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력 개념과 구성요인을 탐색하고 측정을 위한 척도를 개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기조절력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정의한 자기조절력 개념의 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36181
2015
Korean
375.2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59-81(23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력 개념과 구성요인을 탐색하고 측정을 위한 척도를 개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기조절력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정의한 자기조절력 개념의 공...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력 개념과 구성요인을 탐색하고 측정을 위한 척도를 개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기조절력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정의한 자기조절력 개념의 공통성을 파악하고 유사한 용어와의 비교를 통해 자기조절력 정의를 통합·정리하였다.그리고 자기조절력 관련 척도들의 구성요인을 탐색하여 공통된 구성 요인을 추출하고 유사한 구성요인끼리 분류하여 자기조절력의 구성요인을 인지조절, 정서조절, 행동조절, 동기조절로 설정하였다. 이를 기초로 문항을 수집·개발하여 전문가 집단의 검토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예비 검사에서는 서울 초등학생 200명의 응답 자료를 문항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하여 46개의 본검사 문항을 만들었다. 본검사에서는 1,051명의 응답 자료를 문항분석, 신뢰도 분석, 구인 타당도 검증, 공인타당도 검증, 내용타당도 재검증을 하여 31개의 최종문항을 확정하였다. 그 결과 본 척도의 타당성과 신뢰도(Cronbach α .939)를 확인할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초등학생용 자기조절력 척도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초등학생의 발달단계와 발달과업에 따른 자기조절력 척도를 개발하였다. 둘째, 다양한 자기조절력 개념을 통합하고 정리하여 이를 바탕으로 개발하여 기존 척도의 한계점을 극복하였다. 셋째, 정서조절과 동기조절을 분리하고 독립적인 차원으로 지각하면서 자기조절력 구성요인의 새로운 관계구조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학생 자기조절력의 수치화된 정보를 제공하여 다양한 자기조절력 프로그램 개발이나 다른 변인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할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for measuring self-regul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and to obtain evidence of validation for interpreting the scores on the scale. To achieve this study purpose, this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qu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for measuring self-regul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and to obtain evidence of validation for interpreting the scores on the scale. To achieve this study purpose, this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main components for the self-regulation scale? Second, What is the reliability of a self-regulation scale? Third, What is the validity of a self-regulation scale? The scale for the self-regul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this research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This scale is valid and credible.Self-regulation is difficult to measure in the way that the concept is complex and multifaceted. However a valid and credible scale could be developed by systematic research process. Second, it was developed based on an integrated concept of self-regulation. This study analyzed various self-regulation concepts from each scholar,and then integrated and defined self-regulation by comparison with similar terms.After integrating various concepts from previous studies, this improved scale overcame the previous limitations of other studies. Third, a new relationship structure between organizational factors was found. It presented four factors by analyzing factors of previous scales, extracting the common factors and classifying them as similar factors. This study is also meaningful because it will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regarding the self-regulation of each student and be a guide for future self-regulation improvement. Also, it will be based on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improvement. Moreover, it will help to contribute towards exploring and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tudents through further studies of correlation with other factors.
참고문헌 (Reference)
1 문병상, "학업적 자기조절 검사도구 개발" 13 (13): 239-260, 2000
2 Schunk, D. H., "학습동기 : 이론, 연구 그리고지원" 학지사 2013
3 최해주, "학령기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아동학회 33 (33): 23-40, 2012
4 허정경, "학령기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척도 개발과 관련 변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5 하요상, "초등학생의 희망 및 자기조절과 사회성간의 관계" 초등교육연구원 24 (24): 267-283, 2013
6 이혜민, "초등학생용 자기조절학습전략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윤한솔, "초등학생용 자기조절학습검사 타당화를 위한 기초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8 김경철, "자기통제력 검사 도구의 타당화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85-206, 2014
9 양명희, "자기조절학습의 모형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0 양명희, "자기조절학습 척도 개발 및 구조 검증 -동기조절과 정서조절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0 (20): 239-266, 2013
1 문병상, "학업적 자기조절 검사도구 개발" 13 (13): 239-260, 2000
2 Schunk, D. H., "학습동기 : 이론, 연구 그리고지원" 학지사 2013
3 최해주, "학령기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아동학회 33 (33): 23-40, 2012
4 허정경, "학령기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척도 개발과 관련 변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5 하요상, "초등학생의 희망 및 자기조절과 사회성간의 관계" 초등교육연구원 24 (24): 267-283, 2013
