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金將軍遺事』연구 - 김응하 『충렬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 Commemorating Kim Kyung-seo - Corresponding with Chungnyeollok for Kim Eung-h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906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mmemoration of the loyalty became a “national” policy as well as family family business after two major wars in late Chosŏn. In the fiver of making war heroes, the case of General Kim Kyung-seo is interesting because he is the one who ignominio...

      Commemoration of the loyalty became a “national” policy as well as family family business after two major wars in late Chosŏn. In the fiver of making war heroes, the case of General Kim Kyung-seo is interesting because he is the one who ignominiously surrendered to the army of Qing in the battle of Sarhu. Those who wanted to save him from the bad reputation had to explain and justify his choice. Kim-janggun-yusa(金將軍遺事), edited by Yi Sihang (李時恒, 1672-1736) and published in 1738 in Pyeong-yang is the key text used to vindicate and commemorate the general.
      This thesis read the memorial to Kim in the context of Sarhu narrative in Chosŏn Korea, especially regarding to Chungnyeollok for Kim Eung-ha, who represented Chosŏn’s loyalty to Ming China. Kim Eung-ha was made to be a heroic figure by Chosŏn court, in an urgent need to make a proper excuse for their surrender to Qing. By highlighting and commemorating Kim Eung-ha, who died bravely in the battle, Chosŏn could make those surrenders as betrayers to Ming, and to Chosŏn itself.
      As a result, Chungnyeollok for Kim Eung-ha became the center of narrative of Sarhu battle in Chosŏn, and thus other memoirs had no choice but to correspond to it to justify themselves. Kim-janggun-yusa was also written in the relation with Chungnyeollok, explaining, advocating and justifying Kim Kyung-seo against critical records about him in the previous documents. And it succee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양란 이후 충신열사 현양사업은 국가적으로나 각 가문에게나 중요한 사업이었다. 경쟁적으로 이루어진 현양사업 가운데에서도, 김경서가 충신으로 현양되는 과정은 무척 흥미롭다. 김경서...

      양란 이후 충신열사 현양사업은 국가적으로나 각 가문에게나 중요한 사업이었다. 경쟁적으로 이루어진 현양사업 가운데에서도, 김경서가 충신으로 현양되는 과정은 무척 흥미롭다. 김경서는 심하전투 당시 강홍립과 함께 투항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자연 그를 현양하고자 하는 측에서는 김경서의 행적을 정당화해야만 했다. 평양 출신의 이시항(李時恒, 1672-1736)이 편찬하여 1738년 간행된 『김장군유사(金將軍遺事)』는 이 과정에서 편찬된 핵심적인 자료이다.
      여러 텍스트들에서 김경서가 어떻게 표상되는지 그 차이에 주목한 선행연구들의 성과 위에서, 본 연구는 『김장군유사』를 심하전투 담론의 핵심을 차지하고 있던 김응하의 『충렬록』과의 관계망에 두고 독해하고자 한다. 김응하는 강홍립이 금군에 투항한 일에 대한 알리바이가 필요했던 조선 조정이 내세운 인물이었다. 장렬히 전사한 김응하를 내세움으로써 조선은 투항한 강홍립을 배신자로 만들 수 있었고, 그 덕에 명에 대해서도 그리고 자신의 역사에 대해서도 변명할 수 있었다.
      때문에 심하전투 서사들 가운데서 김응하의 『충렬록』은 중요한 하나의 축으로 존재하며, 여타의 심하전투 서사들은 『충렬록』과 대화적 관계를 맺고 있다. 항장인 김경서를 변명하기 위해 편찬된 『김장군유사』 역시 애초부터 『충렬록』과의 관계를 의식하고 서술되었다. 『김장군유사』는 『충렬록』에 나타나는 김경서에 비판적인 서술에 대해 설명하고 방어하며 또한 김응하를 수식하는 레토릭들을 빌리기도 하면서 김경서를 충신으로 만들어갔으며, 상당 부분 성공을 거두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태용, "조선후기 중화론과 역사인식" 아카넷 2009

      2 정옥자, "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연구" 일지사 1998

      3 남호현, "이시항의 삶을 통해 본 서북지역 엘리트의 ‘미시사적’ 이해" 한국역사연구회 (105) : 353-378, 2017

      4 퀜틴 스키너, "의미와 컨텍스트(1988)" 아르케 1999

      5 이송희, "송시열의 ‘춘추필법’ 실행 양상: 비문(碑文)과 전(傳)을 중심으로" 인류사회재건연구원 33 (33): 151-186, 2018

      6 김일환, "병자호란 체험의 '재화' 양상과 의미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7 이송희, "김응하 충렬록(忠烈錄) 판본 변개 과정과 그 의미" 유학연구소 46 : 129-159, 2019

      8 강창규, "김응서를 기억하는 방식과 그 문학적 형상화" 전남대 인문학연구소 40 : 105-129, 2012

      9 李時恒, "金將軍遺事"

      10 "正祖實錄"

      1 허태용, "조선후기 중화론과 역사인식" 아카넷 2009

      2 정옥자, "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연구" 일지사 1998

      3 남호현, "이시항의 삶을 통해 본 서북지역 엘리트의 ‘미시사적’ 이해" 한국역사연구회 (105) : 353-378, 2017

      4 퀜틴 스키너, "의미와 컨텍스트(1988)" 아르케 1999

      5 이송희, "송시열의 ‘춘추필법’ 실행 양상: 비문(碑文)과 전(傳)을 중심으로" 인류사회재건연구원 33 (33): 151-186, 2018

      6 김일환, "병자호란 체험의 '재화' 양상과 의미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7 이송희, "김응하 충렬록(忠烈錄) 판본 변개 과정과 그 의미" 유학연구소 46 : 129-159, 2019

      8 강창규, "김응서를 기억하는 방식과 그 문학적 형상화" 전남대 인문학연구소 40 : 105-129, 2012

      9 李時恒, "金將軍遺事"

      10 "正祖實錄"

      11 "忠烈錄"

      12 "光海朝日記"

      13 "仁祖實錄"

      14 최문정, "『임진록』에 나타난 조선 무장상 – 역사계열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16 : 159-175, 2001

      15 최혜미, "『忠烈錄』 소재 「贈遼東伯詔」의 위작 여부에 대한 일고찰" 2019

      16 임유경, "「金景瑞傳」연구 -문제적 인물의 영웅화 과정-" 동방한문학회 (45) : 265-290, 2010

      17 민장원, "‘충신’․‘충가’ 현창사업과 이순신에 대한 기억의 재구성" 고려대 2016

      18 Sun Joo Kim, "Voice from the North : Resurrecting regional identity through the life and work of Yi Sihang(1672-1736)"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3

      19 Hamilton-Bleakley, "Rethinking the Foundations of Modern Political Thou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33, 2006

      20 Sun Joo Kim, "Culture of Remembrance in Late Choson Korea: Bringing an Unknown War Hero Back into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44 (44): 563-585, 2010

      21 임유경, "<김장군유사>와 <김응서실기>의 서술방식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18) : 143-164,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8 0.97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