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ur huge units of the Ming Dynasty made a sortie at the same time to clear the Hetuala (赫圖阿拉), the base of the Hou Jin Dynasty, in 1619. Thirteen thousand Joseon soldiers with Gang Hongnip(姜弘立) as the general commander were affiliated w...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ur huge units of the Ming Dynasty made a sortie at the same time to clear the Hetuala (赫圖阿拉), the base of the Hou Jin Dynasty, in 1619. Thirteen thousand Joseon soldiers with Gang Hongnip(姜弘立) as the general commander were affiliated w...
Four huge units of the Ming Dynasty made a sortie at the same time to clear the Hetuala (赫圖阿拉), the base of the Hou Jin Dynasty, in 1619. Thirteen thousand Joseon soldiers with Gang Hongnip(姜弘立) as the general commander were affiliated with the troops of Yu Jeong forwarding to Hetuala in the east. The main unit of Yu Jeong(劉綎) was destroyed by the mounted troops of Hou Jin while the left regiment of Joseon led by Kim Eungha(金應河) following the main unit was also defeated. As Gang Hongnip, who had not joined the battle, tried to negotiate settlement with the troops of Hou Jin, General Qiao Yiqi(喬一琦) of the Ming Dynasty, who had been left in the camp of the Joseon army in a supervisory role, committed suicide. Gang Hongnip surrendered and became a prisoner, taken to Hetuala, the capital of Hou Jin. His soldiers escaped or returned to Joseon through negotiation.
As the survivors returned to Joseon, the official report that Qiao Yiqi chose suicide to keep his integrity and the testimonies of other stories were continuously presented. In the fiction “Choicheokjeon(崔陟傳, Tale of Choi Cheok)”, adopting a non-fiction style, a testimony was disclosed that Yi Minhwan(李民寏), the secretary of Gang Hongnip, handed Qiao Yiqi to the troops of Hou Jin to survive. Then, Yi Minseong, the elder brother of Yi Minhwan who was driven to the corner as the betrayer, fiercely denied the testimony by immediately composing two poems. Yi Minhwan dodged his responsibility by writing about his life as a prisoner for one year and 7 months.
Gwon Chik, another secretary who barely escaped to Joseon, pointed out that Gang Hongnip drove Qiao Yiqi to his death in his writing ‘Gangnojeon(姜虜傳, Story of a Barbarian with the Surname ‘Gang’)’ in which Gang Hongnip was the main character in 1630. His insistence was accepted like a true argument due to the negative awareness of Gang Hongnip that had been spreading since 1627 (Chinese invasion of Korea). Qiao Yiqi, who testified to the bravery and the desire to fight of the Joseon army in “Chungnyeollok” created for Kim Eungha who died a heroic death, became the victim betrayed by the Joseon army. Qiao Yiqi became the subject of sympathy who kept integrity by committing suicide, a subject to be protected, not the general of the suzerain state supervising and managing the Joseon army.
국문 초록 (Abstract)
1619년 명나라는 후금의 본거지 허투알라(赫圖阿拉)를 소탕하기 위해 4개의 대규모 부대를 동시에 출격시켰다. 강홍립(姜弘立)을 총사령관으로 한 1만 3천명의 조선군은 동쪽에서 허투알라로 ...
1619년 명나라는 후금의 본거지 허투알라(赫圖阿拉)를 소탕하기 위해 4개의 대규모 부대를 동시에 출격시켰다. 강홍립(姜弘立)을 총사령관으로 한 1만 3천명의 조선군은 동쪽에서 허투알라로 진격하는 유정(劉綎)의 부대에 소속되었다. 후금의 기마부대에 유정의 본군이 먼저 궤멸된 뒤, 뒤따르던 김응하(金應河)의 조선군 좌영(左營)도 전멸했다. 전투를 회피한 강홍립이 후금 군대와 강화 교섭에 나서자, 조선군 감시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조선군 진영에 남아있던 명나라 장군 교일기(喬一琦)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강홍립은 항복하여 후금의 수도 허투알라로 끌려가 포로 생활을 하고, 그의 부대원들은 탈출하거나 교섭으로 조선에 복귀하였다.
생존자들이 귀국하면서, 교일기가 절개를 지키기 위해 스스로 죽음을 선택했다는 공식 보고와 다른 내용의 증언이 나왔다. 「최척전(崔陟傳)」에서 강홍립의 종사관 이민환(李民寏)이 생존을 위해 교일기를 후금군에 넘겨주었다는 증언이 나오자, 악인으로 몰린 이민환의 형 이민성(李民宬)은 즉각 2편의 시를 지어 이를 격렬하게 부정했고, 이민환은 1년 7개월 동안의 포로 생활을 「책중일록(柵中日錄)으로 정리하면서 그 책임을 회피했다.
