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얀마의 여성운동과 NGO활동가들의 젠더교육 : 양곤과 까친 주의 활동가를 중심으로 = The Feminist Movement and the Gender Education of NGO Activists in Myanm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931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0년 미얀마 사회는 오랜 권위주의와 폐쇄 체제에서 개방정책을 시행하며 전환기를 맞이하였다. 미얀마 여성운동은 옹호, 교육, 캠페인, 거버넌스 같은 다양한 활동으로 젠더 평등을 이...

      2010년 미얀마 사회는 오랜 권위주의와 폐쇄 체제에서 개방정책을 시행하며 전환기를 맞이하였다. 미얀마 여성운동은 옹호, 교육, 캠페인, 거버넌스 같은 다양한 활동으로 젠더 평등을 이루고자 하였고 젠더평등을 위한 도구로 젠더교육을 추진했다.
      본 연구는 미얀마의 여성운동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젠더교육을 post Colonial feminism의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얀마에서 젠더교육이 활성화하게 된 이유는 무엇보다 여성에게 차별적이고 폭력적인 문화 관행을 해체하기 위한 것이었다. 젠더교육이 활성화할 수 있었던 요인으로 미얀마의 정치․사회적인 변화가 중요하게 작동하였는데 개방정책으로 시민민주주의가 도입되기 시작하였고 미얀마에 시민사회를 육성하고자 하는 서방의 개발기구와 국가들의 성평등 원조기금에 힘입은 바가 컸다.
      둘째, 대도시인 양곤과 지역인 까친의 젠더교육은 서로 연결되어 있었 지만 까친은 분쟁지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까친의 젠더교육은 분쟁이 발생하는 IDP 난민들이 곳곳에 거주하고 있는 까친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IDP 난민 여성들의 지원과 교육 활동은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 가운데 이루어지고 있었고 IDP 여성들은 생리위생, 피임 같은 실생활과 연결된 교육을 받고자 하는 욕구가 있었다.
      셋째, 젠더교육이 여러 문제를 안고 있었음에도 변화는 느리지만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까친의 IDP 활동가들은 젠더교육을 통해 가정폭력이 당연한 것이 아니라 차별이고 폭력임을 인식할 수 있게 되고 문화와 전통 속에 내재되어 있는 차별을 인식하고 가족, 동료, 캠프의 주민들과 대화하고 교육하며 자신과 공동체를 변화시키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2010, Myanmar's society marked a turning point by implementing an open-door policy under long authoritarianism and closed system and authoritarianism. The Myanmar women's movement sought to achieve gender equality through various activities such as...

      In 2010, Myanmar's society marked a turning point by implementing an open-door policy under long authoritarianism and closed system and authoritarianism. The Myanmar women's movement sought to achieve gender equality through various activities such as advocacy, education, campaigns and governance, and promoted gender education as a tool for gender equality.
      This study looked at gender education within the women's movement in Myanmar in the context of post colonial femin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son for the revitalization of gender education in Myanmar was, above all, to dismantle discriminatory and violent cultural practices for women.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in Myanmar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vitalizing gender education, thanks to the introduction of civil democracy as an open policy and the Western development organizations and the gender equality aid fund to foster civil society in Myanmar.
      Second, the gender education of Yangon, a large city, and Kkachin, a local area, was interconnected, but Kkachin had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uted area. Kkachin's gender education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Kkachin, where conflict-ridden IDP refugees reside everywhere, while IDP women's support and education activities were not guaranteed, and IDP women had a desire to receive education linked to real life such as physiological hygiene and contraception.
      Third, even though gender education had many problems, changes were slow but emerging. In particular, Kkachin's IDP activists recognized domestic violence as discrimination and violence, recognized discrimination inherent in culture and tradition, discussed and educated the residents of family, colleagues and camps, and changed themselves and the commun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장 서론 1
      • 1절 문제 제기 1
      • 가. 연구 배경 1
      • 나. 연구 목적과 연구 질문 5
      • 2절 연구지역 5
      • 1장 서론 1
      • 1절 문제 제기 1
      • 가. 연구 배경 1
      • 나. 연구 목적과 연구 질문 5
      • 2절 연구지역 5
      • 가. 양곤 6
      • 나. 까친 주 8
      • 3절 연구 방법 11
      • 가. 연구 방법과 절차 11
      • 나. 현지조사 과정 12
      • 다. 연구 참여자 15
      • 2장 선행 연구 및 이론적 배경 20
      • 1절 선행 연구 20
      • 가. 미얀마의 젠더 관계 20
      • 나. 태국 국경지역 난민캠프의 인권운동 23
      • 2절 이론적 배경 29
      • 가. 탈식민 페미니즘 29
      • 나. 성별화된 민족주의 33
      • 3장· 미얀마 분쟁과 여성 38
      • 1절 미얀마 분쟁의 역사와 까친 분쟁 38
      • 가. 미얀마 국내 분쟁의 역사 38
      • 나. 까친의 분쟁 40
      • 다. 평화 정착을 위한 평화협정(NCA) 43
      • 2절 국내 분쟁과 IDP여성 46
      • 가. IDP 여성 46
      • 나. 평화협정과 여성 49
      • 4장 미얀마의 여성운동 52
      • 1절 미얀마의 여성운동 조직 52
      • 가. 정부 내 여성기구와 미얀마 여성선진화를 위한 국가전략(NSPWA) 52
      • 나. 미얀마의 여성운동 단체 57
      • 2절 미얀마의 여성운동 의제 63
      • 가. 여성 빈곤 63
      • 나. 토지 65
      • 다. 폭력 66
      • 5장. 양곤과 까친 활동가들의 젠더교육 경험 69
      • 1절 NGO 활동가들의 젠더교육 경험 69
      • 가. 젠더교육의 시작 69
      • 나. 개방 이후의 젠더교육 70
      • 2절 젠더교육 실천 72
      • 가. 젠더교육 활동의 계기 72
      • 나. 젠더교육 실천 경험 75
      • 다. 원조기금에의 의존성과 자율성의 제약 84
      • 3절 젠더교육 이후의 변화 88
      • 가. 사회문화의 변화 88
      • 나. 개인의 변화 90
      • 6장 결론 92
      • 참고문헌 95
      • Abstract 1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