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기문, "주시경의 학문에 대한 새로운 이해" 5 : 1976
2 이병근, "주시경의 언어이론과 ‘늣씨’" 8 : 1979
3 김민수, "주시경연구" 탑출판사 1977
4 정승철, "주시경과 언문일치" 12 : 2003
5 최호철, "주시경과 19세기의 영어문법" 4 : 1989
6 최낙복, "주시경 문법의 통어론 연구" 254 : 2001
7 남경완, "주시경 문법에서 ‘드’의 개념과 범위" 국어학회 (59) : 131-152, 2010
8 조성산, "조선후기 소론계의 東音 인식과 訓民正音 연구" 고려사학회 (36) : 87-118, 2009
9 김민수, "유희의 생애와 국어학 자료집" 한국 어문교육연구회 2000
10 최낙복, "유길준 말본의 통어론 연구" 14-15 : 2002
1 이기문, "주시경의 학문에 대한 새로운 이해" 5 : 1976
2 이병근, "주시경의 언어이론과 ‘늣씨’" 8 : 1979
3 김민수, "주시경연구" 탑출판사 1977
4 정승철, "주시경과 언문일치" 12 : 2003
5 최호철, "주시경과 19세기의 영어문법" 4 : 1989
6 최낙복, "주시경 문법의 통어론 연구" 254 : 2001
7 남경완, "주시경 문법에서 ‘드’의 개념과 범위" 국어학회 (59) : 131-152, 2010
8 조성산, "조선후기 소론계의 東音 인식과 訓民正音 연구" 고려사학회 (36) : 87-118, 2009
9 김민수, "유희의 생애와 국어학 자료집" 한국 어문교육연구회 2000
10 최낙복, "유길준 말본의 통어론 연구" 14-15 : 2002
11 최경봉, "우리말의 탄생" 책과함께 2005
12 김석득, "우리말연구사" 정음문화사 1983
13 이상혁, "애국계몽기의 국어의식-당대 연구자들의 국어관을 중심으로" 41 : 2000
14 김민수, "신국어학사(전정판)" 일조각 1980
15 최형용, "분류 기준에서 본 주시경 품사 체계의 변천에 대하여" 국어학회 (63) : 313-340, 2012
16 이연숙, "말이라는 환영, 근대 일본의 언어 이데올로기" 심산 2009
17 정광, "노박집람역주" 태학사 2011
18 최낙복, "김희상 문법의 통어론 연구" 이중언어학회 (28) : 391-414, 2005
19 황화상, "김희상 문법의 재조명-「울이글틀」의 품사론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22) : 29-54, 2004
20 최경봉, "김규식 <대한문법>의 국어학사적 의의" 우리어문학회 (22) : 5-28, 2004
21 최낙복, "김 규식 문법의 통어론 연구" 한글학회 (260) : 199-225, 2003
22 최경봉, "근대적 언어관의 전개와 국어정립이라는 과제의 인식 양상: 한국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58) : 231-269, 2012
23 조태린, "근대 국어 의식 형성의 보편성과 특수성 - 언어와 국민 사이의 관계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회 (39) : 81-108, 2009
24 허재영, "근대 계몽기 언문일치의 본질과 국한문체의 유형" 한국어문학회 (114) : 441-467, 2011
25 고영근, "국어학연구사-흐름과 동향" 학연사 1985
26 최경봉, "국어학사의 서술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근대국어학사의 서술 문제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59) : 153-184, 2010
27 김민수, "국어학사의 기본이해" 집문당 1987
28 이상혁, "국어학사의 관점에서 바라본 유희의 언어관: 언문지를 중심으로" 36 : 2002
29 강신항, "국어학사" 보성문화사 1979
30 김민수, "강위의 「동문자모분해 (東文字母分解)」에 대하여" 10 : 1981
31 이병근, "近代國語學의 形成에 관련된 國語觀 - 大韓帝國 時期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2) : 1-33, 2003
32 정승철, "『국어문법』(주시경)과 English Lessons" 국어국문학회 134 : 73-88, 2003
33 김지홍, "‘언문지’의 텍스트 분석" 진단학회 (118) : 213-243, 2013
34 김민수, "‘늣씨’와 ‘Morpheme’ -주시경(周時經) 및 Bloomfield의 문법적(文法的) 최소단위(最小單位)에 대(對)하여-" 24 : 1961
35 조성산,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조선 지식인의 語文 인식 경향"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7) : 177-202, 2009
36 김양진, "18世紀 後半의 國語學과 鄭東愈의 『晝永編』" 대동문화연구원 (68) : 255-289,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