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스 베버는 권력과 지배의 문제를 정치학과 사회학의 핵심 주제로 부각시켰으며, 역사적이고 경험적인 연구를 위한 개념적 기초를 제공했다. 특히 그가 제시한 지배유형론, 즉 전통적, 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막스 베버는 권력과 지배의 문제를 정치학과 사회학의 핵심 주제로 부각시켰으며, 역사적이고 경험적인 연구를 위한 개념적 기초를 제공했다. 특히 그가 제시한 지배유형론, 즉 전통적, 카...
막스 베버는 권력과 지배의 문제를 정치학과 사회학의 핵심 주제로 부각시켰으며, 역사적이고 경험적인 연구를 위한 개념적 기초를 제공했다. 특히 그가 제시한 지배유형론, 즉 전통적, 카리스마적, 합리적 지배에 대한 논의는 20세기 이후 사회과학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베버의 지배사회학에 대한 해석은 갈등론과 합의론이라는 상반되는 이론적 흐름에 상응하는 두 가지 입장으로 나뉘어 있다. 이는 근본적으로 베버 이론에서 권력관계의 강제적 요소와 정당성의 요소 간의 관계가 모호한 상태로 남겨져 있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베버가 권력과 지배의 두 차원을 동시에 강조하면서, 암묵적으로나마 양자의 관계를 파악하고 있었다고 주장한다. 이런 관점에서 베버가 지배의 강제적 요소와 정당화의 요소 간의 결합적 역동을 어떻게 파악하고 있었는지 조명해 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양자의 조합을 매개하는 실천으로서 행정(Verwaltung)이 베버의 지배사회학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재발견하게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x Weber focuses on the issue of power and domination as the key subject in his political theory, and provides with a conceptual basis for historical and empirical studies. Particularly, his argument on the types of domination – traditional, c...
Max Weber focuses on the issue of power and domination as the key subject in his political theory, and provides with a conceptual basis for historical and empirical studies. Particularly, his argument on the types of domination –
traditional, charismatic and rational domination –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social sciences in general after the 20th century. But interpretations on his theory of dominance are divided into 2: One follows the tradition of conflict theory, while the other does that of consensus theory. They do so, fundamentally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coercion and legitimation of power remains ambiguously in his theory. This study suggests that Weber equally emphasizes on both coercion and legitimation in dominance with hi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even if his understanding is not explicitly expressed.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endeavors to shed light on how Weber understands combined dynamics between coercion and legitimation of power. In the process, one will find that administration(Verwaltung), as a practice intermediating the combination between coercion and legitimation, holds a key position in his political theor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