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이 증가하는 가운데, 복지 제도, 관련 서비스, 지원 인력 등의 부족으로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주수발자가 돌봄의 책임을 모두 짊어지며 주수발자의 돌봄 부담이 심화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64473
2024
Korean
경도인지장애 ; 주수발자 ; 돌봄 ; 부담 완화 ; AI 협업 ; Mild cognitive impairment ; Main caregiver ; Care ; Burden relief ; AI collaboration
KCI등재
학술저널
211-226(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이 증가하는 가운데, 복지 제도, 관련 서비스, 지원 인력 등의 부족으로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주수발자가 돌봄의 책임을 모두 짊어지며 주수발자의 돌봄 부담이 심화되...
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이 증가하는 가운데, 복지 제도, 관련 서비스, 지원 인력 등의 부족으로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주수발자가 돌봄의 책임을 모두 짊어지며 주수발자의 돌봄 부담이 심화되고 있다. 선행연구와 국내 인지장애 산업이 대부분 환자의 인지기능 회복에 집중되어 있음을 파악해 해당 분야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며,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주수발자의환자 케어를 도와 돌봄 부담을 완화할 시킬 수 있는AI 협업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연구는 코크리에이션방법론 기반의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를 활용해진행하였고, 주수발자가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케어 과정 중 겪는 문제와 니즈를 파악하기 위해 심층 인터뷰와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등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주수발자의 돌봄 부담 완화를 위한 핵심적인 솔루션을 제시하기 위해 주수발자와 환자의 여정을 함께 분석하였으며, 주수발자의 효율적인 돌봄을 지원하는 서비스 솔루션에 더불어, 환자가 주체적으로 일상을 영위할 수 있게끔 보조하는 서비스 솔루션도 함께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주수발자가 환자 돌봄에 있어AI에게 원하는 협업 수준과 AI에게 맡길 수 있는 돌봄 업무의 범위, 해당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및 우려를 확인하고 보완하여 이를 서비스의 형태로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증가하는 시점에서 후속 연구와 서비스 개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prevalence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increases, primary caregivers are increasingly burdened due to insufficient welfare systems and support services. This study addresses the need for research focused on easing the caregiving load by ...
As the prevalence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increases, primary caregivers are increasingly burdened due to insufficient welfare systems and support services. This study addresses the need for research focused on easing the caregiving load by proposing an AI-assisted service. Using the Double Diamond process and co-creation methodology, the research identified key challenges and needs of caregivers during MCI care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ffinity diagrams. By analyzing the journey of both caregivers and patients, the study offers key solutions to ease caregiving burdens and supports patients in leading a more independent daily lif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defining the desired AI collaboration levels, the scope of AI-assigned tasks, and addressing potential issues, contributing to the advancement of services and research in the MCI field.
핀테크 서비스에 있어서 MZ세대의 신뢰 요인과 지속 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
고립ㆍ은둔 청년의 정신건강과 일상 회복을 위한 서비스 제안
골프공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와 소비자 선호도에 관한 연구
AIGC 기술을 활용한 박물관 문화 창의 제품 디자인의 관람객 경험 연구 -중국 고궁(故宫)박물관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