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SCIE

      이식 후 12개월이 지난 신 이식 환자에서Cyclosporine Trough Level과 2-hour PostdoseBlood Level 사이의 상관 관계 및 적정 C2 Level = Correlation Between Cyclosporine Trough Levels and 2-Hour Postdose Blood Levels and Target C2 Levels in Patients after 12 Months Post KidneyTransplan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733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Cyclosporine dosing is traditionally based on trough levels(C0 level) rather than area under the concentration-time curve(AUC), although AUC correlates better with post transplantation acute rejection and acute toxicity. It is reported that C2 levels(2-hour postdose blood levels) are single sampling point that best reflects AUC0-4. But there has been no recommended C2 levels for patients after 12 months post kidney transpla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C0 levels and C2 levels and define recommended target C2 levels in patients after 12 months post kidney transplantation.
      Methods:Seventy three patients after 12 months post transplantation were studied. 83 data were obtained from 73 renal transplant patients. Blood C0 levels, blood C2 levels, body weight and serum creatinine level were measured. Blood cyclsporine levels were measured by monoclonal fluorescence polarization immunoassay(mFPIA)(TDX, Abbot). The data of C0 level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low group (<mean-SD, 119.3 ng/mL), normal group(mean±SD, 158.2±38.9 ng/mL), high group(>mean+SD, 197.1 ng/mL).
      Results: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0 levels and C2 levels, but no correlation between C0 levels and C2 levels when C0 level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yclosporine/body weight and C2 levels in normal C0 group. Recommended C2 levels in normal C0 group is 724.7±210.1 ng/mL.
      Conclusion:It is assumed that cyclosporine doses can be individualized by using C2 levels rather than C0 levels in renal transplant patients. However, prospective study may be needed to confirm the improvement of longterm renal allograft survival by individualizing cyclosporine doses based on C2 levels.
      번역하기

      Background:Cyclosporine dosing is traditionally based on trough levels(C0 level) rather than area under the concentration-time curve(AUC), although AUC correlates better with post transplantation acute rejection and acute toxicity. It is reported that...

