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탐라별곡」에 나타난 제주사회 문제의 양상과 대응 = The Social Problems and it’s Responses in Jeong Eon-yoo’s 「Tamrabyeolgok」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eong Eon-yoo(鄭彦儒) was served as Jeju Local Governors from 1749 to 1751. On the basis of inspection tour of Jeju Island, he composed 「Tamrabyeolgok(耽羅別曲)」. Therefore, the genre of 「Tamrabyeolgok」 is Travel Gasa. 「Tamrabyeolgok...

      Jeong Eon-yoo(鄭彦儒) was served as Jeju Local Governors from 1749 to 1751. On the basis of inspection tour of Jeju Island, he composed 「Tamrabyeolgok(耽羅別曲)」. Therefore, the genre of 「Tamrabyeolgok」 is Travel Gasa. 「Tamrabyeolgok」 was one of Gazettes of Jeju(Jeju Eupji) publications and record paintings productions that started from Kim Sang-heon(金尙憲)’s Namsarok(南槎錄) written in 160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ocial problems and it’s responses in 「Tamrabyeolgok」.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amrabyeolgok」 consists of 120 verses and sequentially reorganizes inspection tour of coastline, scenic spots and middle area of Mt.Halla. in Jeju Island as Jeju Island inspection report and Jeju Island local written literature. 「Tamrabyeolgok」 have represented the social problems in Jeju Island in 18th century; A poor harvest, famine and pestilence caused by abnormal weather conditions, people of Jeju Island had no personal assets by tributary system, and Jeong Eon-yoo under pressure for requesting relief rice and gifting to the king as a Jeju Local Governors. Meanwhile, 「Tamrabyeolgok」 have represented responses to problems in Jeju Island in 18th century; Jeong Eon-yoo asked the Joseon government for relief rice and educating people of Jeju Island to solved the social problems, and he had shown the consciousness of governing the people throughout the Taoist world. In conclusion, 「Tamrabyeolgok」 allows to find Jeong Eon-yoo’s professional side of social problems in Jeju Islan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언유(鄭彦儒, 1687~1764)는 1749년(영조 25) 7월 25일부터 1751년(영조 27) 2월 29일까지 제주목사겸방어사(濟州牧使兼防禦使, 이하 제주목사)를 역임했다. 그는 자신의 제주 순력 체험을 토대로 ...

      정언유(鄭彦儒, 1687~1764)는 1749년(영조 25) 7월 25일부터 1751년(영조 27) 2월 29일까지 제주목사겸방어사(濟州牧使兼防禦使, 이하 제주목사)를 역임했다. 그는 자신의 제주 순력 체험을 토대로 기행가사 「탐라별곡(耽羅別曲)」을 지었다. 이 글은 「탐라별곡」이 김상헌(金尙憲)의 남사록(南槎錄)(1601)을 위시하여 제주읍지와 기록화를 제작하는 사회적·문화적 영향을 받아 창작된 것으로 이해하고, 「탐라별곡」을 개괄적으로 검토하고 「탐라별곡」에 나타난 18세기 중반 제주사회 문제의 양상과 이에 대한 대응을 고구했다. 이 글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120구로 이루어진 「탐라별곡」은 정언유의 해안 지대 순력 체험, 제주 승지 유람 체험, 중산간 지대 순력 체험을 순차적으로 재구성한 제주 순력 보고서이자 제주 기록문학이다. 「탐라별곡」에는 정언유가 순력 중에 포착한 제주사회 문제가 재현되어 있다. 열악한 자연환경에 의한 흉년, 기근, 역병, 공납 제도에 의한 제주백성의 무항산(無恒産), 출륙금지령(出陸禁止令)에 의한 자생력 상실, 구휼곡 이전 요청과 진상 관리에 대한 제주목사의 부담 등이 그것이다. 「탐라별곡」에는 제주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언유의 대응이 투영되어 있다. 지역사회 차원에서 구휼곡을 조정에 요청하고 백성을 교화하며, 개인 차원에서 도가적 이상세계의 지향을 통해 선정 의지를 다지는 것이 그것이다. 이와 같이 「탐라별곡」은 정언유가 목민관의 시각에서 제주 문제를 발견하고, 이에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따라서 「탐라별곡」은 정언유의 제주 문제 전문가적 면모를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라고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길언, "한라산" 대원사 2006

