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金剛山名의 역사적 淵源과 의미 = The Meaning of Mt. Geumgang’s name and the orig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437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t. Geumgang was historically referred as Sangak(霜嶽), Bongnae(蓬萊), Pungak(楓嶽), Gaegol(皆骨). According to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ancestral rites in the Country were held in Sangak. Sangak was first used in the formal name of...

      Mt. Geumgang was historically referred as Sangak(霜嶽), Bongnae(蓬萊), Pungak(楓嶽), Gaegol(皆骨). According to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ancestral rites in the Country were held in Sangak. Sangak was first used in the formal name of the country. After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三國時代), the name had not been used but Sangak which was forgotten by the criticism of the public of Confucian scholar made a subject of discussion and became the Mt. Geumgang, originally name.
      Pungak and Gaegol was constantly used in the early Koryo and it was not used in the late Koryo because the name of Geumgang became universal. In the Joseon Dynasty, man of letters used the name of poetry and prose but the noun of representing the mountain was not used because it was hidden by the name of Geumgang.
      These two names arise from showing four seasons of the topography of a stony mountain and maple.
      Geumgang was the Buddhism name. After accommodating the Buddhism, Mt. Geumgang attain eminence in Buddihism shrine in the latter part of 14th. Thus the name of mountain was also Geumgang universally . Even though it was the subject of criticism and making repulsion of Confucian scholar, Geumgang was already universally recognized. As a result, the name inherited tradition and it was still used in now.
      Bongnae was not used in the different name of Mt. Geumgang except in the case of that was used in the expression of Utopia until the Koryo Dynasty. The man of letters start to express to Bongnae of giving a wrong name. It was not representing the space of Taoism and not alternative of buddhism’s name. The reason why calling Bongnae was intended to expression metaphorical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역사적으로 금강산은 크게 霜嶽, 楓嶽, 皆骨, 蓬萊라는 이칭이 있었다. 상악, 풍악, 개골은 불교가 수용되기 전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던 금강산의 고유 명칭이었다. 특히 상악은 국가주도로 ...

      역사적으로 금강산은 크게 霜嶽, 楓嶽, 皆骨, 蓬萊라는 이칭이 있었다. 상악, 풍악, 개골은 불교가 수용되기 전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던 금강산의 고유 명칭이었다. 특히 상악은 국가주도로 행하던 名山大川祭 중 小祀를 지내던 곳으로 三國史記 祭祀條에 실려 있다. 조선시대사료까지 고증해 본 결과 상악은 가장 처음 ‘국가공명’으로 사용된 명칭이었다. 삼국시대 이후 사용되지 않다가 조선후기 불교식 이름으로 고착된 금강이란 명칭에 대한 儒者들의 비판여론 속에서 묻혀 있었던상악이라는 명칭이 다시금 거론되고 금강산의 원 명칭으로 고증된다.
      풍악, 개골은 고려전기까지 꾸준히 사용되다가 고려후기 금강이라는명칭이 보편화되면서 잘 사용되지 않는다. 조선시대 文士들의 詩文 내용에 두 명칭이 계속 나타나긴 하나, 금강이라는 명칭에 가려져 산을대표하는 題名으로는 잘 사용되지 않았다. 이 두 명칭은 가을, 겨울등 특정 계절에 나타나는 형상에 따라 각각 붙여진 것이 아니다. 돌산으로 이루어져 있는 지세와 단풍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는 모습 등 계절을불문하고 산 자체에서 풍기는 形勝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었다.
      금강은 華嚴經에 曇無竭菩薩이 상주한다는 산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불교식 이름이다. 불교의 수용이후 14세기 후반 금강산은 불교성지로 큰 명성을 얻는다. 그러므로 이시기 산의 명칭 또한 금강으로 보편화되어 사용된다. 조선시대에는 유자들의 거부감을 일으키고 비판의 대상이 되었지만, 이미 금강이라는 명칭은 대내ᆞ외적으로 확고부동하게자리 잡고 있어 대부분의 사람들도 금강산이라 칭했다. 현재에도 이러한 전통이 계승되어 금강이 대표 명칭으로 쓰이고 있다.
      봉래는 고려시대까지 이상세계 표현을 위한 것 외에 금강산의 異稱 으로 불린 예가없다. 조선시대부터 문인들이 금강산을 봉래로 빗대어표현하기 시작했다. 금강이라는 불교식 이름의 대안도, 道敎의 공간으로 표상화하기 위해 전적으로 사용한 것도 아니었다. 대부분 금강산이Utopia와 같은 곳임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題材나 배경으로 사용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금강산을 이칭하는 대표 명사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승이, "金剛山 관련 文學作品에 나타난 儒家的 思惟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2 아세아문화사, "한국사지총서-「유점사본말사지」" 47-48, 1977

      3 차주환, "한국도교사상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61-, 1997

      4 정민, "한국 도교사상의 이해" 아세아문화사 1990

      5 이상균, "조선전기 外國 使臣들의 金剛山 遊覽과 그에 따른 弊害 고찰" 한국사학회 (101) : 127-169, 2011

      6 김용곤, "조선시대 선비들의 금강산 답사기" 혜안 274-278, 1998

      7 백숙아, "송순 한시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시가문화학회 (34) : 189-216, 2014

