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기독교 철학과 나의 철학 여정 = Christian Philosophy in My Journeys as a Philosoph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319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written to place Christian philosophy in my journeys as a philosopher. The order of writing is (1) introducing the philosophy of Dooyeweerd as a first form of ‘Christian philosophy’ that I encountered, and then (2) discussing the background of being more attracted to the idea of ‘doing philosophy in a Christian way’ rather than a ‘Christian philosophy as a system by the talks with my mentors. In third part, Kant’s two ideas of philosophy will be discussed in order to discover a relevant idea of Christian philosophy proper to doing philosophy on everyday life I developed recent times. Finally, ‘Christian philosophy’ as a way of life following Christ, or, ‘Philosophia Christiana’ is discussed through reading Erasmus and Calvin. Through this article, I will claim that ‘Christian philosophy’ can have many forms, not just one, and that systematic efforts in doing Christian philosophy cannot be avoided, but nonetheless, it should not be forgotten that proper duty of philosophy is always related with concrete, everyday life.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written to place Christian philosophy in my journeys as a philosopher. The order of writing is (1) introducing the philosophy of Dooyeweerd as a first form of ‘Christian philosophy’ that I encountered, and then (2) discussing the b...

      This article is written to place Christian philosophy in my journeys as a philosopher. The order of writing is (1) introducing the philosophy of Dooyeweerd as a first form of ‘Christian philosophy’ that I encountered, and then (2) discussing the background of being more attracted to the idea of ‘doing philosophy in a Christian way’ rather than a ‘Christian philosophy as a system by the talks with my mentors. In third part, Kant’s two ideas of philosophy will be discussed in order to discover a relevant idea of Christian philosophy proper to doing philosophy on everyday life I developed recent times. Finally, ‘Christian philosophy’ as a way of life following Christ, or, ‘Philosophia Christiana’ is discussed through reading Erasmus and Calvin. Through this article, I will claim that ‘Christian philosophy’ can have many forms, not just one, and that systematic efforts in doing Christian philosophy cannot be avoided, but nonetheless, it should not be forgotten that proper duty of philosophy is always related with concrete, everyday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필자가 철학자로 철학을 공부해 온 여정 속에 기독교 철학이 차 지한 자리를 위치시키고자 쓴 글이다. 글의 순서는 ( 1 ) 필자가 처음 접하 게 된 ‘기독교철학’으로 도여베이르트의 철학을 소개하고, 이어서 ( 2 ) 체계 로서의 기독교철학보다는 ‘기독교적으로 철학하기’에 더 이끌렸던 배경을 몇몇 선생님들과의 만남을 통해서 이야기 한다. 이어서 ( 3 ) 칸트가 ‘철학’ 을 두고 고민한 내용과 그것이 세상속에 살아가는 우리들의 일상을 반성하 는 일과 무슨 연관이 있는지 드러내고 마지막으로 ( 4 ) 그리스도를 따라 살 아가는 삶의 방식으로서의 ‘그리스도교 철학’, 또는 ‘그리스도를 따르는 철 학’( Philosophia Christiana )을 에라스무스와 칼빈을 통해서 이야기하고 마지 막 부분에서는 기독교 철학과 관련해서 몇 가지 제안을 한다. 이 글을 통해서 필자는 ‘기독교철학’이 하나의 모습이 아니라 여러 모습을 가질 수 있으며 학문의 체계적 노력을 피할 수 없지만 그럼에도 삶의 길을 찾고, 삶을 끊임없 이 들여다보고 책임 있게 살아갈 수 있도록 사람들을 돕는 일이야말로 철학 의 고유한 본무임을 언제나 잊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을 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필자가 철학자로 철학을 공부해 온 여정 속에 기독교 철학이 차 지한 자리를 위치시키고자 쓴 글이다. 글의 순서는 ( 1 ) 필자가 처음 접하 게 된 ‘기독교철학’으로 도여베이르트의...

      이 글은 필자가 철학자로 철학을 공부해 온 여정 속에 기독교 철학이 차 지한 자리를 위치시키고자 쓴 글이다. 글의 순서는 ( 1 ) 필자가 처음 접하 게 된 ‘기독교철학’으로 도여베이르트의 철학을 소개하고, 이어서 ( 2 ) 체계 로서의 기독교철학보다는 ‘기독교적으로 철학하기’에 더 이끌렸던 배경을 몇몇 선생님들과의 만남을 통해서 이야기 한다. 이어서 ( 3 ) 칸트가 ‘철학’ 을 두고 고민한 내용과 그것이 세상속에 살아가는 우리들의 일상을 반성하 는 일과 무슨 연관이 있는지 드러내고 마지막으로 ( 4 ) 그리스도를 따라 살 아가는 삶의 방식으로서의 ‘그리스도교 철학’, 또는 ‘그리스도를 따르는 철 학’( Philosophia Christiana )을 에라스무스와 칼빈을 통해서 이야기하고 마지 막 부분에서는 기독교 철학과 관련해서 몇 가지 제안을 한다. 이 글을 통해서 필자는 ‘기독교철학’이 하나의 모습이 아니라 여러 모습을 가질 수 있으며 학문의 체계적 노력을 피할 수 없지만 그럼에도 삶의 길을 찾고, 삶을 끊임없 이 들여다보고 책임 있게 살아갈 수 있도록 사람들을 돕는 일이야말로 철학 의 고유한 본무임을 언제나 잊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을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영안, "하나님을 사랑하는 철학자 9인" IVP 161-187, 2005

      2 Klapwijk, Jaap, "칼빈의 철학관"

      3 강영안, "일상의 철학" 세창출판사 2018

      4 Hadot, Pierre, "고대철학이란 무엇인가" 열린책들 2017

      5 Erasmus, desiderius, "The Collected Works of Erasmus. Vol. 41" Toronto University Press 2019

      6 Calvinus, Johannes, "Institutio Christianae Religionis"

      7 Dooyeweerd, Herman, "Boek 1: De Wetsidee als grodlegging der wijsbegeerte" H. J. paris 1935

      1 강영안, "하나님을 사랑하는 철학자 9인" IVP 161-187, 2005

      2 Klapwijk, Jaap, "칼빈의 철학관"

      3 강영안, "일상의 철학" 세창출판사 2018

      4 Hadot, Pierre, "고대철학이란 무엇인가" 열린책들 2017

      5 Erasmus, desiderius, "The Collected Works of Erasmus. Vol. 41" Toronto University Press 2019

      6 Calvinus, Johannes, "Institutio Christianae Religionis"

      7 Dooyeweerd, Herman, "Boek 1: De Wetsidee als grodlegging der wijsbegeerte" H. J. paris 193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