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후변화에 따른 강원지역 사과농가의 특화 가능성 및 대응방안 분석 = A Study on the Specialization Possibility and Countermeasures of Apple Farmer in Gangwon Province according to Climate Chan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395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specialization and countermeasures of apple farms in Gangwon Province due to climate change,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climate change and further analyzed the trends of apple industry, compared and analyzed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apples, and investigated the cases of individual farms. In addition, a survey of farmers for their ability to adapt to apple climate change was conducte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perception and response factors of apple farmers in Gangwon Province.
      Although the specialized coefficient of apples in Gangwon Province was still small at 0.32 in 2015, it quadrupled from 0.08 in 2005, confirming that the growth rate was the biggest growth potential among the surveyed crops. If we look at the production volume and price of apples, prices between 16 and 18 are lower than similar production levels between 11 and 15. In other words, it can be confirmed that demand for apples has shrunk. For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apple industry and long-term development, the government should develop the rear industry, including public relations and marketing strategies to boost the shrinking demand for apples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cessed products. In 2015, the distribution of farms by apple cultivation was 44.8% under 0.5ha, and 28.8% of 0.5 to 1.0ha, which is 73.6% of the total, which does not reach the level of apple management. In order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apple industry, scale should be actively promoted in a policy-based manner so that the benefits of economies of scale and specialization can be gained.
      The production cost per 10a apples in Gangwon Province is 7 percent lower than in the country. By tree, the cost of amortization of large farming tools is low, as there are relatively many orchards whose conditions are limited to the use of large farming machines. Based on the structure of production costs, the creation of new orchards in Gangwon-do should take into account possible land conditions for large farming machines. The income of each type of liquor by region is 15 percent higher than that of Hong-ro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but Hong-ro in Gangwon Province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ong-ro and in other regions, it was not larger than the difference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This is due to the difference in natural location, especially in Gangwon Province, where the time of portrait is faster than in other regions, so it is relatively disadvantageous in the case of Fuji, which is a universal species. In other words, the superiority of management performance by main product category varies from year to year and region to region to region. Therefore, the choice of apple varieties should consider climate change in each region and future climate change, and in case of Gangwon, early or heavy varieties are more advantageous than other regions considering the current climate conditions. Labor is also important among the tasks that can increase management efficiency, and the management balance of apples will worsen if the surge in agricultural labor wages is not eased under the recent slow decline in labor input time. Therefore, for the continued growth of the apple industry, various and continuous measures are needed to reduce the labor for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andardized work manuals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such as ultra-low water storage and secret food cultivation, and to enhance the work efficiency of the workfor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11 apple growers in Gangwon-do using the Data Environment Analysis (DEA) model, the results of the production efficiency analysis of the apple growers in Gangwon-do showed that the average value of pure technical efficiency was lower than the average value of scale efficiency, indicating that the cause of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apple growers in Gangwon-do in 2018 was caused by pure technical factors.
      In order to find out how apple farmers in Gangwon Province feel and how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the government set up a population of 1,374 apple farms in Gangwon Province, which appeared in the 2015 general survey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and analyzed sample farms in 397 in proportion to 18 cities and counties, and its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an important variable in feeling climate change is the number of farmers' group membership, which apple farmers perceive through information between their fellow groups rather than the Internet. Since the average age of apple owners in Gangwon Province is 63,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vide information on climate change related to apple crops through offline rather than through the Internet and other information media. Second, major variables affecting climate change response include age and agricultural experience. The younger you are, the more you have agricultural experience, the more willing you are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policies more efficiently to distribute means of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to young farmers with agricultural experience. Third, there is a growing trend of heterogeneity among farmers, such as age, size of management, and succes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stomized climate change response polic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of these apple growers. Fourth,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management is showing a tendency of higher education. As the proportion of returnees and successors increases in the future,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apple managers will gradually shift to higher education.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policies based on IT such as providing information on climate change through internet or smartphone apps. Fifth, as the scale of apple farms accelerates, the number of succession farmers is gradually increasing. Long-term policy establishment is important for climate change awareness and respons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sent a long-term policy to cope with climate change to farmers who have secured successors.
      번역하기

      In order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specialization and countermeasures of apple farms in Gangwon Province due to climate change,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climate change and further analyzed the trends of apple industry, compared and anal...

