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19년 글래스고의 노동시간 단축 파업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106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19년 1월 글래스고에서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산업현장에 흡수될 제대군인들의 고용 기회를 늘리기 위해 주 40시간으로 노동시간 단축을 요구하는 파업이 진행되었다. 파업은 비공식적인 ...

      1919년 1월 글래스고에서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산업현장에 흡수될 제대군인들의 고용 기회를 늘리기 위해 주 40시간으로 노동시간 단축을 요구하는 파업이 진행되었다. 파업은 비공식적인 노조 연합이었던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1월 27일 시작된 파업에는 탈숙련화 정책에 저항하던 글래스고의 다양한 부문의 노동자들이 참가했다. 노동시간 단축에 대한 요구는 파업이전부터 산업, 그리고 노동의 특성에 따라 달랐다. 그러나 합동 파업 위원회의 논의 끝에 주 40시간으로 결론이 났다. 주 40시간 단축을 위해 파업 위원회는 글래스고 시장에게 정부와 중재에 나서 줄 것을 요구했다. 정부의 대답을 듣기 위해 1월 31일에 계획된 시위는 정부의 강경한 탄압에 직면했고, 일명 ‘피의 금요일 사건’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 사건 이후 파업은 성과 없이 실패로 끝났다. 노동시간 단축 파업은 산업 부문의 다양성과 노동자들 간의 노동 여건의 현실적 차이를 극복할 수 없었다. 그리고 파업은 붉은 클라이드사이드 시기에 주요한 사건으로 언급되지만, 파업 지도부의 다수를 차지하던 사회주의적 성향과 실업 방지를 위해 노동시간 단축을 원하던 노동자들의 현실적인 요구 사이에는 간격이 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동시간 단축 파업을 통해 글래스고 노동자들이 얻게된 경험은 이후 노동운동과 정치적 발전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은 분명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January 1919, in Glasgow, a strike to demand reducing the working week to 40-hours was taken part to increase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war veterans who would be demobilised and absorbed into the industrial sites after the termination of World W...

      In January 1919, in Glasgow, a strike to demand reducing the working week to 40-hours was taken part to increase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war veterans who would be demobilised and absorbed into the industrial sites after the termination of World War I. Clyde Workers’ Committee, which was an informal trade union coalition, led the strike. The strike began on January 27, involving workers from a variety of work fields of Glasgow who stood against labour dilution. The demands for the reduction of working hours were different before the strik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industry and labour. However, after discussions and considerations, the Joint Strike Committee concluded that the 40 hours of the working week was apposite. To achieve the reduction of working hours, the Joint Strike Committee demanded the mayor of Glasgow to arbitrate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committee. On January 31, the strikers that congregated to hear the response of the government faced harsh repression by the government, the so-called “Bloody Friday” incident. After the confrontation, the strike ended in failure, yielded definite results. The strike for the reduction of working hours could not overcome the practical differences in the diversity of the industry and the working conditions among workers. Although the strike is mentioned as a major event during the Red Clydeside, there was a large gap between the socialist majority of the strike committee leadership and the workers demanding the reduction of working hours for practical reasons such as unemployment. Nevertheless, it is clear that the experience of the Glasgow workers thought the working hour reduction strike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later labour movements and political develop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제1차 세계대전 시기 글래스고 노동자들의 상황
      • Ⅲ. 주 40시간 파업
      • Ⅳ. 피의 금요일 사건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제1차 세계대전 시기 글래스고 노동자들의 상황
      • Ⅲ. 주 40시간 파업
      • Ⅳ. 피의 금요일 사건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Craig, Maggie, "When The Clyde Ran Red : A Social History of Red Clydeside" Birlinn Limited 2018

      2 Melling, Joseph, "Whatever happened to Red Clydeside?" 3-32, 1990

      3 Rubin, Gerry, "War, Law and Labour" Clarendon Press 1988

      4 McLean, Iain, "The legend of Red Clydeside" John Donald Publishers Ltd 1983

      5 "The Worker no. 4, 29 January 1919"

