
76 남흥숙, "수학영재 창의적 문제해결 학습 (MG-CPS)모형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77 김종진, "EPL을 이용한 창의성 증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홍 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78 高橋誠, "編著 新編 創造力事典,東京ː日科技連. 조경덕 역 (2003). 창조력 사전", 서울ː매일경제신문사, 2002
79 사이토 고키, "Deep Learning from Scratch. 개앞맵시 역 (2017).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한빛미디어, 2016
80 권오남, 조영미, 박지현, 박정숙, 김영실, "개방형 문제 중심의 수학적 창의력 신 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지원 교과교육 공동연구, 2002
81 이강섭, 황동주, "수학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수학 창의성과 문제설정과의 상관 연구", 수학교육 논문집, 46(4), 503-519, 2007
82 문은식, 한수연, 하주현, 송인섭, 성은현, "과학영재를 위한 인문사회와 예술의 융 합형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영재와 영재교육, 9(3), 117-138, 2010
83 김성식, 이민우, "문제해결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범용 컴퓨팅 사고력 척도 개 발 연구",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2(5), 67-77, 2019
84 고상숙, 신동조, "수학교육에서 계산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의 의미 및 연구 동향 탐색", 수학교육, 58(4), 483-505, 2019
85 김학성, 이종학, 윤마병, 류성림, "초등학교 영재교육을 위한 수학ㆍ과학 중심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10), 217-228, 2018
86 지현경,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교과-소프트웨어융합 수업설계 모형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87 손정아, "파이썬(Python)을 활용한 중학교 수학 수와 연산 영역의 융합수업 모델 링",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88 김나라, "CPS기반의 PBL수업이 중등정보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89 Silver , E. A, "Fostering Creativity through Instruction Rich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Problem Posing", 29 ( 3 ) , 75-80, 1997
90 권오남, 조영미, 박지현, 박정숙, "시리즈 A: 개방형 문제 중심의 프로그램이 수학 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수학교육, 44(2), 307-323, 2005
91 Jennifer, M., "Qualitative Researching. London: Sage Publications. 김두섭 (역)(2010).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나남출판사, 1996
92 손은경, "취학전 아동의 연령, 과제제시방법 및 과제유형에 따른 인과성 발달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93 Tall, 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류희찬, 조완영, 김인수 (역)(2003). 고등수학적 사고", 경문사, 1991
94 이은석, "LOGO에서 별다각형 그리기를 활용한 초등수학영재교육 학습 지도 자료 개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95 김기연, 이종희, "창의적 생산력의 하위 요소 탐색 및 수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 결 모델 개발", 학교수학, 10(4), 583-601, 2008
96 이승우, "프랑스 중학교 수학 교육과정 분석: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영역을 중 심으로", 학교수학, 22(1), 125-159, 2020
97 류희찬, 장인옥, "LOGO를 이용한 프로젝트 학습에서 나타난 초등 수학영재 학생 들의 전략적 사고",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0(4), 459-476, 2010
98 김병수, "계산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PPS기반 프로그래밍 교육 프로그램. 박사 학 위논문",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4
99 박남수, "게임기반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컴퓨팅 사고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100 이정곤, 이승우, 백종일,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초등 수학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효과", 初等 數學敎育, 16(1), 35-55, 2013
101 황혜진, "스크래치를 활용한 방과후 융합인재교육(STEAM) 수학수업 교육과정 개 발 및 적용",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02 박주연,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몰입,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03 문용린, "배려와 나눔을 실현하는 창의인재육성을 위한 창의ㆍ인성교육 활성화 방 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0
104 나준영, "스마트교육 기반의 수학과 미술 STEAM 수업설계 모형 및 교수 학습 자 료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105 강희선, 서혜애, "중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생명과학 기반융합인재교육(STEAM)프 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과학영재교육, 5(3), 162-173, 2013