      In order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specialization and countermeasures of apple farms in Gangwon Province due to climate change,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climate change and further analyzed the trends of apple industry, compared and analyzed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apples, and investigated the cases of individual farms. In addition, a survey of farmers for their ability to adapt to apple climate change was conducte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perception and response factors of apple farmers in Gangwon Province.
      Although the specialized coefficient of apples in Gangwon Province was still small at 0.32 in 2015, it quadrupled from 0.08 in 2005, confirming that the growth rate was the biggest growth potential among the surveyed crops. If we look at the production volume and price of apples, prices between 16 and 18 are lower than similar production levels between 11 and 15. In other words, it can be confirmed that demand for apples has shrunk. For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apple industry and long-term development, the government should develop the rear industry, including public relations and marketing strategies to boost the shrinking demand for apples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cessed products. In 2015, the distribution of farms by apple cultivation was 44.8% under 0.5ha, and 28.8% of 0.5 to 1.0ha, which is 73.6% of the total, which does not reach the level of apple management. In order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apple industry, scale should be actively promoted in a policy-based manner so that the benefits of economies of scale and specialization can be gained.
      The production cost per 10a apples in Gangwon Province is 7 percent lower than in the country. By tree, the cost of amortization of large farming tools is low, as there are relatively many orchards whose conditions are limited to the use of large farming machines. Based on the structure of production costs, the creation of new orchards in Gangwon-do should take into account possible land conditions for large farming machines. The income of each type of liquor by region is 15 percent higher than that of Hong-ro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but Hong-ro in Gangwon Province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ong-ro and in other regions, it was not larger than the difference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This is due to the difference in natural location, especially in Gangwon Province, where the time of portrait is faster than in other regions, so it is relatively disadvantageous in the case of Fuji, which is a universal species. In other words, the superiority of management performance by main product category varies from year to year and region to region to region. Therefore, the choice of apple varieties should consider climate change in each region and future climate change, and in case of Gangwon, early or heavy varieties are more advantageous than other regions considering the current climate conditions. Labor is also important among the tasks that can increase management efficiency, and the management balance of apples will worsen if the surge in agricultural labor wages is not eased under the recent slow decline in labor input time. Therefore, for the continued growth of the apple industry, various and continuous measures are needed to reduce the labor for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andardized work manuals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such as ultra-low water storage and secret food cultivation, and to enhance the work efficiency of the workfor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11 apple growers in Gangwon-do using the Data Environment Analysis (DEA) model, the results of the production efficiency analysis of the apple growers in Gangwon-do showed that the average value of pure technical efficiency was lower than the average value of scale efficiency, indicating that the cause of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apple growers in Gangwon-do in 2018 was caused by pure technical factors.
      In order to find out how apple farmers in Gangwon Province feel and how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the government set up a population of 1,374 apple farms in Gangwon Province, which appeared in the 2015 general survey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and analyzed sample farms in 397 in proportion to 18 cities and counties, and its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an important variable in feeling climate change is the number of farmers' group membership, which apple farmers perceive through information between their fellow groups rather than the Internet. Since the average age of apple owners in Gangwon Province is 63,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vide information on climate change related to apple crops through offline rather than through the Internet and other information media. Second, major variables affecting climate change response include age and agricultural experience. The younger you are, the more you have agricultural experience, the more willing you are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policies more efficiently to distribute means of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to young farmers with agricultural experience. Third, there is a growing trend of heterogeneity among farmers, such as age, size of management, and succes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stomized climate change response polic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of these apple growers. Fourth,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management is showing a tendency of higher education. As the proportion of returnees and successors increases in the future,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apple managers will gradually shift to higher education.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policies based on IT such as providing information on climate change through internet or smartphone apps. Fifth, as the scale of apple farms accelerates, the number of succession farmers is gradually increasing. Long-term policy establishment is important for climate change awareness and respons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sent a long-term policy to cope with climate change to farmers who have secured success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강원지역 사과농가의 특화 가능성 및 대응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기후변화와 사과농업의 변화를 살펴보고 나아가서 사과산업의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사과농가의 경영성과를 비교분석하고 개별농가의 사례도 조사하였다. 또한 사과 기후변화 적응능력을 위한 농업인 설문 조사로 강원지역 사과농가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대응요인을 분석하여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강원지역 사과의 2015년 특화계수는 0.32로 아직 작은 편이지만 2005년 0.08에서 4배 증가하여 조사 작목 중 증가율이 가장 큰 성장가능 작목임을 확인하였다. 사과의 생산량과 가격을 살펴보면, `16∼`18년 가격은 유사한 생산량 수준이었던 `11∼`15년 가격에 비해 낮게 형성되고 있다. 즉 사과 수요가 위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국내 사과산업의 경쟁력 향상과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위축된 사과 수요를 진작시킬 수 있는 대국민 홍보 및 마케팅 전략과 다양한 가공품의 개발 등 전방산업을 발전시켜야 한다. 사과 재배규모별 농가분포는 2015년의 경우 0.5ha 미만이 44.8%이며, 0.5∼1.0ha가 28.8%로 전체의 73.6%로 사과 전문경영 수준의 규모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사과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규모의 경제와 전문화의 이점을 얻을 수 있게 정책적으로 규모화를 적극 추진하여야 한다.
