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규제입법 제정에 있어서 입법원칙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4962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규제는 그 방식과 내용과 무관하게 사인의 자유로운 활동을 제한하는 국가의 작용의 형식이다. 규제를 설정하거나 강화하는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기본권 제한과 관련한 헌법적 원리가 지배된다. 규제와 관련한 논의는 자유로운 영업활동의 보장, 재산권 보장과 이에 대한 국가의 개입과 제한과의 관계로 볼 수도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국가로부터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기업의 자유와 자본의 세계화를 주장하던 신자유주의의 등장 시기와 규제개혁, 규제영향평가논의의 시기가 거의 맞물려 있다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신자유주의 이론은 별론으로 하더라도 국가가 사인 및 기업의 활동에 개입하기 위해서는 법치국가, 민주주의, 평등 원칙과 같은 헌법적 정당성을 가진 법률에 그 근거를 둔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내용을 가지면서 집행의 측면에서 최적의 효율성을 가진 수단을 사용하여야만 한다. 규제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공익의 실현과 이를 통한 구성원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고 보장하기 위한 공적 수단이다. 규제는 과거 모든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 근거로 있어왔다. 그러나 첨단기술, 새로운 위험의 발생, 위험의 세계화 등 점점 복잡해지고 있는 현대국가는 사회영역에 더 많은 개입을 할 수 밖에 없다. 어떠한 사인도 자신의 이익에 봉사하면서 동시에 공익을 실현할 수는 없으며, 이를 기대할 수도 없다. 결국, 규제의 불가피성을 인정하는 전제아래 피 규제자와의 관계에서 규제의 합리성, 규제의 적정성, 규제의 지속성, 규제의 효율성 등을 면밀히 검토하고 개선해 나가는 것이 규제 입법자의 입법태도라고 생각한다.
      번역하기

      규제는 그 방식과 내용과 무관하게 사인의 자유로운 활동을 제한하는 국가의 작용의 형식이다. 규제를 설정하거나 강화하는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기본권 제한과 관련한 헌법적 원리가 지배...

      규제는 그 방식과 내용과 무관하게 사인의 자유로운 활동을 제한하는 국가의 작용의 형식이다. 규제를 설정하거나 강화하는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기본권 제한과 관련한 헌법적 원리가 지배된다. 규제와 관련한 논의는 자유로운 영업활동의 보장, 재산권 보장과 이에 대한 국가의 개입과 제한과의 관계로 볼 수도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국가로부터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기업의 자유와 자본의 세계화를 주장하던 신자유주의의 등장 시기와 규제개혁, 규제영향평가논의의 시기가 거의 맞물려 있다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신자유주의 이론은 별론으로 하더라도 국가가 사인 및 기업의 활동에 개입하기 위해서는 법치국가, 민주주의, 평등 원칙과 같은 헌법적 정당성을 가진 법률에 그 근거를 둔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내용을 가지면서 집행의 측면에서 최적의 효율성을 가진 수단을 사용하여야만 한다. 규제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공익의 실현과 이를 통한 구성원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고 보장하기 위한 공적 수단이다. 규제는 과거 모든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 근거로 있어왔다. 그러나 첨단기술, 새로운 위험의 발생, 위험의 세계화 등 점점 복잡해지고 있는 현대국가는 사회영역에 더 많은 개입을 할 수 밖에 없다. 어떠한 사인도 자신의 이익에 봉사하면서 동시에 공익을 실현할 수는 없으며, 이를 기대할 수도 없다. 결국, 규제의 불가피성을 인정하는 전제아래 피 규제자와의 관계에서 규제의 합리성, 규제의 적정성, 규제의 지속성, 규제의 효율성 등을 면밀히 검토하고 개선해 나가는 것이 규제 입법자의 입법태도라고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gulation is a form of state action that restricts individual freedom, regardless of its contents and methods. Creation and reinforcement of regulation is necessarily ruled by Constitutional principles regarding restriction of Fundamental rights. Discussing regulations primarily addresses guarantee of free enterprise, property rights, and restrictions placed upon these liberties. Therefore, it is not a coincidence that issues on regulatory reform and regulatory impact assessment were raised along with the advent of neoliberalism, which proposes minimal state interference would further enhance freedom of enterprise and globalization of investment. Apart from the theory of neoliberalism, it is imperative that a state regulate individual and private enterprises on the basis of specific laws of constitutionally legitimate principles such as rule of law, democracy, and equality, while adopting the most efficient methods in terms of applications. Regulation is a public method with which state and local government pursue to serve public interest and therefore guarantee freedom and rights of their members. These regulations took a wide range of forms with various basis. However, the ever-more complicated contemporary state, which is characterized by high technology, creation of new dangers of risks, and globalization of risks inevitably turns to more interventions in social sectors. There is no fulfillment of public interest for an individual while pursuing their private interest at the same time, and it is also unreasonable to make such claims. Thus, under the premise that regulatory legislations are unavoidable, legislators of regulations must aim to deliberate thoroughly and improve the rationality, sustainability, and efficiency of regulations.
      번역하기

      Regulation is a form of state action that restricts individual freedom, regardless of its contents and methods. Creation and reinforcement of regulation is necessarily ruled by Constitutional principles regarding restriction of Fundamental rights. Dis...