      8 박은정, "금강산의 의미 변화와 儒者의 시선" 동방한문학회 (67) : 95-124, 2016

      9 金 鐸, "금강산의 유래와 종교적 의미" 동양고전연구 1 : 228-232, 1993

      10 박은순, "금강산도 연구" 일지사 14-34, 1997

      1 양승이, "金剛山 관련 文學作品에 나타난 儒家的 思惟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2 아세아문화사, "한국사지총서-「유점사본말사지」" 47-48, 1977

      3 차주환, "한국도교사상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61-, 1997

      4 정민, "한국 도교사상의 이해" 아세아문화사 1990

      5 이상균, "조선전기 外國 使臣들의 金剛山 遊覽과 그에 따른 弊害 고찰" 한국사학회 (101) : 127-169, 2011

      6 김용곤, "조선시대 선비들의 금강산 답사기" 혜안 274-278, 1998

      7 백숙아, "송순 한시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시가문화학회 (34) : 189-216, 2014

      8 박은정, "금강산의 의미 변화와 儒者의 시선" 동방한문학회 (67) : 95-124, 2016

      9 金 鐸, "금강산의 유래와 종교적 의미" 동양고전연구 1 : 228-232, 1993

      10 박은순, "금강산도 연구" 일지사 14-34, 1997

      11 김창현, "고려시대 금강산과 그 불교신앙" 부경역사연구소 (31) : 199-261, 2012

      12 黃胤錫, "頤齋遺藁" 한국고전번역원 2000

      13 허흥식, "韓國金石全文-中世 下" 아세아문화사 925-, 1984

      14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民族文化大百科事典"

      15 趙寅永, "雲石遺稿" 한국고전번역원 2002

      16 趙成夏, "金剛山記"

      17 龍野沙代, "金剛山 傳說의 文獻傳承 硏究-宗敎的 表象性을 中心으로-" 서울대학교 2013

      18 張錫胤, "肯堂藁"

      19 成海應, "硏經齋全集"

      20 柳重敎, "省齋集" 한국고전번역원 2004

      21 한영우, "癸園史話" 아세아문화사 166-, 1976

      22 鄭玉, "牛川集" 한국고전번역원 2006

      23 尹愭, "無名子集" 한국고전번역원 2000

      24 李學逵, "洛下生集" 한국고전번역원 2002

      25 黃景源, "江漢集" 한국고전번역원 1999

      26 申翊聖, "樂全堂集" 한국고전번역원 1992

      27 洪汝河, "木齋集" 한국고전번역원 1994

      28 國史編纂委員會, "朝鮮王朝實錄"

      29 이상균, "朝鮮時代 遊覽文化 硏究"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3

      30 濱田耕策, "新羅の祀典と名山大川の祭祀" 4 : 157-, 1984

      31 허흥식, "指空의 遊歷과 定着" 가산불교문화진흥원 (창간) : 92-95, 1991

      32 李裕元, "嘉梧藁略" 한국고전번역원 2003

      33 司馬遷, "史記" 중화서국 1976

      34 姜瑋, "古歡堂收艸詩稿" 한국고전번역원 2003

      35 洪敬謨, "冠巖全書" 한국고전번역원 2011

      36 金宗瑞, "『高麗史節要』(國譯)" 한국고전번역원 1977

      37 鄭麟趾, "『高麗史』(國譯)"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2

      38 金正喜, "『阮堂全集』(國譯)" 한국고전번역원 1988

      39 安軸, "『謹齋集』(國譯)" 한국고전번역원 2013

      40 朴世堂, "『西溪集』(國譯)" 한국고전번역원 2009

      41 崔滋, "『補閑集』(國譯)" 대양서적 1972

      42 崔岦, "『簡易集』(國譯)" 한국고전번역원 1999

      43 李穀, "『稼亭集』(國譯)" 한국고전번역원 2006

      44 南孝溫, "『秋江集』(國譯)" 한국고전번역원 2007

      45 李仁老, "『破閑集』(國譯)" 대양서적 1972

      46 尹鑴, "『白湖全書』(國譯)" 한국고전번역원 1996

      47 裵龍吉, "『琴易堂集』(國譯)" 한국국학진흥원 2013

      48 李穡, "『牧隱詩藁』(國譯)" 월인 2000

      49 李裕元, "『林下筆記』(國譯)" 한국고전번역원 1999

      50 李奎報, "『東國李相國集』(國譯)" 한국고전번역원 1981

      51 安鼎福, "『東史綱目』(國譯)" 한국고전번역원 1982

      52 李廷龜, "『月沙集』(國譯)" 한국고전번역원 1999

      53 李瀷, "『星湖全集』(國譯)" 한국고전번역원 2007

      54 李荇, "『新增東國輿地勝覽』(國譯)" 한국고전번역원 1985

      55 崔瀣, "『拙藁千百』(國譯)" 한국고전번역원 2006

      56 許筠, "『惺所覆瓿藁』(國譯)" 한국고전번역원 1982

      57 徐慶淳, "『心田稿』(國譯)" 한국고전번역원 1982

      58 金正浩, "『大東地志』(國譯)" 아세아문화사 1976

      59 列禦寇, "『列子』(國譯)" 연암서가 2011

      60 一然, "『三國遺事』(國譯)" 두계학술재단 1999

      61 金富軾, "『三國史記』(國譯)" 두계학술재단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남명학연구소 -> 경남문화연구원
      영문명 : The Nammyonghak Study Institute -> Institute of Gyeongnam Cul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9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