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도시화 특성에 따른 기후변화취약계층 분석을 통한 스마트시티 설계 고려요소에 대한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8920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산업혁명 이후의 도시화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급격히 증가시켰고, 이는 기후변화의 부정적인 영향을 가지고 왔다. 기후변화의 위기는 인류문명의 가장 큰 숙제로 전세계 가장 큰 이슈 중 하나이다. 이를 전세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파리기후변화협약의 장기목표로는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을 2℃ 보다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1.5℃ 이하로 제한하기 위한 노력을 추구한다. 이에 195개 당사국 모든 국가가 기후행동에 참여하고 있다.
      기후변화를 늦추고,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도시문제의 해결방법으로 스마트시티가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시티는 첨단 기술을 적용하여 도시문제를 해겨하고 시민들에게 보다 나은 도시의 삶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해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첨단기술을 적용하는 것 뿐 아니라 정부의 제도적 지원과 민간부문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인적자원 요소가 필요하다.
      탄소중립을 실천하기 위하여 국제기구와 각 정부에서도 관련 사안을 우선순위로 두고 대처할 만큼 기후변화의 영향은 모든 종류의 자연 및 사회시스템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은 사회계층에 따라 다르게 미치고, 이는 사회의 양극화를 가속화하기 때문에 기후변화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마련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후변화 취약계층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그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와 기후변화 취약성에 대하여 고찰하고 도시화특성에 따른 기후변화취약계층의 구성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스마트시티 설계 시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을 파악하고, 기후변화취약계층의 취약성을 반영하여 조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 도시화수준, GRDP, 인구밀도, 재정자립도의 조합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시·군·구 229개의 도시를 클러스터링 방법을 통해 4개의 그룹을 나누고, 각 그룹별 도시화특성에 따른 기후변화 취약계층 구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시화의 특성에 따라 기후변화 취약계층의 구성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도시화에 따른 여러 가지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시티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취약계층을 고려한 스마트시티 연구가 활발해져 우리나라가 기후변화의 위기를 잘 극복할 뿐 아니라 포용적인 혁신사회로 나아가는데 활약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산업혁명 이후의 도시화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급격히 증가시켰고, 이는 기후변화의 부정적인 영향을 가지고 왔다. 기후변화의 위기는 인류문명의 가장 큰 숙제로 전세계 가장 큰 이슈 중 하...

      산업혁명 이후의 도시화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급격히 증가시켰고, 이는 기후변화의 부정적인 영향을 가지고 왔다. 기후변화의 위기는 인류문명의 가장 큰 숙제로 전세계 가장 큰 이슈 중 하나이다. 이를 전세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파리기후변화협약의 장기목표로는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을 2℃ 보다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1.5℃ 이하로 제한하기 위한 노력을 추구한다. 이에 195개 당사국 모든 국가가 기후행동에 참여하고 있다.
      기후변화를 늦추고,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도시문제의 해결방법으로 스마트시티가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시티는 첨단 기술을 적용하여 도시문제를 해겨하고 시민들에게 보다 나은 도시의 삶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해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첨단기술을 적용하는 것 뿐 아니라 정부의 제도적 지원과 민간부문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인적자원 요소가 필요하다.
      탄소중립을 실천하기 위하여 국제기구와 각 정부에서도 관련 사안을 우선순위로 두고 대처할 만큼 기후변화의 영향은 모든 종류의 자연 및 사회시스템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은 사회계층에 따라 다르게 미치고, 이는 사회의 양극화를 가속화하기 때문에 기후변화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마련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후변화 취약계층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그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와 기후변화 취약성에 대하여 고찰하고 도시화특성에 따른 기후변화취약계층의 구성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스마트시티 설계 시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을 파악하고, 기후변화취약계층의 취약성을 반영하여 조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 도시화수준, GRDP, 인구밀도, 재정자립도의 조합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시·군·구 229개의 도시를 클러스터링 방법을 통해 4개의 그룹을 나누고, 각 그룹별 도시화특성에 따른 기후변화 취약계층 구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시화의 특성에 따라 기후변화 취약계층의 구성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도시화에 따른 여러 가지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시티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취약계층을 고려한 스마트시티 연구가 활발해져 우리나라가 기후변화의 위기를 잘 극복할 뿐 아니라 포용적인 혁신사회로 나아가는데 활약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rbanization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has dramatically increased greenhouse gas emissions, which have had a negative impact on climate change. The climate change crisis is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of human civilization and one of the most significant issues in the world.
      The Paris Agreement is an international treaty as part of the global effort to keep the global average temperature lower than 2°C before industrialization and limiting it to 1.5°C. As a result, all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been participating in climate action since 2020.
      Smart cities are attracting attention to urban problems to slow climate change and reduce carbon emissions. They use high technology to tackle urban problems and provide citizens with a better urban life. To realize carbon neutrality for sustainable cities, it is necessary to apply cutting-edge technology,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ivate sector.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have far-reaching effects on all types of natural and social systems. A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governments prioritize and address related issues to implement carbon neutrality,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varies among socioeconomic classes. This accelerates the polarization of society and thus provides support for studying the susceptibility of the vulnerable. To this end, it is essential to reach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of the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This study examines climate change and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nd analyzes the composition of climate change vulnerable groups according to urbanization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being constructed in designing smart cities and reflect the vulnerabilities of the disadvantages in climate change distribution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urbanization level, GRDP(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population density, and financial independence, 229 cities in Korea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rough clustering methods, and the composition of climate change vulnerable groups was analyze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changed depending on the urbanization characteristic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mart cities are actively being carried out to solve the various urban problems caused by urbanization. This study will aid smart city research in actively including the vulnerable class of climate change while ensuring that Korea overcomes the climate crisis and moves toward an inclusive, innovative society.
      번역하기