      Regulation is a form of state action that restricts individual freedom, regardless of its contents and methods. Creation and reinforcement of regulation is necessarily ruled by Constitutional principles regarding restriction of Fundamental rights. Discussing regulations primarily addresses guarantee of free enterprise, property rights, and restrictions placed upon these liberties. Therefore, it is not a coincidence that issues on regulatory reform and regulatory impact assessment were raised along with the advent of neoliberalism, which proposes minimal state interference would further enhance freedom of enterprise and globalization of investment. Apart from the theory of neoliberalism, it is imperative that a state regulate individual and private enterprises on the basis of specific laws of constitutionally legitimate principles such as rule of law, democracy, and equality, while adopting the most efficient methods in terms of applications. Regulation is a public method with which state and local government pursue to serve public interest and therefore guarantee freedom and rights of their members. These regulations took a wide range of forms with various basis. However, the ever-more complicated contemporary state, which is characterized by high technology, creation of new dangers of risks, and globalization of risks inevitably turns to more interventions in social sectors. There is no fulfillment of public interest for an individual while pursuing their private interest at the same time, and it is also unreasonable to make such claims. Thus, under the premise that regulatory legislations are unavoidable, legislators of regulations must aim to deliberate thoroughly and improve the rationality, sustainability, and efficiency of regul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Abstract
      • Ⅰ. 들어가는 말
      • Ⅱ. 규제의 의의
      • Ⅲ. 규제입법의 입법원칙
      • 국문초록
      • Abstract
      • Ⅰ. 들어가는 말
      • Ⅱ. 규제의 의의
      • Ⅲ. 규제입법의 입법원칙
      • Ⅳ. 나가는 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균성, "획일규제에서 형평규제로의 변화 모색" 한국공법학회 43 (43): 135-160, 2015

      2 이원우, "현대적 민주법치국가에 있어서 행정통제의 구조적 특징과 쟁점"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29) : 105-133, 2011

      3 한승준, "프랑스 의원 규제입법 제도와 과정"

      4 박영도, "표준비용모델적용 사례 연구 - 스위스 소방법령의 사례 -" 법제연구원 2011

      5 김신, "최대유사체계분석기법을 통한 OECD 주요 선진국과의 규제관리체계 비교연구:미국, 영국, 독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27 (27): 55-88, 2013

      6 김유환, "정부규제의 대안과 대체질서"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29) : 35-59, 2011

      7 김태윤, "입법부와 규제개혁 -우리나라 규제입법의 문제점에 대한 제도적 개선방안의 모색을 중심으로-" 한국규제학회 23 : 69-114, 2014

      8 김봉철, "영국의 표준비용모델 연구" 법제연구원 2009

      9 이진국, "독일의 표준비용모델 연구" 법제연구원 2009

      10 전훈, "네덜란드의 표준비용모델 연구" 법제연구원 2009

      1 박균성, "획일규제에서 형평규제로의 변화 모색" 한국공법학회 43 (43): 135-160, 2015

      2 이원우, "현대적 민주법치국가에 있어서 행정통제의 구조적 특징과 쟁점"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29) : 105-133, 2011

      3 한승준, "프랑스 의원 규제입법 제도와 과정"

      4 박영도, "표준비용모델적용 사례 연구 - 스위스 소방법령의 사례 -" 법제연구원 2011

      5 김신, "최대유사체계분석기법을 통한 OECD 주요 선진국과의 규제관리체계 비교연구:미국, 영국, 독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27 (27): 55-88, 2013

      6 김유환, "정부규제의 대안과 대체질서"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29) : 35-59, 2011

      7 김태윤, "입법부와 규제개혁 -우리나라 규제입법의 문제점에 대한 제도적 개선방안의 모색을 중심으로-" 한국규제학회 23 : 69-114, 2014

      8 김봉철, "영국의 표준비용모델 연구" 법제연구원 2009

      9 이진국, "독일의 표준비용모델 연구" 법제연구원 2009

      10 전훈, "네덜란드의 표준비용모델 연구" 법제연구원 2009

      11 김재광, "규제품질 제고를 위한 규제 개선방안" 한국공법학회 42 (42): 199-224, 2014

      12 고인석, "규제입법의 개선 및 합리화 방안" 유럽헌법학회 (18) : 413-450, 2015

      13 정수현, "규제의 확대와 통제: 미국 연방정부 규제의 변천과정과 규제심사에 관한 연구" 동서문제연구원 27 (27): 107-134, 2015

      14 최승필, "규제완화에 대한 법적 고찰 - 인·허가 및 신고, 등록제도와 네거티브 규제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공법학회 12 (12): 317-347, 2011

      15 김현종, "규제관련 의원입법의 문제점과 과제"

      16 이혁우, "규제개혁의 창(槍) - 추진체계의 정비" 한국규제학회 24 : 3-43, 2015

      17 강정민, "규제개혁심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In 경제개혁이슈" 경제개혁연대 2013

      18 이성환, "규제개혁 현실에 대한 헌법적 평가" 11 (11): 2014

      19 박태현, "가습기 살균제 사건과 국가배상책임" 비교법학연구소 16 : 35-56, 2016

      20 Andreas von Arnauld, "Verfassungstheorie" 2010

      21 김명선, "OECD 국가와 우리나라의 규제개혁 관리체계 특성 비교분석" 4 (4): 2015

      22 Margrit Seckelmann, "Neue Aufgaben für den Nationalen Normenkontrollrat – Perspektiven für die Folgenabschätzung von Gesetzen?" 2010

      23 Detlef Merten, "Gute“ Gesetzgebungs als Verfassungspflicht oder Verfahrenslast?" 349-360, 2015

      24 Josef Aulehner, "Grundrechte und Gesetzgebung" 2011

      25 Ulrich Karpen, "Gesetzgebungslehre" 2008

      26 Stefan Huster, "Gesetzgebung im Sozialstaat und gelichheitsrechtliche Dogmatik" 171-174,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57 0.69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