106 이재호, 장준형, "일반학생과 영재학생의 소프트웨어교육을 통한 컴퓨팅 사고력 신장 효과 비교 분석", 영재교육연구, 30(1), 55-64, 2020
107 권선형, "Computational Thinking 교육을 위한 수학교과와 정보교과와의 융합인 재교육(STEAM) 자료 개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08 권기현, 이형봉, "물의 흐름을 이용한 논리 게이트 기반 융합형 중등 정보과학 영 재 교수 학습 자료 개발",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19(12), 369-384, 2014
109 고호경, 허난, 김예미, "파이썬을 활용한 중학교 1학년 소인수분해의 수학과 코딩 융합 교수 학습 자료 개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34(4), 563-585, 2020
110 김수환, 황혜정, 채선희, 박경미, 김흥원, 김신영, "창의력 신장을 돕는 중학교 수 학과 학습 평가 방법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CR97-10-1", 한국교육개발 원, 1997
111 안병곤, "초등 수학 교과서에서 문제해결 지도의 개선점과 개선 방향 - Polya의 문제해결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2:4, 405-425, 2018
112 Lee , K. H., "Convergent and divergent thinking in task modification : A case of Korean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 exploration", 49 ( 7 ) , 995-1008, 2017
113 장인옥, "LOGO를 이용한 프로젝트 학습에서 나타난 초등 수학 영재 학생들의 전 략적 사고와 교사 역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14 Polya, G., "How to solve it: A new aspect of mathematical method(2nd). (Ed.), 우정호 (역) (2008).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교우사, 1957
115 이미경, 이재분, "초중등 영재학급 교육원의 학생 생활지도 실태 및 과제 : 영재 담당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4(3), 359-377, 2014
116 정정교,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에서의 평가 현황 및 문제점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17 전영국,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창의성 발현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NetLogo 기반의 계산적 사고 중심으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8(3), 1-14, 2015
118 유재혁,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기반의 수학적 게임 제작 경험이 수학영재아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19 이도영, 정종인, "중학교 수학 통계 영역과 파이썬(Python) 프로그래밍 융합수업 이 문제해결력과 교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4), 336-344, 2018
120 강은주, "컴퓨팅 사고를 적용한 과학 실험 수업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 표현 및 과학적 모델 생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121 김성식, 조아라, 이민우, 김영직, "문제해결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컴퓨팅 사고력 평가를 위한 도구 개발: 지필형 검사지 및 자기보고식 설문지", 컴퓨터교육학회논 문지, 22(3), 89-99, 2019
122 김영직, "문제해결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컴퓨팅 사고력 기반 테스트 중심 문제 해결(CT-TDPS) 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123 정인우, 조한혁, "3차원 좌표계 기반 코딩환경을 활용한 수학적 창의성 발현 방안: 코딩과제 설계 및 코드표현의 분석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22(1), 161-181, 2020
124 노예솔, 이경화, 문성재, 노정원, "수학적 창의성 발현 과정에 나타난 수학적 의사 소통 패턴 연구: 한 경력교사의 문제해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학교수학, 22(4), 833-852, 2020
125 전용주, "새로운 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컴퓨팅 사고력 기반 창의적 문제해결(CT-CPS) 수업 모형의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126 Krutetskii, V. A., "수학적 능력의 심리학 [송상헌, 임재훈, 권석일, 남진영, 정영 옥, 서동엽, 김성준, 김지원, 역] (원본 출간년도 : 1976)", 서울 : 경문사, 2014
127 심광섭, 심성아, "파이썬 코딩을 도입한 수학 교과 지도 방안 개발-2015 개정 교 육과정 중학교 수학 교과의 소인수분해 내용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 육문제연구소, 73, 43-64, 2018
128 노예솔, 이경화, 문성재, 노정원, "연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한 경력교사의 전문성 신장: 수학적 창의성 촉진을 위한 대푯값 과제의 변형과 실행을 중심으로", 학교 수학, 58(4), 545-566, 2019
129 정예진, "컴퓨팅 사고력(CT)을 활용한 수학중심 STEAM 프로그램이 초등 수학 영 재 학생의 융합적 사고력 및 협업 역량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