강홍립의 개인 비서였던 권칙(權侙)은 1630년에 「강로전(姜虜傳)」을 지어 교일기를 죽음으로 내몬 사람으로 강홍립을 특정했다. 정묘호란(1627) 이후 확산된 강홍립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탕으로 이는 정론처럼 굳어졌다. 김응하와 조선군의 용맹함과 전투 의지를 확인시켜주는 ‘증인’이었던 교일기가 이제 조선군의 배신으로 희생 당한 피해자가 되었다. 그리하여 조선군을 감시․감독하던 ‘상국(上國)’의 장군이 아니라 ‘우리’가 보호해 주어야 했던 대상, 스스로 목숨을 끊어 충절을 지킨 동정의 대상이 되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신혜, "李奎象이 『幷世才彦錄』에 쓴 明人 기록의 등장 底邊 -「寓裔錄」, 「風泉錄」의 意義와 관련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8 (38): 423-444, 2010
2 무악고소설자료연구회, "한국고소설관련자료집 1" 태학사 2001
3 이민환, "책중일록: 1619년 심하전쟁과 포로수용소 일기" 서해문집 2014
4 이승수, "죽음의 수사학과 권력의 상관성― 傳係 敍事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50) : 323-352, 2005
5 송하준, "조선후기 역사소설과 민족 정체성의 재구성" 학자원 2015
6 계승범, "조선시대 해외파병과 한중관계 : 조선지배층의 중국인식" 푸른역사 2009
7 한명기, "정묘․병자호란과 동아시아" 푸른역사 2010
8 박희병, "전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돌베개 2007
9 한명기,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비평사 1999
10 양지열, "이야기 형법" 마음산책 2014
1 서신혜, "李奎象이 『幷世才彦錄』에 쓴 明人 기록의 등장 底邊 -「寓裔錄」, 「風泉錄」의 意義와 관련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8 (38): 423-444, 2010
2 무악고소설자료연구회, "한국고소설관련자료집 1" 태학사 2001
3 이민환, "책중일록: 1619년 심하전쟁과 포로수용소 일기" 서해문집 2014
4 이승수, "죽음의 수사학과 권력의 상관성― 傳係 敍事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50) : 323-352, 2005
5 송하준, "조선후기 역사소설과 민족 정체성의 재구성" 학자원 2015
6 계승범, "조선시대 해외파병과 한중관계 : 조선지배층의 중국인식" 푸른역사 2009
7 한명기, "정묘․병자호란과 동아시아" 푸른역사 2010
8 박희병, "전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돌베개 2007
9 한명기,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비평사 1999
10 양지열, "이야기 형법" 마음산책 2014
11 손혜리, "연경재(硏經齋) 성해응(成海應)의 인물기사 연구 - ‘충렬’의 드러냄과 그 의미" 민족문학사학회 24 : 216-241, 2004
12 성해응, "연경재 성해응의 초사담헌" 사람의 무늬 2015
13 권혁래, "심하전투 서사의 문학지리학적 고찰 -문학지도와 경관, 서사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51) : 127-173, 2015
14 이승수, "심하전역의 현장 답사 연구" 한양대 동아시아문화연구소 41 : 337-362, 2007
15 주영아, "디아스포라에 대한 조선지식인의 문학적 수용 태도― 明나라 遺民 康世爵의 실상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연구소 (37) : 257-284, 2017
16 이송희, "김응하 충렬록(忠烈錄) 판본 변개 과정과 그 의미" 유학연구소 46 : 129-159, 2019
17 이민희, "기억과 망각의 서사로서의 만주 배경 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 읽기-최척전(崔陟傳)․강로전(姜虜傳)․김영철전(金英哲傳) 을 중심으로-" 만주학회 (11) : 209-241, 2011
18 박양리, "강홍립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 양상 연구 - <책중일록>과 <강로전>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회 (58) : 87-114, 2011
19 安鼎福, "順菴集"
20 박희병, "韓國漢文小說 校合句解" 소명출판 2005
21 南九萬, "藥泉集"
22 趙慶男, "續雜錄"
23 李民寏, "紫巖集"
24 안세현, "紫巖 李民寏의 「柵中日錄」과 「建州聞見錄」에 대하여" 동방한문학회 (34) : 111-143, 2008
25 成海應, "硏經齋全集 권54"
26 朴趾源, "熱河日記"
27 金尙憲, "淸陰集"
28 황만기, "淸陰 金尙憲 ≪朝天錄≫ 考察 -한시작품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회 (43) : 325-364, 2009
29 박현규, "深河전역 중 조선군 참전지리 고찰" 한중인문학회 198-211, 2018
30 이승수, "深河 戰役과 金將軍傳" 한국문학연구소 11 (11): 23-53, 2003
31 朴趾源, "楊梅詩話"
32 洪世泰, "柳下集"
33 한명기, "明淸交替 시기 朝中關係의 추이" 동양사학회 (140) : 43-85, 2017
34 "明史"
35 임완혁, "明.淸 交替期 朝鮮의 對應과 忠烈錄의 의미" 우리한문학회 12 (12): 179-217, 2005
36 李民宬, "敬亭集"
37 손혜리, "成海應의 『草榭談獻』 硏究"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43 (43): 259-290, 2015
38 "忠烈錄"
39 權侙, "姜虜傳"
40 "光海君日記"
41 조현우, "『강로전』에 나타난 전쟁의 기억과 욕망의 서사" 민족문학사학회 (46) : 55-84, 2011
42 이서희, "「책중일록」에 재현된 기억과 조선후기의 전승" 한국문학언어학회 (77) : 63-85, 2018
43 김명호, "「열하일기」 ‘보유(補遺)’의 탐색" 동양학연구원 (52) : 1-22, 2012
44 李肯翊, "<沈河之役>, 「廢主光海君故事本末」, 『練藜室記述』 권21"
45 엄태식, "<최척전>의 창작 배경과 열녀 담론"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4) : 81-124, 2012
46 양승민, "<崔陟傳>의 창작동인과 소통과정" 한국고소설학회 9 : 67-113, 2000
47 정환국, "17세기 實記類와 小說의 거리 -전후 소설사의 흐름과 관련하여" 우리한문학회 7 (7): 101-128, 2002
심하전투 전쟁포로 강홍립의 두 형상 -『책중일록』과 "강로전"의 대비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4 | 0.54 | 0.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8 | 0.973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