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개화기 『國語讀本』과 일제 강점기 네 차례 발간된 『朝鮮語讀本』의 모음 표기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1910년 일한병합으로 조선총독부가 설치되면서 국어는 조선어로, 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36268
2020
-
학무국(學務局) ; 모음 표기 ; 아래아( ; ) ; 원순모음화 ; 전설모음화 ; Joseoneodokbon(朝鮮語讀本) ; academic affairs bureau(學務局) ; writing of vowels ; Arae-a(·) ; Vowel-rounding ; Front-vowelization ; 『朝鮮語讀本』
710
KCI등재
학술저널
5-32(2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개화기 『國語讀本』과 일제 강점기 네 차례 발간된 『朝鮮語讀本』의 모음 표기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1910년 일한병합으로 조선총독부가 설치되면서 국어는 조선어로, 일...
이 연구는 개화기 『國語讀本』과 일제 강점기 네 차례 발간된 『朝鮮語讀本』의 모음 표기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1910년 일한병합으로 조선총독부가 설치되면서 국어는 조선어로, 일어가 국어로 뒤바뀌어 국어 교과서는 조선어 교과서로 격하된다. 1895년 학부 관제가 시행되면서 학부에서 교과서 발간을 주도하였으나, 조선총독부는 내무부 산하에 학무국 편집국만을 설치하여 교육 행정이 매우 축소된다. 즉 일제 강점기 교과서 편찬의 주체는 학무국의 편집과였고, 조선총독부의 편수관이나 편수 서기 등의 소수의 인원에 의해 교과서가 편찬되었다. 개화기 『國語讀本』(1907~1908)은 일제의 동화주의 정책에 따라 자구 정정을 거쳐 『訂正 普通學校 學徒用 朝鮮語讀本』(1911~1913)으로 발간되었고, 이어 세 차례 『朝鮮語讀本』이 간행된다. 그러나 『國語讀本』과 『訂正 普通學校 學徒用 朝鮮語讀本』만 내용이 유사할 뿐 이후 세 차례의 『朝鮮語讀本』은 대부분 개정된 내용이다. 또한 당시 어문 규범에 해당하는 「普通學校用 諺文綴字法」이 존재했고, 교과서 편찬 시 이에 준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육 정책에 해당하며 교과서 편찬의 지침이라 할 수 있는 어문 규범, 교과서 서문 등과 함께 『國語讀本』과 『朝鮮語讀本』의 모음 표기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아래아(ㆍ), 원순모음화, 전설모음화, 모음조화, 모음 탈락 등의 표기를 중심으로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riting of vowels in “Gugeodokbon by Enlightenment and “Joseoneodokbon published four tim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hen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 was established in 1910, ‘Gugeo(k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riting of vowels in “Gugeodokbon by Enlightenment and “Joseoneodokbon published four tim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hen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 was established in 1910, ‘Gugeo(korean) became ‘Joseoneo and ‘Japanese was changed to ‘Gugeo and ‘Gugeo(korean) textbook became ‘Joseoneo textbook . It was downgraded. In 1895, textbooks were published by Hakbu, but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 only installed academic affairs bureaus at home affairs, greatly reducing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Japanese Colonial Era textbook was in charge of the academic affairs bureau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 and was compiled by a small number of personnel(editorial officer, editorial clerk). “Gugeodokbon published in the Enlightenment, was revised and published as “Revised Primary School Joseoneodokbon in accordance with assimilation policy of Japanese, followed by Joseoneodokbon three times. However, only Guugeodokbon(1907-1908) and Revise Primary School Joseoneodokbon(1911-1913) have similar content, and the three later publications, Joseoneodokbon are mostly revised. At that time, there was the Korean Spelling System for Primary School, corresponding to Linguistic Norm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pproach the vowels writing of Gugeodokbon and Joseoneodokbon, with the Linguistic Norms and textbook prefaces, which are both educational policies and guidelines for textbook compilation.. This study focused on writing such as Arae-a(·), Vowel-rounding, Front-vowelization, Vowel Harmony, Vowel dele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朝鮮總督府, "歷代韓國文法大系第3部第8冊" 博而精 1912