      Background:Cyclosporine dosing is traditionally based on trough levels(C0 level) rather than area under the concentration-time curve(AUC), although AUC correlates better with post transplantation acute rejection and acute toxicity. It is reported that C2 levels(2-hour postdose blood levels) are single sampling point that best reflects AUC0-4. But there has been no recommended C2 levels for patients after 12 months post kidney transpla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C0 levels and C2 levels and define recommended target C2 levels in patients after 12 months post kidney transplantation.
      Methods:Seventy three patients after 12 months post transplantation were studied. 83 data were obtained from 73 renal transplant patients. Blood C0 levels, blood C2 levels, body weight and serum creatinine level were measured. Blood cyclsporine levels were measured by monoclonal fluorescence polarization immunoassay(mFPIA)(TDX, Abbot). The data of C0 level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low group (<mean-SD, 119.3 ng/mL), normal group(mean±SD, 158.2±38.9 ng/mL), high group(>mean+SD, 197.1 ng/mL).
      Results: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0 levels and C2 levels, but no correlation between C0 levels and C2 levels when C0 level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yclosporine/body weight and C2 levels in normal C0 group. Recommended C2 levels in normal C0 group is 724.7±210.1 ng/mL.
      Conclusion:It is assumed that cyclosporine doses can be individualized by using C2 levels rather than C0 levels in renal transplant patients. However, prospective study may be needed to confirm the improvement of longterm renal allograft survival by individualizing cyclosporine doses based on C2 leve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배 경:Cyclosporine은 탁월한 면역 억제 작용으로 인해 이식 환자에게 널리 사용되는 약제이나 약물 농도의 치료 범위(therapeutic window)가 좁다. 따라서 체내 cyclosporine의 약물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급성 거부반응과 이식 장기의 소실 빈도를 증가시키고 cyclosporine의 약물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각종 부작용을 야기한다. 또한 cyclosporine은 약물 흡수의 변동이 심하여 만성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각종 부작용은 피하면서 면역 억제 작용은 극대화하고자 cyclosporine의 체내 적정 약물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C0 농도(cyclosporine trough level)가 임상에서 비교적 간편하게 cyclosporine의 체내 적정 약물 농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C2 농도(2-hour postdose blood level)를 통한 cyclosporine의 혈중 농도 감시가 AUC0-4h(area under the concentration- time curve 0-4 hr)와 연관성이 높고 한번의 채혈 결과만으로도 체내 약물 농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 이식 환자를 비롯한 각종 장기 이식 환자에서 점차 C2 농도가 C0 농도를 대신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식 후 12개월이 지난 안정된 신 이식 환자에서 체내 cyclosporine의 적정 C2 농도 기준은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식 후 12개월이 지난 안정된 신 이식 환자에서의 cyclosporine의 체내 적정 약물 농도 기준으로서 C2 농도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C0 농도와 C2 농도간의 상관 관계 유무 및 적정 C2 농도를 알아보았다.
      방 법:2001년 5월 현재 영남대학교병원 신장내과에서 추적 관찰 중인 신 이식 환자 중 이식 후 12개월이 지난 안정된 신 이식 환자 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에게서 cyclosporine을 투약하기 전 혈중 C0 농도와 투약 후 2시간째 혈중 C2 농도 및 혈청 크레아티닌을 측정하였고 투약 받은 cyclosporine의 용량을 기록하였다.
      결 과:전체 C0 농도와 C2 농도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으나(r=0.313, p= 0.004), C0 농도의 평균값(mean±SD)을 기준으로 하여 세 군으로 나누었을 때 각 군에서 C0 농도와 C2 농도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는 없었다. 그러나 정상 C0 군에서 환자 체중에 따른 cyclosporine의 용량과 C2 농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r= 0.269, p=0.039).
      결 론:따라서 저자들은 이식 후 12개월이 지난 안정된 신 이식 환자에서 C0 농도가 정상 범위인 경우 적정 C2 농도는 724.7±210.1 ng/mL로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배 경:Cyclosporine은 탁월한 면역 억제 작용으로 인해 이식 환자에게 널리 사용되는 약제이나 약물 농도의 치료 범위(therapeutic window)가 좁다. 따라서 체내 cyclosporine의 약물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배 경:Cyclosporine은 탁월한 면역 억제 작용으로 인해 이식 환자에게 널리 사용되는 약제이나 약물 농도의 치료 범위(therapeutic window)가 좁다. 따라서 체내 cyclosporine의 약물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급성 거부반응과 이식 장기의 소실 빈도를 증가시키고 cyclosporine의 약물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각종 부작용을 야기한다. 또한 cyclosporine은 약물 흡수의 변동이 심하여 만성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각종 부작용은 피하면서 면역 억제 작용은 극대화하고자 cyclosporine의 체내 적정 약물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C0 농도(cyclosporine trough level)가 임상에서 비교적 간편하게 cyclosporine의 체내 적정 약물 농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C2 농도(2-hour postdose blood level)를 통한 cyclosporine의 혈중 농도 감시가 AUC0-4h(area under the concentration- time curve 0-4 hr)와 연관성이 높고 한번의 채혈 결과만으로도 체내 약물 농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 이식 환자를 비롯한 각종 장기 이식 환자에서 점차 C2 농도가 C0 농도를 대신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식 후 12개월이 지난 안정된 신 이식 환자에서 체내 cyclosporine의 적정 C2 농도 기준은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식 후 12개월이 지난 안정된 신 이식 환자에서의 cyclosporine의 체내 적정 약물 농도 기준으로서 C2 농도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C0 농도와 C2 농도간의 상관 관계 유무 및 적정 C2 농도를 알아보았다.
      방 법:2001년 5월 현재 영남대학교병원 신장내과에서 추적 관찰 중인 신 이식 환자 중 이식 후 12개월이 지난 안정된 신 이식 환자 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에게서 cyclosporine을 투약하기 전 혈중 C0 농도와 투약 후 2시간째 혈중 C2 농도 및 혈청 크레아티닌을 측정하였고 투약 받은 cyclosporine의 용량을 기록하였다.
      결 과:전체 C0 농도와 C2 농도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으나(r=0.313, p= 0.004), C0 농도의 평균값(mean±SD)을 기준으로 하여 세 군으로 나누었을 때 각 군에서 C0 농도와 C2 농도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는 없었다. 그러나 정상 C0 군에서 환자 체중에 따른 cyclosporine의 용량과 C2 농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r= 0.269, p=0.039).
      결 론:따라서 저자들은 이식 후 12개월이 지난 안정된 신 이식 환자에서 C0 농도가 정상 범위인 경우 적정 C2 농도는 724.7±210.1 ng/mL로 제시하였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1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외국어명 : 미등록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KCI등재
      2007-02-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 0.42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