      강원지역의 사과 10a당 생산비는 전국에 비해 7% 적게 소요되고 있다. 비목별로는 대농기구상각비가 적게 소요되고 있는데 이는 과원의 여건이 대형농기계의 이용에 한계가 있는 과원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생산비의 구조로 볼 때 강원의 신규 과원 조성은 대형농기계의 이용이 가능한 경지조건의 고려가 있어야 한다. 지역별 주품종별 소득은 경북에서는 후지가 홍로에 비해 15% 높으나, 강원에서는 홍로가 후지에 비해 소득이 크게 높고 다른 지역에서는 후지가 홍로에 비해 높기는 하나 경북에서의 차이보다는 크지 않았다. 이는 자연입지에 의한 차이로 특히 강원의 경우 초상시기가 다른 지역에 비해 빠르기 때문에 만생종인 후지의 경우 강원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불리하다. 즉 주품종별 경영성과의 우열은 해에 따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따라서 강원지역 사과 품종의 선택은 현재의 기후여건을 고려할 때 조생종 혹은 중생종이 타 지역보다 유리하다. 경영성과와 관련이 있는 요인 중에 노동력도 중요한데, 최근의 노동투입시간의 완만한 감소 하에서 농업노동임금의 급등추세가 완화되지 않는다면 사과의 경영수지는 악화될 것이다. 따라서 사과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노동력 절감을 위한 다양하고 지속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초저수고 밀식재배 등 작업환경의 개선과 더불어 고용노동력의 작업능률을 제고하기 위한 표준화된 작업 매뉴얼의 개발이 필요하다. 강원도 내 사과 재배 11농가의 경영효율성을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강원지역 사과 재배농가들의 생산효율성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순수 기술적 효율성의 평균값이 규모 효율성의 평균값 보다 낮게 나타나, 2018년 강원도 사과 재배농가들의 경영 비효율의 원인은 순수기술적인 요인에 의해서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강원지역 사과농가의 체감 인식과 대응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강원도 내 사과농가 1,374호를 모집단을 설정하고, 18개 시군별로 비례 배분하여 397호의 표본농가를 설문 조사 분석한 결과 그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변화 체감에 중요한 요인은 농업인 단체 가입수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강원지역 사과 농가들이 인터넷보다는 동료 집단 간의 정보를 통해 기후변화를 인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강원지역 사과 경영주에게는 인터넷 등 정보매체보다는 오프라인 등을 통한 사과작목과 관련된 기후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기후변화 대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연령, 농업경력 등이 분석되었다. 연령이 젊을수록, 농업경력이 많을수록 기후변화에 대응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농업경력을 갖춘 젊은 농업인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적응수단을 보급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정책실행이 가능하다. 셋째, 경영주 특성인 연령, 경영규모, 승계농 여부 등 농가별로 이질화가 심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과 재배농가의 이질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기후변화 대응정책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넷째, 경영주 학력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향후 귀농 및 승계농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사과 경영주의 고학력 비중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 앱을 통한 기후변화 정보제공 등 IT 기반 정책정보 제공도 가능하다. 다섯째, 사과 농가의 규모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승계농이 점차적으로 증대하고 있다. 기후변화 체감 및 대응은 장기적 정책수립이 중요하다. 따라서 승계농을 확보한 농가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대응 장기 정책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강원지역 사과농가의 특화 가능성 및 대응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기후변화와 사과농업의 변화를 살펴보고 나아가서 사과산업의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사...