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억 치유로서의 통일-한국 개신교회 통일담론과 과제 =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Redemption of Memory: Discourse on the Unification and the Tasks of Korean Protestant Church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교회 통일담론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진보와 보수로 분열된 통일담론의 특성을 분석하여, 교회가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담론 형성을 위한 시...

      본 연구는 한국교회 통일담론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진보와 보수로 분열된 통일담론의 특성을 분석하여, 교회가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담론 형성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한다. 1980년대까지는 정부가 통일담론을 주도했지만, 민주화 이후 민간영역에서도 통일논의가 자유로워졌다. 통일담론이 형성되는 영역은 정부 및 여야 정치권, 시민사회, 학계, 종교계를 두루 포함하며, 국내외 정치상황에 따라 계속 그 내용이 달라져왔다. 교회의 통일담론은 진보교회의 견인, 보수교회의 참여, 진보와 보수의 연합, 담론의 분열을 거쳐왔다. 진보교회는 평화를, 보수교회는 통일선교를 강조하는 통일담론을 갖고 있다. 문제는 정부의 통일담론이 깊은 신학적 성찰 없이 한국교회에 투과되어, 특히 북한 인식 영역에서 신앙적 고백보다 정치적 이념에 더 좌우되는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반도 통일은 복음 선포의 차원과 함께 개인적 차원과 역사적·사회적 차원을 갖고 있으므로, 한국교회의 통일담론은 통일·평화운동과 북한선교 양자를 통합하는 중도적 방향으로 수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경적 통일신학, 객관적 정보에 근거한 대북관, 교회 연합과 일치의 토대에서 기억 치유로서의 새로운 통일담론이 조성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the Korean church’s discourse on the unification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divided by conservatives and liberals to seek implications for the formation of a new discou...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the Korean church’s discourse on the unification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divided by conservatives and liberals to seek implications for the formation of a new discourse that can contribute to peace and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Until the 1980s, the government led the discussion of the unification, but after democratization, discussions on the unification have become active in the private sector. The areas where the discourse have been formed include the government, political parties, civil society, academia, and religious circles. The unification discourse of the church has been led by the progressive church at first. Then the conservative church participated in the discussion. For some time conservatives and liberals united, but later divided again. Progressive churches emphasize peace while the conservative focus on a mission. The problem is that the political discourse on the unification seems to be transmitted to the Korean church without deep theological reflection, especially in the perspective on North Korea, which has been more influenced by political ideology. Since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s a personal, historical, and social dimension with the gospel declaration, the discourse on the unification should converge in the middle direction of integrating both the unification and peace movement as welll as the North Korea mission. Therefore, this paper raises the need for a new unification discourse as redemption of memory to be created on the basis of biblical unification theology, objective information-based perspective on North Korea, and unity of chu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는 말
      • II. 한국교회 통일담론의 역사적 전개과정
      • 1. 한국교회 통일운동의 흐름
      • 2. 선언과 성명서에 나타난 통일담론
      • III. 한국교회 통일담론의 정치화
      • I. 들어가는 말
      • II. 한국교회 통일담론의 역사적 전개과정
      • 1. 한국교회 통일운동의 흐름
      • 2. 선언과 성명서에 나타난 통일담론
      • III. 한국교회 통일담론의 정치화
      • 1. 정치권의 통일담론
      • 2. 한국교회 통일담론의 분열과 문제점
      • IV. 새로운 통일담론을 위한 제언
      • 1. 성경적 통일신학의 확립
      • 2. 객관적 정보에 근거한 대북관 정립
      • 3. 기억의 치유
      • V. 나가는 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