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용미학을 바탕으로 한 인상주의적 미술비평의초등교육적 함의 = A Study of Educative Meaning of Impressionistic art criticism based on Reception theory(IRM) in Elementary art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729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t criticism, despite professional and intellectual activities covering a widerange of art criticism horizon, There are arguments for elementary schoolstudents were careful to whether that art criticism among scholars. Butteaching and learning theories have been extended. The expansion is stillunknown who is going to be a much effective way theories are actually in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ment of the Impressionistic artcriticism model based on Reception theory in elementary school and toevaluate whether an elementary education has significance. Which impliesthe acceptance impressionistic art criticism as an expansion of horizons, andthe Reception theory as the ba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riticism as analternative type of interactive art criticism. Second, the impressionistic artcriticism model based on the Reception theory(IRM)can be achieved progressivelymore positive complementary relationship.
      However, despite the practical nature of the study of teaching and learningfor the field IRM is still faced with a defect in the aesthetic limitations ofimpressionistic art criticism and Reception theory. It also required a deepartistic knowledge and qualifications for teachers requires a lot of effort tothe teacher. Nevertheless, the impressionistic art criticism that the audience's consciousness , understanding, perspective, spirits of the audience wasmainly based on Reception theory is expected that the effective method of forlearning the processing of art criticism.
      번역하기

      Art criticism, despite professional and intellectual activities covering a widerange of art criticism horizon, There are arguments for elementary schoolstudents were careful to whether that art criticism among scholars. Butteaching and learning theori...

      Art criticism, despite professional and intellectual activities covering a widerange of art criticism horizon, There are arguments for elementary schoolstudents were careful to whether that art criticism among scholars. Butteaching and learning theories have been extended. The expansion is stillunknown who is going to be a much effective way theories are actually in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ment of the Impressionistic artcriticism model based on Reception theory in elementary school and toevaluate whether an elementary education has significance. Which impliesthe acceptance impressionistic art criticism as an expansion of horizons, andthe Reception theory as the ba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riticism as analternative type of interactive art criticism. Second, the impressionistic artcriticism model based on the Reception theory(IRM)can be achieved progressivelymore positive complementary relationship.
      However, despite the practical nature of the study of teaching and learningfor the field IRM is still faced with a defect in the aesthetic limitations ofimpressionistic art criticism and Reception theory. It also required a deepartistic knowledge and qualifications for teachers requires a lot of effort tothe teacher. Nevertheless, the impressionistic art criticism that the audience's consciousness , understanding, perspective, spirits of the audience wasmainly based on Reception theory is expected that the effective method of forlearning the processing of art critic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09 개정교육과정의 미술교육의 내용 영역으로 미술비평은 미술사와 함께 감상 영역의 핵심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춘 미술비평의 교수 학습 관련 이론들은 이미 많은 반성적 연구로 이론적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미술비평이 전문적이고 광범위한 지평을 아우르는 지적 활동이라는 점에 있어서 초등학생에게 미술비평은가능한가라는 조심스러운 논지들이 있었으나 이를 무색하게 만들며 확장되어 가는 이론들이 실제로 현장에서 얼마나 효과적일 수 있는가는 아직 미지수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아동의 발달 수준과 성취기준에 충실한 수용미학을 바탕으로 한 인상주의적 미술비평 모델을 구안해 봄으로써 교육학적 실천이 가능한 미술비평 모델이 갖는 초등교육적 함의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수용자의 의식, 이해, 입장, 견해 등을 중시하는 수용미학을 바탕으로 한 관람자 중심의 주정주의적이고 개성적인 인상주의적 비평 방법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아동의 흥미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미술비평과정을 학습하는 데 보다 실효성 있는 교수 학습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2009 개정교육과정의 미술교육의 내용 영역으로 미술비평은 미술사와 함께 감상 영역의 핵심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춘 미술비평의 교수 학습 관련 이론들은 이미 많은 반...