      Urbanization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has dramatically increased greenhouse gas emissions, which have had a negative impact on climate change. The climate change crisis is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of human civilization and one of the most ...

      Urbanization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has dramatically increased greenhouse gas emissions, which have had a negative impact on climate change. The climate change crisis is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of human civilization and one of the most significant issues in the world.
      The Paris Agreement is an international treaty as part of the global effort to keep the global average temperature lower than 2°C before industrialization and limiting it to 1.5°C. As a result, all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been participating in climate action since 2020.
      Smart cities are attracting attention to urban problems to slow climate change and reduce carbon emissions. They use high technology to tackle urban problems and provide citizens with a better urban life. To realize carbon neutrality for sustainable cities, it is necessary to apply cutting-edge technology,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ivate sector.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have far-reaching effects on all types of natural and social systems. A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governments prioritize and address related issues to implement carbon neutrality,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varies among socioeconomic classes. This accelerates the polarization of society and thus provides support for studying the susceptibility of the vulnerable. To this end, it is essential to reach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of the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This study examines climate change and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nd analyzes the composition of climate change vulnerable groups according to urbanization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being constructed in designing smart cities and reflect the vulnerabilities of the disadvantages in climate change distribution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urbanization level, GRDP(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population density, and financial independence, 229 cities in Korea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rough clustering methods, and the composition of climate change vulnerable groups was analyze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changed depending on the urbanization characteristic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mart cities are actively being carried out to solve the various urban problems caused by urbanization. This study will aid smart city research in actively including the vulnerable class of climate change while ensuring that Korea overcomes the climate crisis and moves toward an inclusive, innovative soc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 배경 1
      • 2. 연구 목적 3
      •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5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 배경 1
      • 2. 연구 목적 3
      •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5
      • 제2장 이론적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7
      • 제1절 이론적배경 7
      • 1. 기후변화 정의 7
      • 2. 우리나라 스마트시티 개념 10
      • 3. 클러스터링(군집화) 15
      • 제2절 선행연구 고찰 17
      • 1. 기후변화와 기후변화 취약성 연구 17
      • 2. 스마트시티 연구 21
      • 제3장 기후변화 및 기후변화 취약계층 고찰 26
      • 제1절 기후변화의 영향 26
      • 1. 기후변화의 원인 26
      • 2. 기후변화 영향 분야 30
      • 제2절 기후변화의 취약성 37
      • 1. 취약성의 정의 및 개념 37
      • 2. 기후변화 취약성의 정의 및 개념 40
      • 제3절 기후변화 취약계층의 정의 47
      • 1. 일반적 취약계층의 개념 47
      • 2. 기후변화 취약계층의 개념 및 정의 49
      • 3. 기후변화 취약계층의 고찰 53
      • 제4장 스마트시티 설계 고려 요소 74
      • 제1절 스마트시티의 국내 동향 분석 74
      • 1. 우리나라 스마트시티 종합계획 74
      • 2. 한국판 뉴딜 정책의 스마트시티 76
      • 3. 외국의 스마트시티 사례 78
      • 제2절 스마트시티 설계 시 주요 고려요소 82
      • 1. 스마트시티 구성요소 82
      • 2. 기술적 측면 85
      • 3. 사회과학적 측면 87
      • 제5장 도시화특성에 따른 기후취약계층 분석 91
      • 제1절 분석의 방법론 91
      • 1. 연구자료 91
      • 2. 클러스터링 방법 94
      • 3. 실루엣 평가 96
      • 제2절 분석시행 및 결과 98
      • 1. 클러스터링 수 결정 98
      • 2. 클러스터링 특성 100
      • 3. 클러스터링 특성 별 대표도시 분석 103
      • 4. 각 클러스터링의 기후변화 취약계층 분석 109
      • 제6장 결론 111
      •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결론 111
      •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 113
      • 참고문헌 114
      • ABSTRACT 129
      • 감사의 글(Acknowledgement) 13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