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앤소니 기든스, "현대 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새물결 1999
2 김성보, "한국현대생활문화사 : 1960년대" 창비 2016
3 이영미, "한국대중예술사, 신파성으로 읽다 : 《장한몽》에서 <모래시계>까지" 푸른역사 2016
4 김은실, "한국 근대화 프로젝트의 문화 논리와 가부장성" 생각의 나무 (8) : 79-100, 1999
5 김복순, "전후 여성교양의 재배치와 젠더정치" 한국여성문학학회 18 (18): 7-60, 2007
6 김은하, "전후 국가 근대화와 “아프레 걸(전후 여성)” 표상의 의미" 한국여성문학학회 (16) : 177-209, 2006
7 여성문학학회 여원 연구모임, "여원 연구 : 여성, 교양, 매체" 국학자료원 2008
8 권보드래, "1960년을 묻다: 박정희시대의 문화정치와 지성" 천년의상상 2012
9 최경희, "1960년대 여성지를 통해 본 ‘교양의 레짐’ 연구 -『가정생활』, 『여상』, 『여원』에 나타난전통․국민․감정의 동원체제를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48) : 89-112, 2015
10 송인화, "1960년대 『여원』 연재소설 연구 - 연애담론의 사회, 문화적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19 (19): 293-336, 2008
1 앤소니 기든스, "현대 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새물결 1999
2 김성보, "한국현대생활문화사 : 1960년대" 창비 2016
3 이영미, "한국대중예술사, 신파성으로 읽다 : 《장한몽》에서 <모래시계>까지" 푸른역사 2016
4 김은실, "한국 근대화 프로젝트의 문화 논리와 가부장성" 생각의 나무 (8) : 79-100, 1999
5 김복순, "전후 여성교양의 재배치와 젠더정치" 한국여성문학학회 18 (18): 7-60, 2007
6 김은하, "전후 국가 근대화와 “아프레 걸(전후 여성)” 표상의 의미" 한국여성문학학회 (16) : 177-209, 2006
7 여성문학학회 여원 연구모임, "여원 연구 : 여성, 교양, 매체" 국학자료원 2008
8 권보드래, "1960년을 묻다: 박정희시대의 문화정치와 지성" 천년의상상 2012
9 최경희, "1960년대 여성지를 통해 본 ‘교양의 레짐’ 연구 -『가정생활』, 『여상』, 『여원』에 나타난전통․국민․감정의 동원체제를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48) : 89-112, 2015
10 송인화, "1960년대 『여원』 연재소설 연구 - 연애담론의 사회, 문화적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19 (19): 293-336, 2008
11 최경희, "1960~1970년대 여성지를 통해본 근대화의 젠더 양상 연구 -『여원』, 『여상』, 『주부생활』에 나타난 근대화의 혼종적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 (20): 313-331, 2016
12 장미경, "1960-70년대 가정주부(아내)의 형성과 젠더정치: 여원, 주부생활 잡지 담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15 (15): 142-180, 2007
13 김지영, "1950년대 여성잡지 『여원』 의 연재소설 연구 -연애 담론의 소설적 형상화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30) : 347-384, 2013
14 김현주, "1950년대 여성잡지 <여원>과 ‘제도로서의 주부’의 탄생" 대중서사학회 (18) : 387-416,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