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수기, "하우젠(Housen)의 미적 발달 단계가 미술 비평 교육에 주는 시사점" 한국미술교육학회 22 (22): 109-128, 2008
2 최현주, "이저의 수용미학에 대하여" 37 : 207-232, 2005
3 정낙림, "예술에 대한 두 가지 태도- 칸트의 수용미학과 니체의 예술생리학 -" 대한철학회 130 : 277-304, 2014
4 김정희,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19 (19): 417-454, 2005
5 장민한, "아서 단토의 미술비평에서 미의 역할" 한국미학회 (78) : 215-241, 2014
6 류재만, "아동미술비평 지도 방안 연구" 13 : 145-168, 1993
7 최수정, "시각문화를 위한 예술 비평교육의 기초 방향" 6 : 169-184, 2014
8 김창식, "수용미학적 시각에서 본 미술감상 교육" 5 (5): 131-147, 2004
9 박정선, "수용미학 관점의 명화감상을 통한 심리치료 사례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1 (21): 309-330, 2014
10 차봉희, "수용미학" 문학과 지성사 1987
1 정수기, "하우젠(Housen)의 미적 발달 단계가 미술 비평 교육에 주는 시사점" 한국미술교육학회 22 (22): 109-128, 2008
2 최현주, "이저의 수용미학에 대하여" 37 : 207-232, 2005
3 정낙림, "예술에 대한 두 가지 태도- 칸트의 수용미학과 니체의 예술생리학 -" 대한철학회 130 : 277-304, 2014
4 김정희,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19 (19): 417-454, 2005
5 장민한, "아서 단토의 미술비평에서 미의 역할" 한국미학회 (78) : 215-241, 2014
6 류재만, "아동미술비평 지도 방안 연구" 13 : 145-168, 1993
7 최수정, "시각문화를 위한 예술 비평교육의 기초 방향" 6 : 169-184, 2014
8 김창식, "수용미학적 시각에서 본 미술감상 교육" 5 (5): 131-147, 2004
9 박정선, "수용미학 관점의 명화감상을 통한 심리치료 사례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1 (21): 309-330, 2014
10 차봉희, "수용미학" 문학과 지성사 1987
11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2009
12 전영백, "서양의 현대 미술비평 동향 연구: 1980년대 이후 영·미권 미술사 및비평담론의 주요 화두를 중심으로" 미술사연구회 27 (27): 447-484, 2013
13 김수현, "미학의 원리에 기초한 미술비평 지도 방법" 한국미술교육학회 25 (25): 1-24, 2011
14 임두빈, "미술비평이란 무엇인가" 서문당 2003
15 이윤아, "미술비평의 해석학적 본질- 가다머의 ‘놀이’ 개념을 중심으로 -" 대한철학회 97 : 215-242, 2006
16 장민한, "미술비평에서 '예술계'의 역할 - 어서 단토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미학회 (55) : 119-147, 2008
17 Venturi, L., "미술비평사" 문예출판사 2001
18 고은실, "미술비평교육의 필요성과 의의에 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2 (22): 85-108, 2008
19 김백균, "미술비평 위기론의 위기" 한국미술이론학회 (18) : 249-275, 2014
20 교육과학기술부, "미술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별책13〕"
21 류지영, "미술감상교육-수업의 구조와 감상의 기술" 미진사 2011
22 박휘락, "미술감상과 미술비평교육" 시공사 2011
23 이미정, "미술가로 활동하는 초등교사의 미술 수업에서 나타나는 암묵적 지식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4
24 손지현, "미술 감상 비평 교육의 교수법 비교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3 (33): 1-28, 2012
25 김연희, "‘질적 탐구’로서의 미술비평 - John Dewey의 관점에서 교육적 미술비평에 대한 재고찰 -" 한국미술교육학회 23 (23): 293-322, 2009
26 Garber, E., "Teaching art in the context of culture : A study in the borderlands" 36 (36): 218-232,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