6 이혜민, "초등학생용 자기조절학습전략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윤한솔, "초등학생용 자기조절학습검사 타당화를 위한 기초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8 김경철, "자기통제력 검사 도구의 타당화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85-206, 2014
9 양명희, "자기조절학습의 모형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0 양명희, "자기조절학습 척도 개발 및 구조 검증 -동기조절과 정서조절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0 (20): 239-266, 2013
11 정미경, "자기조절 학습과 학업성취의 관계에 관한 구조모형 검증"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12 이명진, "자기조절 연구의 현황과 과제" 교육문제연구소 39 (39): 161-193, 2011
13 추병완, "자기 조절과 도덕교육" 한국윤리교육학회 29 (29): 301-322, 2012
14 이정란,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3 (23): 69-90, 2003
15 이양희, "유아기 자기조절 평가 척도 개발 연구" 9 (9): 27-47, 2005
16 양옥승, "유아 자기조절 측정척도의 개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383-401, 2011
17 양옥승, "영아 자기조절 능력 측정척도의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427-443, 2013
18 채서일, "사회과학 조사방법론" 비앤엠북스 2005
19 송명자, "발달심리학" 학지사 1999
20 김유미, "뇌 기반 교수-학습이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학회 42 (42): 83-106, 2004
21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12
22 Storommen, E. A., "Verbal self-regulation in a children's game: Impulsive errors on "Simon says."" 44 : 849-853, 1973
23 Eisenberg, N., "The role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in children's social functioning : A longitudinal study" 66 : 1360-1384, 1995
24 Corno, L., "The metacognitive control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11 : 333-346, 1986
25 Bandura, A.,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1986
26 Mischel, W., "Social cognitive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0-271, 1981
27 Bronson, M. B.,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Nature and nurture" Guilford 2000
28 Sink, C. A.,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performance in middle school children"
29 Zimmerman, B. J.,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 An over view" 25 (25): 3-17, 1990
30 Bandura, 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37 : 122-147, 1982
31 Kendall, P. C., "Self-control in children : Developmental of a rating scale" 47 (47): 1020-1029, 1979
32 채구묵, "SPSS와 AMOS를 이용한 고급통계학" 양서원 2014
33 이학식, "SPSS 20. 0 매뉴얼" 집현재 2013
34 Smith Donald, R., "Preliminary construct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Preschool Self-regulation Assessment(PSRA)for field-based research" 22 : 173-187, 2007
35 De Luca, C. R., "Normative data from the CANTAB. I :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 over the lifespan" 25 (25): 242-254, 2003
36 Pintrich, P. R.,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82 (82): 33-40, 1990
37 Meir, E. I., "Guidelines for item selection in inventories yielding score profiles" 41 : 1011-1016, 1981
38 Sayers, S. L., "Factor structure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for the assessment of negative symptoms" 8 (8): 269-280, 1996
39 Gralinski, J. H., "Everyday rules for behavior : Mother's requests to young children" 29 (29): 573-584, 1993
40 Brenner, E. M.,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s" Harper Collins 168-195, 1997
41 Klenberg, L., "Differential development of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in 3-to 12-Year-Old Finnish children" 20 (20): 407-428, 2001
42 Kuhl, P. K., "Developmental Neurocognition: Speech and Face Processing in the First Year of Life" Kluwer Academic Publishers 259-274, 1993
43 Mischel, H. N., "Development of children's knowledge of self-control strategies" 54 (54): 603-619, 1983
44 Akhtar, J. 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cademic self-regulation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23 (23): 1-, 2013
45 Schwarz, J. C., "Delay of gratification by preschoolers : Evidence for the validity of the choice paradigm" 54 : 620-625, 1983
46 Power, T. G., "Compliance and self-Assertion : Young children's responses to mothers versus fathers" 30 (30): 980-, 1994
47 Miller, D. C., "Adolescents' decision making in academic and social contexts: A self-regulation perspective"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2000
48 Welsh, M. C., "A normative developmental study on executive function : A window on prefrontal function in children" 7 (7): 131-149, 1991
49 양옥승, "3~6세 유아의 자기조절력 측정척도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161-187, 2006
셀프 연구 방법(Self-study)을 이용한 초등교원 인성교육 연수자료 개발
초등 정보영재의 창의적 인성 함양을 위한 체험중심 창의적 문제해결 기반 사이버 교수·학습의 설계 및 적용
초등학교 돌봄서비스의 목적 논의: 공공성과 아동 자기결정의 자유에 근거하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03-0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Center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2011-12-0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 |
2007-05-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초등교육연구소 -> 초등교육연구원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6 | 0.96 | 1.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2 | 0.89 | 1.375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