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소금의 민족지고고학적 접근 = An Ethno-archaeological approach to the Sal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769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 소금을 조달했을까? 라는 의문으로부터 이글은 시작한다. 고고학적으로 증거가 확인된다면 가장 좋겠지만 우리 고고학계에서는 어떻게 소금에 접근해야 할지 아직 미...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 소금을 조달했을까? 라는 의문으로부터 이글은 시작한다. 고고학적으로 증거가 확인된다면 가장 좋겠지만 우리 고고학계에서는 어떻게 소금에 접근해야 할지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소금이 우리나라에서는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전통적인 소금 제조방법을 우리나라와 일본의 예를 살펴 현지조사와 실험을 통하여 만들어보았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소금은 갯벌을 이용한 煮鹽이고, 고고학적으로 밝혀진 일본의 소금은 해조류를 이용한 자염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海水를 농축시켜 고농도의 鹽水를 모으는데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복잡한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염수를 가마에서 토기나 철제솥 등을 이용하여 끓이면 소금이 만들어지게 된다. 여기서 고고학적 자료는 유구로서 가마터, 유물로서 토기(일본의 예) 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외에도 다양한 목제 도구가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이것들이 해 안가의 유적에서 출토되었을 때 그 기능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요소에 관심을 기울인다면 우리나라에서도 原始ㆍ古代의 제염이 해결될 것으로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begins with the question of how did our ancestors meet the needs of the salt? Archaeological evidences, if there are any, will provide the clue to the question. Unfortunately, there is no archaeological remains related to the salt manufactu...

      This paper begins with the question of how did our ancestors meet the needs of the salt? Archaeological evidences, if there are any, will provide the clue to the question. Unfortunately, there is no archaeological remains related to the salt manufacturing in the ancient Korea. In fact, little has been discussed about how to approach the ancient salt production in Korean archaeology. To get a clue to the ancient salt production" we have made a laboratory experiment utilizing the 'traditional manufacturing methods' gathered through the ethnological field studies in Korea and Japan. The mud-flat was used to produce the traditional "jayeom" in Korea while the seaweed in Japan. In Both cases, condensed salt water was made from the seawater and boiled either in the earthenware or in the iron-pot to produce the solid Jayeom. Archaeological remains such as pot furnaces and earthenwares (in Japanese cases) as well as various wooden tools are examined. Functions of production tools and utilities will be better understood if found on the production site, that is on the seashore. Close and continuing attention to the various elements presented in this research will lead to the deeper understanding of the salt-production of the ancient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Ⅰ. 머리말
      • Ⅱ. 전통적인 소금 제조 방법
      • Ⅲ. 민족지고고학으로 본 우리나라 소금 연구의 과제
      • Ⅳ. 맺음말
      • 【논문개요】
      • Ⅰ. 머리말
      • Ⅱ. 전통적인 소금 제조 방법
      • Ⅲ. 민족지고고학으로 본 우리나라 소금 연구의 과제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석훈, "황해 중부 도서지역의 신석기시대 화덕자리와 제염유적에 대한 유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3

      2 유승훈, "우리나라 제염업과 소금민속" 민속원 2008

      3 전경수, "선사문화의 변동과 소금의 고고학" 72 : 1993

      4 해제면지 발간위원회, "내고향 해제고을" 1988

      5 農商工部水産局, "韓國水産誌 1권" 1908

      6 渡辺誠, "松崎遺跡におけるブロックサンプリングの調査報告 in: 松崎遺跡" (財)愛知県埋蔵文化センター 1991

      7 近藤義郞, "日本土器製鹽硏究" 靑木書店 1994

      8 石部正志, "原始古代の土器製鹽 in: 鹽業漁業" 日本評論社 1985

      1 김석훈, "황해 중부 도서지역의 신석기시대 화덕자리와 제염유적에 대한 유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3

      2 유승훈, "우리나라 제염업과 소금민속" 민속원 2008

      3 전경수, "선사문화의 변동과 소금의 고고학" 72 : 1993

      4 해제면지 발간위원회, "내고향 해제고을" 1988

      5 農商工部水産局, "韓國水産誌 1권" 1908

      6 渡辺誠, "松崎遺跡におけるブロックサンプリングの調査報告 in: 松崎遺跡" (財)愛知県埋蔵文化センター 1991

      7 近藤義郞, "日本土器製鹽硏究" 靑木書店 1994

      8 石部正志, "原始古代の土器製鹽 in: 鹽業漁業" 日本評論社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도서문화연구소 -> 도서문화연구원
      영문명 : THE INSTITUTE OF ISLAND CULTURE MOKPO NATIONAL UNIVERSITY -> Institution for Marine & Island Cultures Mokpo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7-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Island Culture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5 0.87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