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담 대종사의 사상은 ‘마음’을 중심으로 하여 불교의 핵심교리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과 더불어 현대적인 해석을 꾀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제는 한국 불교의 전통과 현대를 잇고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30590
2007
-
학술저널
121-158(3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청담 대종사의 사상은 ‘마음’을 중심으로 하여 불교의 핵심교리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과 더불어 현대적인 해석을 꾀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제는 한국 불교의 전통과 현대를 잇고 있...
청담 대종사의 사상은 ‘마음’을 중심으로 하여 불교의 핵심교리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과 더불어 현대적인 해석을 꾀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제는 한국 불교의 전통과 현대를 잇고 있는 청담 사상에 대한 구체적이고 미시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금강경』은 반야 공사상을 깨침의 내용으로 보여주는데, 중국 남종선에서 가장 중시한 경전이다. 현재 대한 불교 조계종에서도 『육조단경』과 『금강경』을 가장 중시하고 있다.
한국 불교의 역사 속에서 『금강경』의 학습서로서 가장 권위 있는 저술이 함허의 『금강경오가해설의』이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 출간된 150여종의 『금강경』관련 해설서 중에서 청담 스님의 『금강경』이해의 독자적 특징도 주목해야 할 내용이다.
본 연구의 과제는 바로 청담의 『금강경』이해의 특징과 현대적 의의를 밝히기 위하여 함허의 『금강경오가해설의』와 비교하는 것이다. 이 연구 이후 청담의 『반야심경』이해 연구, 청담의 『신심명』이해 연구 등을 진행해 갈 수 있을 것이다. 청담 사상에 대한 이러한 연구를 진행해 가면 ‘청담학’ 형성에 좀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ster Cheongdam's thought is characterized by 'Mind', the core doctrine of Buddhism and his modern explanation with the traditional explanation on it. Now we have to concretely analyze his thought connecting modern Buddhism with traditional Buddh...
The master Cheongdam's thought is characterized by 'Mind', the core doctrine of Buddhism and his modern explanation with the traditional explanation on it. Now we have to concretely analyze his thought connecting modern Buddhism with traditional Buddhism.
『Diamond Sutra』 shows sunyata, central notion of Buddhism, as contents of enlightenment. For the Southern Zen Sect in China, the importance of 『Diamond Sutra』 cannot be overemphasized. Korean Buddhist Chogye Order also take a serious view of the scripture.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the master Hamheo's 『The Explanation of the Five Masters' Understanding Diamond Sutra』 has the highest authority among study books on 『Diamond Sutra』. It is important to note the master Cheongdam's Understanding 『Diamond Sutra』 among commentary books estimated at one hundred and fifty. We have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his understanding the scripture.
This paper is intented as an investigation of the master Cheongdam's understanding 『Diamond Sutra』 from the comparative viewpoint with the master Hamheo's 『The Explanation of the Five Masters' Understanding Diamond Sutra』. What I wish to show in this paper is to make clear the characteristics and modern significance of Cheongdam's understanding 『Diamond Sutra』.
Having observed it, we will able to go on to study his understanding other scriptures, 『Heart Sutra』, 『The Faith-Mind Maxim』. If we go on to write these kinds of papers on Cheongdam's thought, we would be a step closer to establishing his studies.
마음공부로서의 도덕교육 -청담 마음사상의 도덕교육적 조명-
봉암사 결사와 청담 대종사 - 내가 입산하여 본 봉암사 결사의 회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