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예비교원 교육실습 온라인 지원체제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탐색 = From Analyzing the Status Quo to Exploring Ways to Improve Online Teaching Practice Support Systems for Pre-service Teachers 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115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양질의 교원을 확보하기 위해서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을 향상시킬 방안 중 하나로써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개선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교육실습 활성화...

      양질의 교원을 확보하기 위해서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을 향상시킬 방안 중 하나로써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개선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교육실습 활성화 및 교육실습 효과 극대화를 꾀하기 위해 국내 교육실습 온라인 지원체제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탐색하였다. 국내 교육실습 온라인 지원체제 운영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초·중등교원 양성기관과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교육실습 관련 웹페이지를 검색하여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분석유목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내용적 측면과 구조적 측면으로 나누어 개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일부 학교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학교가 교육실습 온라인 지원체제를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해 운영하고 있다기보다는 교육실습에 대한 간단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어서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실습 온라인 지원체제로써의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분석유목과 분석결과를 고려하여 기존 교육실습 온라인 지원체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online teaching practice support systems of universities for training pre-service teachers have been operated in South Korea and explore how to improve them to enhance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c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online teaching practice support systems of universities for training pre-service teachers have been operated in South Korea and explore how to improve them to enhance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competence. To analyze the status quo of online teaching practice support systems, web pages related to teaching practice were examined. For this study, a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how universities for training pre-service teachers use web pages for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A coding scheme was develop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eaching practice and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and it consisted of two parts: instructional contents and structural aspect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few basic information about teaching practice on most online teaching practice support systems in South Korea and they did not fulfill the necessary conditions as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online teaching practice support system of universities in South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 Ⅳ.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 Ⅳ.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onassen, D. H., "학습환경 설계의 이론적 기반" 학지사 2014

      2 Jonassen, D. H., "학습자 중심 학습의 연구·실천을 위한 이론적 토대" 교육과학사 2012

      3 소경희, "학교 교육에 있어서 ‘자기주도 학습’(Self-directed learning)의 의미" 16 (16): 329-351, 1998

      4 이성흠, "지식기반사회에서 정보·통신기술 활용을 위한 교사의 핵심역량 개발"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203-223, 2003

      5 서미연, "중등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교수설계 활동체제의 변화" 한국교육공학회 33 (33): 681-708, 2017

      6 최성우, "중등교사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교사효능감의 관련성" 교육공학연구소 6 (6): 24-44, 2012

      7 김규동, "이러닝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참여도, 학습자-교수자 간의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안암교육학회 18 (18): 169-188, 2012

      8 김원영, "웹 기반 원격교육에서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연수시스템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멀티미디어학회 5 (5): 538-551, 2002

      9 나일주, "웹 기반 온라인 기업교육의 설계원리 도출을 위한 탐색적 연구" 2 (2): 5-29, 2000

      10 심미자, "예비교사의 교육정보화 능력 향상을 위한 e-티칭 포트폴리오 활용 방안"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3 (13): 309-329, 2007

      1 Jonassen, D. H., "학습환경 설계의 이론적 기반" 학지사 2014

      2 Jonassen, D. H., "학습자 중심 학습의 연구·실천을 위한 이론적 토대" 교육과학사 2012

      3 소경희, "학교 교육에 있어서 ‘자기주도 학습’(Self-directed learning)의 의미" 16 (16): 329-351, 1998

      4 이성흠, "지식기반사회에서 정보·통신기술 활용을 위한 교사의 핵심역량 개발"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203-223, 2003

      5 서미연, "중등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교수설계 활동체제의 변화" 한국교육공학회 33 (33): 681-708, 2017

      6 최성우, "중등교사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교사효능감의 관련성" 교육공학연구소 6 (6): 24-44, 2012

      7 김규동, "이러닝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참여도, 학습자-교수자 간의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안암교육학회 18 (18): 169-188, 2012

      8 김원영, "웹 기반 원격교육에서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연수시스템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멀티미디어학회 5 (5): 538-551, 2002

      9 나일주, "웹 기반 온라인 기업교육의 설계원리 도출을 위한 탐색적 연구" 2 (2): 5-29, 2000

      10 심미자, "예비교사의 교육정보화 능력 향상을 위한 e-티칭 포트폴리오 활용 방안"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3 (13): 309-329, 2007

      11 나승일,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실습 가이드" 교육과학사 2012

      12 주미경, "사범대학-현장학교 협력관계에 기반한 교육실습 사례 분석: 중등교원을 위한 교육실습 확대 방안 가능성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363-384, 2007

      13 전상학, "사범대학 예비교사의 교직 전문성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및 효과" 교육종합연구원 26 (26): 115-139, 2017

      14 한정선, "미래사회를 위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과학사 2008

      15 심미자, "디지털 티칭 포트폴리오 -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 활용 가능성 탐색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8): 51-79, 2005

      16 홍기칠, "구성주의적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력 분석과 학습모형 개발"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75-98, 2004

      17 정미재, "교육실습이 예비교사의 역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63-83, 2012

      18 서재복, "교육실습의 이해" 학이당 2004

      19 김헌수, "교육실습의 이론과 실제" 태영출판사 2008

      20 정혜영, "교육실습을 통한 교육실습생의 교육신념 변화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235-257, 2008

      21 손승남, "교사의 수업전문성 관점에서 본 교사교육의 발전방향" 한국교원교육학회 22 (22): 89-108, 2005

      22 이영주,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 동향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23-43, 2016

      23 조호제,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업전문성의 차이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183-207, 2009

      24 고은현, "e-러닝에서의 교수실재감 구인 요인에 대한 실증적 탐색"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263-287, 2006

      25 Shulman, L. S.,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15 (15): 4-14, 1986

      26 Kozma, R. B., "Technology, innovation, and educational change: a global perspective: a report of the Second Information Technology in Education Study, Module 2"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2003

      27 Adelsköld, G., "Problem‐based distance learning of energy issues via computer network" 20 (20): 129-143, 1999

      28 Jonassen, D., "Learning to solve problems on the Web : Aggregate planning in a business management course" 20 (20): 49-63, 1999

      29 Andrusyszyn, M. A., "Facilitating reflection through interactive journal writing in an online graduate course : a qualitative study" 12 (12): 103-126, 2007

      30 Wilson, S. M., "Exploring teacher’s thinking" Cassell 104-124, 1987

      31 Landis, J. R., "An application of hierarchical kappa-type statistics in the assessment of majority agreement among multiple observers" 363-374, 1977

      32 산업통상자원부, "2017년 이러닝산업 실태조사" 산업통상자원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7 2.37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1 2.46 2.479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