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 노래 장르와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625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의 재현과 구성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젠더 이미지 및 선정성 유형과 관련하여 내용분석을 시도했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13년까지의 ...

      본 연구는 국내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의 재현과 구성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젠더 이미지 및 선정성 유형과 관련하여 내용분석을 시도했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13년까지의 각 연도별로 뮤직비디오가 있는 30위까지의 노래 총 300개와 각 노래의 뮤직비디오 상에서 주요 역할을 하는 남녀 한명씩, 총 517명의 등장인물이 선정되었다. 등장인물에 대한 성역할 고정관념은 노래 장르와 성별로 구분하여 젠더 이미지의 유형과 선정성(신체노출, 성적표현)의 유무로 측정되었다. 젠더 이미지는 여성은 고전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남성은 순정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여성의 이미지는 거의 변화가 없었고 남성 이미지의 경우 중성적 이미지는 가장 적었으나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고전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난 장르는 R&B와 발라드였고 순정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난 장르는 발라드, R&B와 록이었다. 선정성은 댄스곡과 힙합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신체노출에 있어서 여성은 모든 부위에서 남성보다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성적표현에 있어서 여성은 표정유혹이 남성은 성적자세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나 성역할 고정관념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tereotype of gender role in music video, comparing of gender image, sexuality(body exposure & sexual expression) by genre and gender difference. A content analysis of 300 songs and 517 characters was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tereotype of gender role in music video, comparing of gender image, sexuality(body exposure & sexual expression) by genre and gender difference. A content analysis of 300 songs and 517 characters was conducted between 2004 and 2013. Results were including followings. While women engaged in classic image, man engaged in naive image. R&B and Ballad demonstrated more classic image of women. Ballad, R&B, and Rock demonstrated more naive image of men than other genre. Sexuality was more prominent in dance and hip-hop genre. Compared to male character, female character was more sexually objectified, held to exposer herself and more likely to demonstrated sexually alluring behavio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문헌연구 및 연구문제
      • Ⅲ. 연구방법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문헌연구 및 연구문제
      • Ⅲ. 연구방법
      • Ⅳ. 결과
      • Ⅳ.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상률,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 리서치브리프 제4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2 김훈순, "한국 뮤직비디오의 포스트모더니즘과성정치학" 87-128, 2000

      3 앤 카플란, "포스트모던영상과 소비문화 : 뮤직 비디오,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나래 팝컬쳐 1996

      4 김선남, "수용자의 드라마 여성이미지에 대한 수용행태 연구" 한국방송학회 18 (18): 76-115, 2004

      5 양정혜, "뮤직비디오 제작의 관행이 텍스트 구성에 미치는 영향 : 제작진들과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18 (18): 134-168, 2004

      6 이화정, "멜로드라마에 나타난 남성상 유형의 변화 (1992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콘텐츠학회 13 (13): 62-69, 2013

      7 이화정, "멜로드라마에 나타나는 여성 대립자 유형의 변화 (1990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콘텐츠학회 12 (12): 54-62, 2012

      8 J. Tapper, "Variations in Music Videos a Function of Their Musical Genre" 38 : 103-114, 1994

      9 M. C. R. Burgess, "The Effect of Music Videos o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Rape" 46 (46): 748-763, 2012

      10 S. Seidman, "Revisiting Sex-role Stereo typing in MTV Videos" 26 : 1-11, 1999

      1 배상률,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 리서치브리프 제4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2 김훈순, "한국 뮤직비디오의 포스트모더니즘과성정치학" 87-128, 2000

      3 앤 카플란, "포스트모던영상과 소비문화 : 뮤직 비디오,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나래 팝컬쳐 1996

      4 김선남, "수용자의 드라마 여성이미지에 대한 수용행태 연구" 한국방송학회 18 (18): 76-115, 2004

      5 양정혜, "뮤직비디오 제작의 관행이 텍스트 구성에 미치는 영향 : 제작진들과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18 (18): 134-168, 2004

      6 이화정, "멜로드라마에 나타난 남성상 유형의 변화 (1992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콘텐츠학회 13 (13): 62-69, 2013

      7 이화정, "멜로드라마에 나타나는 여성 대립자 유형의 변화 (1990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콘텐츠학회 12 (12): 54-62, 2012

      8 J. Tapper, "Variations in Music Videos a Function of Their Musical Genre" 38 : 103-114, 1994

      9 M. C. R. Burgess, "The Effect of Music Videos o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Rape" 46 (46): 748-763, 2012

      10 S. Seidman, "Revisiting Sex-role Stereo typing in MTV Videos" 26 : 1-11, 1999

      11 J. Gow, "Reconsidering Gender Roles on MTV:Depictions in the Most Popular Music Videos of the Early 1990s" 9 (9): 151-161, 1996

      12 C. M. Frisby, "Race and Genre in the Use of Sexual Objectification in Female Artists’ Music Videos" 2 : 66-87, 2012

      13 C. Wallis, "Performing Gender: A Content Analysis of Gender Display in Music Videos" 64 : 160-172, 2011

      14 K. Bullens, "News Music Videos and Action Movie Exposure and Adolescents’Intentions to Take Risks in Traffic" 40 : 349-356, 2008

      15 D. F. Roberts, "Media Violence and Children, A Complete Guide for Parents and Professionals" 153-170, 2003

      16 J. L. Andsager, "Country Music Video in Country’s Year of the Woman" 49 : 69-82, 1999

      17 K. Conrad, "Controlversial Rap Themes, Gender Portrayals and Skin Tone Distortion: A Content Analysis of Rap Music Video" 53 (53): 134-156, 2009

      18 J. S. Aubrey, "Check That Body! The Effects of Sexually Objectifying Music Videos on College Mens’Sexual Beliefs" 55 (55): 360-379,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