      2009 개정교육과정의 미술교육의 내용 영역으로 미술비평은 미술사와 함께 감상 영역의 핵심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춘 미술비평의 교수 학습 관련 이론들은 이미 많은 반성적 연구로 이론적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미술비평이 전문적이고 광범위한 지평을 아우르는 지적 활동이라는 점에 있어서 초등학생에게 미술비평은가능한가라는 조심스러운 논지들이 있었으나 이를 무색하게 만들며 확장되어 가는 이론들이 실제로 현장에서 얼마나 효과적일 수 있는가는 아직 미지수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아동의 발달 수준과 성취기준에 충실한 수용미학을 바탕으로 한 인상주의적 미술비평 모델을 구안해 봄으로써 교육학적 실천이 가능한 미술비평 모델이 갖는 초등교육적 함의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수용자의 의식, 이해, 입장, 견해 등을 중시하는 수용미학을 바탕으로 한 관람자 중심의 주정주의적이고 개성적인 인상주의적 비평 방법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아동의 흥미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미술비평과정을 학습하는 데 보다 실효성 있는 교수 학습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수기, "하우젠(Housen)의 미적 발달 단계가 미술 비평 교육에 주는 시사점" 한국미술교육학회 22 (22): 109-128, 2008

      2 최현주, "이저의 수용미학에 대하여" 37 : 207-232, 2005

      3 정낙림, "예술에 대한 두 가지 태도- 칸트의 수용미학과 니체의 예술생리학 -" 대한철학회 130 : 277-304, 2014

      4 김정희,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19 (19): 417-454, 2005

      5 장민한, "아서 단토의 미술비평에서 미의 역할" 한국미학회 (78) : 215-241, 2014

      6 류재만, "아동미술비평 지도 방안 연구" 13 : 145-168, 1993

      7 최수정, "시각문화를 위한 예술 비평교육의 기초 방향" 6 : 169-184, 2014

      8 김창식, "수용미학적 시각에서 본 미술감상 교육" 5 (5): 131-147, 2004

      9 박정선, "수용미학 관점의 명화감상을 통한 심리치료 사례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1 (21): 309-330, 2014

      10 차봉희, "수용미학" 문학과 지성사 1987

      1 정수기, "하우젠(Housen)의 미적 발달 단계가 미술 비평 교육에 주는 시사점" 한국미술교육학회 22 (22): 109-128, 2008

      2 최현주, "이저의 수용미학에 대하여" 37 : 207-232, 2005

      3 정낙림, "예술에 대한 두 가지 태도- 칸트의 수용미학과 니체의 예술생리학 -" 대한철학회 130 : 277-304, 2014

      4 김정희,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19 (19): 417-454, 2005

      5 장민한, "아서 단토의 미술비평에서 미의 역할" 한국미학회 (78) : 215-241, 2014

      6 류재만, "아동미술비평 지도 방안 연구" 13 : 145-168, 1993

      7 최수정, "시각문화를 위한 예술 비평교육의 기초 방향" 6 : 169-184, 2014

      8 김창식, "수용미학적 시각에서 본 미술감상 교육" 5 (5): 131-147, 2004

      9 박정선, "수용미학 관점의 명화감상을 통한 심리치료 사례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1 (21): 309-330, 2014

      10 차봉희, "수용미학" 문학과 지성사 1987

      11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2009

      12 전영백, "서양의 현대 미술비평 동향 연구: 1980년대 이후 영·미권 미술사 및비평담론의 주요 화두를 중심으로" 미술사연구회 27 (27): 447-484, 2013

      13 김수현, "미학의 원리에 기초한 미술비평 지도 방법" 한국미술교육학회 25 (25): 1-24, 2011

      14 임두빈, "미술비평이란 무엇인가" 서문당 2003

      15 이윤아, "미술비평의 해석학적 본질- 가다머의 ‘놀이’ 개념을 중심으로 -" 대한철학회 97 : 215-242, 2006

      16 장민한, "미술비평에서 '예술계'의 역할 - 어서 단토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미학회 (55) : 119-147, 2008

      17 Venturi, L., "미술비평사" 문예출판사 2001

      18 고은실, "미술비평교육의 필요성과 의의에 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2 (22): 85-108, 2008

      19 김백균, "미술비평 위기론의 위기" 한국미술이론학회 (18) : 249-275, 2014

      20 교육과학기술부, "미술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별책13〕"

      21 류지영, "미술감상교육-수업의 구조와 감상의 기술" 미진사 2011

      22 박휘락, "미술감상과 미술비평교육" 시공사 2011

      23 이미정, "미술가로 활동하는 초등교사의 미술 수업에서 나타나는 암묵적 지식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4

      24 손지현, "미술 감상 비평 교육의 교수법 비교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3 (33): 1-28, 2012

      25 김연희, "‘질적 탐구’로서의 미술비평 - John Dewey의 관점에서 교육적 미술비평에 대한 재고찰 -" 한국미술교육학회 23 (23): 293-322, 2009

      26 Garber, E., "Teaching art in the context of culture : A study in the borderlands" 36 (36): 218-232,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영문명 : Art Education Society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 Korea Elementary Art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4 0.933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