2 朝鮮總督府, "歷代韓國文法大系第3部第8冊" 博而精 1921
3 朝鮮總督府, "歷代韓國文法大系第3部第8冊" 博而精 1930
4 이승구, "한말 및 일제강점기의교과서목록수집조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2001
5 石松慶子, "통감부치하 대한제국의 수신교과서·국어독본 분석 : 동시기 일본 교과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6 장 신, "조선총독부학무국편집과와교과서편찬" 역사문제연구소 16 : 33-68, 2006
7 강명숙, "조선총독부학무국관료의활동및교육관연구" 한국연구재단 1-34, 2018
8 강진호, "조선어독본과 국어문화" 제이앤씨 2011
9 강진호, "조선어독본(1~5권)" 제이앤씨 2010
10 임이랑, "일제시기 [문교의 조선(文敎の朝鮮)]에 나타난 조선총독부 학무관료의 조선교육론"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9) : 373-405, 2013
1 朝鮮總督府, "歷代韓國文法大系第3部第8冊" 博而精 1912
2 朝鮮總督府, "歷代韓國文法大系第3部第8冊" 博而精 1921
3 朝鮮總督府, "歷代韓國文法大系第3部第8冊" 博而精 1930
4 이승구, "한말 및 일제강점기의교과서목록수집조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2001
5 石松慶子, "통감부치하 대한제국의 수신교과서·국어독본 분석 : 동시기 일본 교과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6 장 신, "조선총독부학무국편집과와교과서편찬" 역사문제연구소 16 : 33-68, 2006
7 강명숙, "조선총독부학무국관료의활동및교육관연구" 한국연구재단 1-34, 2018
8 강진호, "조선어독본과 국어문화" 제이앤씨 2011
9 강진호, "조선어독본(1~5권)" 제이앤씨 2010
10 임이랑, "일제시기 [문교의 조선(文敎の朝鮮)]에 나타난 조선총독부 학무관료의 조선교육론"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9) : 373-405, 2013
11 김성준, "일제강점기 조선어 교육과 조선어 말살정책 연구" 경인문화사 2010
12 하야시야마 가오리, "일제강점기 언어정책에 따른 초등 조선어 교과서 내용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4
13 허재영, "일제강점기 교과서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 경진문화사 2009
14 김주필, "음운변화와 표기의 대응관계" 국어학회 32 : 49-76, 1998
15 성희제, "원순모음화현상 연구" 우리말글학회 (23) : 49-76, 2001
16 박종희, "원순모음화 현상의 음운사적 연구" 국어국문학회 126 : 1-26, 2000
17 김동소, "아래아(‘.’) 문제를 다시 생각함" 택민국학연구원 (4) : 1-39, 2009
18 이계형, "대한제국기 통감부의 식민교육정책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8
19 김중진, "국어표기사 연구" 태학사 1999
20 김주필, "국어의 음운현상과 음운변화 연구" 역락 2011
21 강진호, "국어 교과서의 탄생" 글누림 2017
22 김중진, "개화기국어 표기법 연구"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3 : 51-76, 1993
23 이명화, "朝鮮總督府學務局의 機構變遷과 機能"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6 : 41-86, 1992
24 "敎授上의 注意幷字句訂正表"
25 최혜주, "小田省吾의 교과서 편찬활동과 조선사 인식" 동북아역사재단 (27) : 279-314, 2010
26 "『每日申報』, 1910. 11. 6"
27 김민수, "“신중국문”에관한연구–특히 “이으” 합음과아래아를문제로하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6 (6): 205-247, 1963
28 김명주, "<한청문감>에 나타난 ㆍ표기와 그 변화 양상" 한글학회 (314) : 45-77, 2016
29 김성기, "1910년대보통학교용‘조선어교과서’의내용과 성격에 대한연구" 국민대학교 2016
마이크로디그리의 교육적 효과와 발전 방향 모색 : 목원대학교 국어교육 MD ‘커뮤니케이션 마스터 코스’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6-06-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EOMUNYEONGU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5 | 0.35 | 0.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3 | 0.724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