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강원지역 사과농가의 특화 가능성 및 대응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기후변화와 사과농업의 변화를 살펴보고 나아가서 사과산업의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사과농가의 경영성과를 비교분석하고 개별농가의 사례도 조사하였다. 또한 사과 기후변화 적응능력을 위한 농업인 설문 조사로 강원지역 사과농가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대응요인을 분석하여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강원지역 사과의 2015년 특화계수는 0.32로 아직 작은 편이지만 2005년 0.08에서 4배 증가하여 조사 작목 중 증가율이 가장 큰 성장가능 작목임을 확인하였다. 사과의 생산량과 가격을 살펴보면, `16∼`18년 가격은 유사한 생산량 수준이었던 `11∼`15년 가격에 비해 낮게 형성되고 있다. 즉 사과 수요가 위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국내 사과산업의 경쟁력 향상과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위축된 사과 수요를 진작시킬 수 있는 대국민 홍보 및 마케팅 전략과 다양한 가공품의 개발 등 전방산업을 발전시켜야 한다. 사과 재배규모별 농가분포는 2015년의 경우 0.5ha 미만이 44.8%이며, 0.5∼1.0ha가 28.8%로 전체의 73.6%로 사과 전문경영 수준의 규모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사과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규모의 경제와 전문화의 이점을 얻을 수 있게 정책적으로 규모화를 적극 추진하여야 한다.
      강원지역의 사과 10a당 생산비는 전국에 비해 7% 적게 소요되고 있다. 비목별로는 대농기구상각비가 적게 소요되고 있는데 이는 과원의 여건이 대형농기계의 이용에 한계가 있는 과원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생산비의 구조로 볼 때 강원의 신규 과원 조성은 대형농기계의 이용이 가능한 경지조건의 고려가 있어야 한다. 지역별 주품종별 소득은 경북에서는 후지가 홍로에 비해 15% 높으나, 강원에서는 홍로가 후지에 비해 소득이 크게 높고 다른 지역에서는 후지가 홍로에 비해 높기는 하나 경북에서의 차이보다는 크지 않았다. 이는 자연입지에 의한 차이로 특히 강원의 경우 초상시기가 다른 지역에 비해 빠르기 때문에 만생종인 후지의 경우 강원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불리하다. 즉 주품종별 경영성과의 우열은 해에 따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따라서 강원지역 사과 품종의 선택은 현재의 기후여건을 고려할 때 조생종 혹은 중생종이 타 지역보다 유리하다. 경영성과와 관련이 있는 요인 중에 노동력도 중요한데, 최근의 노동투입시간의 완만한 감소 하에서 농업노동임금의 급등추세가 완화되지 않는다면 사과의 경영수지는 악화될 것이다. 따라서 사과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노동력 절감을 위한 다양하고 지속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초저수고 밀식재배 등 작업환경의 개선과 더불어 고용노동력의 작업능률을 제고하기 위한 표준화된 작업 매뉴얼의 개발이 필요하다. 강원도 내 사과 재배 11농가의 경영효율성을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강원지역 사과 재배농가들의 생산효율성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순수 기술적 효율성의 평균값이 규모 효율성의 평균값 보다 낮게 나타나, 2018년 강원도 사과 재배농가들의 경영 비효율의 원인은 순수기술적인 요인에 의해서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강원지역 사과농가의 체감 인식과 대응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강원도 내 사과농가 1,374호를 모집단을 설정하고, 18개 시군별로 비례 배분하여 397호의 표본농가를 설문 조사 분석한 결과 그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변화 체감에 중요한 요인은 농업인 단체 가입수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강원지역 사과 농가들이 인터넷보다는 동료 집단 간의 정보를 통해 기후변화를 인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강원지역 사과 경영주에게는 인터넷 등 정보매체보다는 오프라인 등을 통한 사과작목과 관련된 기후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기후변화 대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연령, 농업경력 등이 분석되었다. 