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군정기 초등교원 양성과정에 관한 연구 -사범학교 ‘교육’과 과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imary school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the U. S. Occupation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898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confirm how the elementary teacher training curriculum was operated in each U.S. military regular teacher school and to review the existing evaluation that the curriculum at that time was an American ideology added to the Japane...

      This study intended to confirm how the elementary teacher training curriculum was operated in each U.S. military regular teacher school and to review the existing evaluation that the curriculum at that time was an American ideology added to the Japanese colonial era's subj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ducation" and subject operation status of 10 U.S. military regular schools, in 1946, it generally follows the normal school curriculum table, but some subjects have been integrated and operated since 1947; the scope of subjects has been reduced or not operated at all in 1949. Second, it was generally impressive that the detailed areas of the U.S. Military Regular Education and Subjects were presented from the 1st to the 4th Joseon Education Decree of Japanese colonial era. Third, limited to the "education" department, it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integrating and reorganizing the detailed scope of the "education" and subjects operated at each normal school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Through this, it is difficult to deny the fact that education at the school of education was still implemented based on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t that time. In particular, it can be confirmed that such an appearance remains in the ”education”, which is evaluated as the main specificity of teacher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미군정기 각 사범학교에서 초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이 어떠한 방식으로 운영되었는가를 확인하고, 당시 사범학교의 교육과정이 일제강점기의 교과목에 미국식 이념을 더한 ...

      본 연구에서는 미군정기 각 사범학교에서 초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이 어떠한 방식으로 운영되었는가를 확인하고, 당시 사범학교의 교육과정이 일제강점기의 교과목에 미국식 이념을 더한 것이라는 기존의 평가를 재검토하기 위한 기초작업을 시행하고자 하였다. 이에 1950년 이전에 설립되어 현재 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10개 사범학교(현 교육대학)의 ‘교육’과 과목의 세부 범위를 미군정기 교수요목을 기준으로 정리하고, 일제강점기와 1954년 교육법 이후의 교수 내용과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군정기(1946년 9월) 10개 사범학교의 ‘교육’과 과목 운영현황을 살펴본 결과, 1946년에는 대체로 사범학교 과정표를 따르고 있으나 1947년부터 일부 교과목이 통합되어 운영되고, 1949년에는 교과목의 범위가 축소되거나 아예 운영되지 않았다. 둘째, ‘교육’과에 한정하여 미군정기 사범학교의 교수요목을 일제강점기 교육과정과 비교하였을 때, 대체로 미군정기 ‘교육’과 과목의 세부 영역이 일제강점기의 제1차 조선교육령 시기부터 제4차 조선교육령 시기까지 나타난 ‘교육’과의 교수범위를 총망라하여 제시되었다는 인상을 받을 수 있었다. 셋째, ‘교육’과에 한정하여 1954년 이후 사범학교의 교육과정과 미군정기 사범학교의 교수요목을 비교하면, 1954년 이후 사범학교 교육과정은 해방 직후 각 사범학교에서 운영되었던 ‘교육’과 과목의 세부 범위를 통합하고 정비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당시에도 여전히 일제강점기의 교육내용을 토대로 사범학교의 교육이 시행되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부정하기 힘들다. 특히, 사범교육의 주요한 특수성으로 평가되는 ‘교육’과에도 그러한 모습이 남아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