      6 "The Worker no. 4, 29 January 1916"

      7 "The Worker no. 2, 15 January 1916"

      8 "The Strike Bulletin 31 January 1919"

      9 "The Strike Bulletin 1 February, 1919"

      10 Glasgow Labour History Workshop, "The Singer Strike Clydebank, 1911" Clydebank District Library 1989

      1 Craig, Maggie, "When The Clyde Ran Red : A Social History of Red Clydeside" Birlinn Limited 2018

      2 Melling, Joseph, "Whatever happened to Red Clydeside?" 3-32, 1990

      3 Rubin, Gerry, "War, Law and Labour" Clarendon Press 1988

      4 McLean, Iain, "The legend of Red Clydeside" John Donald Publishers Ltd 1983

      5 "The Worker no. 4, 29 January 1919"

      6 "The Worker no. 4, 29 January 1916"

      7 "The Worker no. 2, 15 January 1916"

      8 "The Strike Bulletin 31 January 1919"

      9 "The Strike Bulletin 1 February, 1919"

      10 Glasgow Labour History Workshop, "The Singer Strike Clydebank, 1911" Clydebank District Library 1989

      11 "The Reconstruction Society"

      12 Hinton, J., "The First Shop Stewards’ Movement" G. Allen & Unwin 1973

      13 "The Clyde Defence Fund"

      14 Foster, John, "Strike Action and Working-Class Politics on Clydeside 1914~1919" 35 : 33-70, 1990

      15 Reid, Alastair, "Shop Floor Bargaining and the State" Cambridge Univ Press 1985

      16 Mclovor, Arthor, "Roots of Red Clydeside 1910~1914: Labour unrest and Industrial Relations in West Sctland" 73 : 279-280, 1997

      17 Wood, I. S., "Rootes of Red Clydeside" 20 : 279-280, 1997

      18 Gallacher, Willie, "Revolt on the Clyde" Lawrence & Wishart 1936

      19 "Petition to the Secretary of State for Scotland for the release of Clyde Workers’ Committee leaders, Apr, 1919"

      20 Gallhofer, Sonja, "Mobilising accounting in the radical media during the First World War and its aftermath: The case of Forward in the context of Red Clydeside" 17 : 224-252, 2006

      21 Duncan, Robert, "Militant Workers: Labour and Class Conflict on the Clyde, 1900~1950" John Donald 1992

      22 "Manifesto of the Joint Strike Committee, Glasgow, “A Call to British Labour”, 31, January, 1919"

      23 Griffin, Paul, "Labour Struggles and the formation of demands: The spatial politics of Red Clydeside" 62 : 121-130, 2015

      24 Bell, Henry, "John MaClean: Hero of Red Clydeside" Pluto Press 2018

      25 "Glasgow Herald 27 January 1919"

      26 "Glasgow Herald 10 April 1919"

      27 MacAskill, Kenny, "Glasgow 1919: The Rise of Red Clydeside" Biteback Publishing Ltd 2019

      28 Griffin, Paul, "Diverse political identities whthin a working class presence: Revisiting Red Clydeside" 65 : 123-133, 2018

      29 Rafeek, Neil C., "Communist Women in Scotland" I. B. Tauris & Co. Ltd 2016

      30 Mitchell, Ian R., "Clydeside: Red, Orage and Green" Luath Press Limited 2010

      31 Bailey, Michael, "Changing tides of industrial democracy: Red Clydeside and the UCS work-in as political heritage" 25 (25): 1319-1338, 2019

      32 Stevenson, J., "British Socisty 1914~45" Penguin Books 1984

      33 Jenkinson, Jacqueline, "Black Sailors on Red Clydeside: Rioting, Reactionary Trade Unionism and Conflicting Notions of ‘Britishness’ Following the First World War" 19 (19): 29-60,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1.01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