      2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생활천문관 음양력변환계산"

      3 노규호, "한국 기행문학 작품 연구" 국학자료원 1996

      4 윤석창, "탐라별곡 연구" 명지어문학회 14 : 1982

      5 "탐라별곡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迃軒集』 坤"

      6 "탐라별곡"

      7 진관훈, "조선후기 제주사회의 빈곤과 구빈활동" 탐라문화연구원 (41) : 331-356, 2012

      8 김오진, "조선시대 제주도의 이상기후와 문화" 푸른길 2018

      9 강만익, "조선시대 제주도 잣성(牆垣) 연구" 탐라문화연구원 (35) : 205-246, 2009

      10 이승호, "제주도 감귤 과수원의 야간 기온 분포(Ⅱ)" 대한지리학회 30 (30): 1995

      1 현길언, "한라산" 대원사 2006

      2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생활천문관 음양력변환계산"

      3 노규호, "한국 기행문학 작품 연구" 국학자료원 1996

      4 윤석창, "탐라별곡 연구" 명지어문학회 14 : 1982

      5 "탐라별곡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迃軒集』 坤"

      6 "탐라별곡"

      7 진관훈, "조선후기 제주사회의 빈곤과 구빈활동" 탐라문화연구원 (41) : 331-356, 2012

      8 김오진, "조선시대 제주도의 이상기후와 문화" 푸른길 2018

      9 강만익, "조선시대 제주도 잣성(牆垣) 연구" 탐라문화연구원 (35) : 205-246, 2009

      10 이승호, "제주도 감귤 과수원의 야간 기온 분포(Ⅱ)" 대한지리학회 30 (30): 1995

      11 "제주 목 관아 탐라순력도 체험관"

      12 주강현, "제주 기행" 웅진지식하우스 2017

      13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전라도 읍지류 선생안"

      14 이형상, "남환박물-남쪽 벼슬아치가 쓴 18세기 제주박물지" 형상 2009

      15 홍기표, "남사록 역주(상)" 제주문화원 2008

      16 "국립제주박물관"

      17 권순회,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국문시가 자료의 가치" 한국학연구원 (37) : 145-172, 2008

      18 김남형, "鄭彦儒의 『耽羅別曲』에 대하여" 한국학연구원 (36) : 349-382, 2008

      19 정언유, "鄕土史料5-南遊錄·達告辭·耽羅別曲·訓民篇" 제주문화원 1999

      20 "耽羅紀年"

      21 "經山集 권6"

      22 안세현, "朝鮮前期 「醉鄕記」·「睡鄕記」의 創作 樣相과 그 意味"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7 (37): 309-332, 2009

      23 "書經, 중국철학서전자화계획"

      24 하동률, "『嶺營日記』에 나타난 조선후기 관찰사의 생활상"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5 서주연, "「탐라별곡」의 공간의식에 따른 서술 특징과 그 의미" 국어국문학회 (168) : 237-263, 2014

      26 윤민용, "《탐라순력도》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2010

      27 김기영, "<탐라별곡>의 문학적 실상을 살핌"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3 : 2020

      28 윤치부, "<탐라별곡>의 구성과 표현" 제주교육대학교 24 : 1995

      29 박수진, "<耽羅別曲>에 드러난 濟州의 文化 空間 연구" 한국시가문화학회 (32) : 129-162, 2013

      30 여상진, "18세기 함경도 관찰사의 순력(巡歷) 노정과 주요 업무"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84-91, 2017

      31 이욱, "18세기 제주의 진상제(進上制)와 상품유통" 한국사연구회 (186) : 1-27, 2019

      32 전상욱, "18세기 전반 물선진상 관련 자료 분석- 『진상별단등록』을 중심으로 -" 국립문화재연구소 47 (47): 178-191, 2014

      33 이상보, "18세기 가사전집" 민속원 1991

      34 유정선, "18·19세기 기행가사의 작품세계와 시대적 변모양상"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35 김동전, "18·19세기 沓漢의 신분적 지위와 그 변동" 역사민속학회 (3) : 1993

      36 김성우, "17세기의 위기와 숙종대 사회상" 한국역사연구회 (25) : 1997

      37 이형대, "17·18세기 기행가사와 풍경의 미학" 민족문화연구원 (40) : 117-145,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6-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인문학연구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