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은 희극작가 曹禹(1910-1996 본명 萬家寶)의 초기 작품에 반영된 기독교 정신 연구다. 조우는 서구 근대 희극의 형식과 실제를 다방면으로 흡수하고 종교인의 안목으로 인간의 본질과 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446074
[S.l.]: 蘇州大學, 2000
2000
중국어
중국 (본토)
143p.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문은 희극작가 曹禹(1910-1996 본명 萬家寶)의 초기 작품에 반영된 기독교 정신 연구다. 조우는 서구 근대 희극의 형식과 실제를 다방면으로 흡수하고 종교인의 안목으로 인간의 본질과 운...
본문은 희극작가 曹禹(1910-1996 본명 萬家寶)의 초기 작품에 반영된 기독교 정신 연구다. 조우는 서구 근대 희극의 형식과 실제를 다방면으로 흡수하고 종교인의 안목으로 인간의 본질과 운명을 가늠했다. 작품에는 神本精神과 人本精神이 선명한 대비를 이루고 어떤 작품이든지 신의 힘은 인간의 운명이나 지혜보다 더 위대했으며, 인도적인 방법은 결국 취약하고 유약해서 실패하게 된다. 이러한 처리는 모두 작품의 사상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며 각 작품마다 그의 기독교 사상에 대한 독특한 이해가 자연스럽게 작품에 반영되어 있고 심오한 기독교 사상으로서 우주 안에서의 인간의 위치와 가치를 탐구하고 있다. 인본주의를 철저하게 부정하고 절대자의 역량을 철저하게 긍정함으로서 극중 비극 인물의 생존 권리와 존엄을 부여하는 것이 조우 초기 작품의 독특한 특징이다.
이전의 硏究 動態
당대 중국은 마르크스주의를 지도 이념으로 하는 공산주의 국가이며 마르크스주의는 무신론을 주장한다. 중국의 종교학은 긴 시간 감금 상태에 처해 있다가 1979년에 비로소 해방이 되었다. 전국 종교 학회가 종교학 연구를 기획하고 학술계에 종교학이 학과로 지정되었으며 토론 분석 연구할 수 있게 되었으므로 과거의 학술계에는 1930년대 조우 작품 발표이래 종교적 특징을 분석한 연구가 없었다. 조우의 작품과 기독교 영향에 관련된 연구는 80년대 후반기에 비로소 나타난다.
중국의 학술계는 대체로 범신론을 기초로 한 기독교 연구에 편중된다. 일종의 자연주의의 관점에서 그리스도를 해석하고 그리스도의 초자연적인 神性을 부인하므로 "그리스도의 神人二性"의 정통 교의가 거의 소멸되고 사람은 모두 하나님의 자녀이며 살아 있는 모든 것은 신성이 있다고 하는 일종의 범신론이 정통 기독론을 대신하기 때문에 조우 작품이 발표된 이후 평론계에는 주제 이해에 대해 엇갈린 견해가 있고 주요한 쟁점의 대상이다.
본인이 전통적인 기독교 교리를 기점으로 조우 초기 작품을 연구하는 목적은 작품 원래의 뜻을 해석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기대로 노력한 결과이다. 본인이 조우 작품에 체현된 기독교 사상을 논문 제목으로 삼았지만 결코 수월한 과제가 아니었다. 조우 작품에 체현된 기독교 사상을 논문 제목으로 삼았지만 결코 수월한 과제가 아니었다. 조우 작품에 반영된 종교적인 내용에 대한 연구가 극히 적었고 참조자도 극소수였으며 또한 본인도 신학 전공자도 아니어서 파악하는데 여러가지 어려움이 많았다. 단지 이 논문을 통해서 조우 작품 연구에 존재하는 각종 문제들에 대한 토론이 더 활발하게 전개되기를 바란다. 서론에서는 문제제기와 연구방향과 방법, 그리고 이전의 연구동태를 살펴보았고 본문은 결어를 포함한 6장으로 나누었으며 《雷雨》, 《日出》, 《原野》, 《태변》, 《北京人》다섯 작품을 연구대상으로 선택하였다.
제1장: 《뇌우》와 기독교 정신
본장에서는 一神論의 각도에서 《뇌우》에 반영된 여호와 하나님의 사상, 특징, 도덕적 요구 및 성경의 다윗의 집안과 《뇌우》의 배경인 주씨 집안의 비극을 일으킨 역사적 근원을 비교 고찰했다.
제2장: 《일출》과 기독교 정신
여덟 단락의 인용문을 중심으로 작가가 작품에서 드러내고자 하는 하나의 관념을 고찰했다. 그리스도는 작품이 암시하는 "빛"의 본질이며, 인간 부활의 가정을 전제로 한 노동의 의의와 주인공 陳白露 인물에 반영된 인류의 위기를 고찰했다.
제3장: 《원야》와 기독교 정신
주제사상과 예술적 기교 그리고 인물형상에 반영된 기독교 정신을 논술했다. 《원야》는 여러 각도에서 해석될 수 있는 작품이다. 본문은 성경의 지혜문학의 각도에서 사랑과 미움, 이성, 도덕, 가정의 행복, 정직 등 일상생활에서 무엇이 진정한 지혜인지를 고찰하고 《욥기서》와 《원야》의 예술 특색과 사상내용을 비교했다.
제4장: 《탈변》과 기독교 정신
극중 인물인 정의사의 "남을 위한 삶"의 정신에 반영된 그리스도 정신을 논술했다. 크리스챤 의사의 각도에서 그의 나라사랑과 인간애를 탐색했으며, 그녀는 병든 사람의 고통을 치료할 뿐 만 아니라, 죄악 아래에서 신음하는 사람들을 구제하려고 노력한다. 죄악에 대한 분노, 죄인에 대한 동정, 이러한 것은 모두 예수 정신의 구체적인 표현이며, 그녀의 나라사랑과 인간애는 자유, 평등, 평화, 박애의 예수정신으로 귀결된다.
제5장: 《북경인》과 기독교 정신
인류시조의 범죄로 인한 원죄의 각도에서 《북경인》에 반영된 죽음과 퇴폐한 인성의 의의를 고찰하고, 인류 起源說의 각도에서 거인 북경인 모텔과 소방에게 투영된 "진화론"과 "창조론", 서로 다른 두 개의 관점으로 작품의 사상을 고찰했다.
제6장: 결어
조우의 초기 작품에 반영된 기독교 기본 교의, 신에 대한 인식, 인성, 죄와 마귀, 구세주, 말세론을 종합 논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