연령이 젊을수록, 농업경력이 많을수록 기후변화에 대응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농업경력을 갖춘 젊은 농업인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적응수단을 보급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정책실행이 가능하다. 셋째, 경영주 특성인 연령, 경영규모, 승계농 여부 등 농가별로 이질화가 심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과 재배농가의 이질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기후변화 대응정책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넷째, 경영주 학력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향후 귀농 및 승계농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사과 경영주의 고학력 비중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 앱을 통한 기후변화 정보제공 등 IT 기반 정책정보 제공도 가능하다. 다섯째, 사과 농가의 규모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승계농이 점차적으로 증대하고 있다. 기후변화 체감 및 대응은 장기적 정책수립이 중요하다. 따라서 승계농을 확보한 농가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대응 장기 정책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2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2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1) 연구의 범위 3
      • 2) 연구의 방법 3
      • 3. 연구의 내용 4
      • 4.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5
      • 1) 기후변화와 농업 관련 선행연구 6
      • 2) 농업 특화분석 관련 선행연구 7
      • 3) 농업 경영성과 분석 관련 선행연구 8
      • 4) 분석모형에 관한 선행연구 10
      • 5) 연구의 차별성 11
      • Ⅱ. 기후변화와 강원지역 사과농업 12
      • 1. 변화하는 강원지역 기후 12
      • 1) 2018년 강원지역 기상 12
      • 2) 2019년 강원지역 기상 13
      • 2. 기후변화에 따른 사과 재배 변화 15
      • 1) 강원지역 기후변화와 사과농가 수 변화 15
      • 2) 강원농업 특화분석과 사과작목의 변화 17
      • 3) 사과 작목 중심의 지역 특화품목 육성 21
      • Ⅲ. 사과산업의 동향분석 22
      • 1. 사과 생산동향 22
      • 1) 생산액의 변화 22
      • 2) 재배면적과 단수의 변화 24
      • 3) 산지현황 24
      • 4) 농가수와 재배규모 변화 25
      • 2. 사과 유통 및 시장동향 26
      • 1) 유통경로 26
      • 2) 유통마진 27
      • 3) 품종별 시장동향 28
      • 3. 강원지역 사과작목 동향분석 32
      • 1) 재배면적 변화 32
      • 2) 농가 수 변화 35
      • 3) 도매시장 출하실태 36
      • Ⅳ. 사과 경영성과 비교분석 39
      • 1. 사과 경영성과의 변화 추이 39
      • 1) 사과 수익성의 변화 추이 39
      • 2) 사과 생산비의 변화 추이 40
      • 2. 경영성과 상‧하위 비교분석 43
      • 3. 사과 경영성과의 분포와 특성 47
      • 1) 10a당 수량의 분포와 경영성과 47
      • 2) 재배규모의 분포와 경영성과 49
      • 3) 주품종의 분포와 경영성과 51
      • 4. 사과 노동투입의 현황 분석 53
      • 1) 사과 노동투입시간과 노동비의 변화 53
      • 2) 사과 작업단계별 노동시간의 특성 54
      • 5. 사과 재배농가의 경영효율성 분석 57
      • 1) 효율성의 개념 57
      • 2)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모형 58
      • 6. 강원지역 사과농가의 기후변화 체감 인식 및 대응방안 사례 분석 64
      • 1) 홍천군 사례 64
      • 2) 영월군 사례 67
      • 3) 정선군 사례 70
      • 4) 양구군 사례 73
      • 5) 강원지역 사례 종합 및 시사점 75
      • Ⅴ. 기후변화에 대한 강원지역 사과농가 인식 및 대응 분석 79
      • 1. 조사방법 79
      • 1) 모집단 설정 및 표본추출 79
      • 2) 설문 조사표 작성 79
      • 3) 설문 조사 79
      • 2. 분석모형 80
      • 1) 이항로짓모형 80
      • 2) 순서형 로짓모형 82
      • 3) 분석모형 및 가설수립 84
      • 3. 분석자료 86
      • 4. 분석결과 93
      • 1) 분석변수 93
      • 2) 기후변화 체감 요인 분석 95
      • 3) 기후변화 대응 요인 분석 97
      • Ⅵ. 요약 및 결론 1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