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사절차상 압수,수색규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Critical research on the articles of search and seizure in investigation proced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469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reviewed critically on the execution method of search and seizure warrant, objects of seizure, and requirements of search and seizure articles regulated in Criminal Procedure Act that was amended in 2011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

      This paper is reviewed critically on the execution method of search and seizure warrant, objects of seizure, and requirements of search and seizure articles regulated in Criminal Procedure Act that was amended in 2011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 As a result, first, with regard to the degree of criminal suspicion required as general requirements of search and seizure to which investigative agencies need, heretofore the majority of theories have explained the meaning of phrase as a sense of ‘mere suspicion`` or ‘first suspicion`` because article 215 Criminal Procedure Act has only regulated as a phrase of ‘the necessity of investigation``. But ‘the circumstantial existence of crime suspicion`` in the article 215 of Criminal Procedure Act requires more than ‘mere suspicion`` of crime, and therefore the level of suspicion is explicitly needed a higher stage than ‘mere suspicion`` and ‘relevancy with the criminal case``. For the substantial judgment to search and seizure warrant, these requirements should be respectively independent elements of search and seizure. Second, there are many controversies in the interpretation because a current Criminal Procedure Act is not expressed explicitly concerning whether electronic information is still object of seizure or not. Relevant regulations concerning electronic information as the object of seizure should be enacted or revised to eliminate these debates. According to a view of de lege ferenda electronic information should be expressed as the object of seizure in paragraph 1, article 106 Criminal Procedure Act. Third, the content of paragraph 3, Article 106 Criminal Procedure Act newly revised was not included electronic information as the object of seizure, but it was defined the execution method of search and seizure warrant concerning electronic information. Current regulations regarding search and seizure are insufficient to apply for the search and seizure of electronic information in investigation procedure. Accordingly, electronic information should be stipulated as object of search and seizure in Paragraph 1, Article 106 Criminal Procedure Act. However, if electronic information is considered as the object of seizure, the finished time of execution of search and seizure warrant is time to be acquired the content of electronic information. therefore, to extract criminal relevant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storage device is a part of continuous process in the execution of search and seizure warrant. This point of view is equal to the opinion of Supreme Court. In addition, concerning problems on the return of seizures article, extent of participation in the enforcement process of search and seizure warrant of a party to the seizure, and discovered evidences in enforcement process of search and seizure warrant are required the revision of relevant regulation in considerations of the efficiency of investigation and security of human righ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승수, "형사절차상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 및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2 김경수, "형사소송법상 압수수색 관련 규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19 (19): 189-222, 2011

      3 강동범, "형사소송법[선택형 문제해설] 제3판" 신조사 2015

      4 조광훈, "형사소송법 제106조의 쟁점과 개정안 검토" 법조협회 63 (63): 192-249, 2014

      5 정웅석, "형사소송법" 大明出版社 2014

      6 임동규, "형사소송법" 법문사 2015

      7 노명선, "형사소송법"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3

      8 배종대, "형사소송법" 홍문사 2015

      9 김성룡, "형사법개정연구자료집 Ⅵ" 법무부 형사법제과 2011

      10 노정환, "현행 압수수색제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실무상 문제점을 중심으로 -" 법조협회 59 (59): 5-57, 2010

      1 전승수, "형사절차상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 및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2 김경수, "형사소송법상 압수수색 관련 규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19 (19): 189-222, 2011

      3 강동범, "형사소송법[선택형 문제해설] 제3판" 신조사 2015

      4 조광훈, "형사소송법 제106조의 쟁점과 개정안 검토" 법조협회 63 (63): 192-249, 2014

      5 정웅석, "형사소송법" 大明出版社 2014

      6 임동규, "형사소송법" 법문사 2015

      7 노명선, "형사소송법"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3

      8 배종대, "형사소송법" 홍문사 2015

      9 김성룡, "형사법개정연구자료집 Ⅵ" 법무부 형사법제과 2011

      10 노정환, "현행 압수수색제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실무상 문제점을 중심으로 -" 법조협회 59 (59): 5-57, 2010

      11 민만기, "현행 압수ㆍ수색 절차상 plain view 원칙의 적용 가능성과 입법론적 검토" 법학연구소 25 (25): 135-170, 2013

      12 조국, "컴퓨터 전자기록에 대한 대물적 강제처분의 해석론적 쟁점" 한국형사정책학회 22 (22): 99-123, 2010

      13 조광훈, "정보저장매체의 분석행위의 입법론에 대한 타당성 검토" 대검찰청 (44) : 31-75, 2014

      14 정한중, "전자정보의 압수⋅수색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11.5.26. 선고 2009모1190 결정-" 법학연구소 36 (36): 221-239, 2012

      15 김양섭, "전자정보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의 집행이 적법성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조치" 사법발전재단 1 (1): 235-303, 2012

      16 이숙연, "전자정보에 대한 압수수색과 기본권, 그리고 영장주의에 관하여 - 대법원 2011모1190 결정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한 연구 -" 한국헌법학회 18 (18): 1-44, 2012

      17 하태영, "전자정보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의 법적 근거와 영장집행의 적법성의 요건"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3 (13): 427-460, 2011

      18 조국, "압수·수색의 합법성 기준 재검토" 한국비교형사법학회 5 (5): 29-782, 2003

      19 김용호, "실무상 디지털증거의 현장압수수색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정보통신학회 17 (17): 2595-2601, 2013

      20 신동운, "신형사소송법" 법문사 2015

      21 손동권, "새로이 입법화된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제도에 관한 연구 - 특히 추가적 보완입법의 문제 -" 한국형사정책학회 23 (23): 325-349, 2011

      22 손동권, "새로운 형사소송법" 세창출판사 2014

      23 전명길, "디지털증거의 수집과 증거능력" 한국법학회 (41) : 317-336, 2011

      24 조성훈, "디지털증거와 영장주의 : 증거분석과정에 대한 규제를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4 (24): 111-149, 2013

      25 박봉진, "디지털증거 압수수색에 관한 연구" 법과정책연구원 19 (19): 187-214, 2013

      26 이경열, "디지털정보 관련 증거의 압수·수색 규정의 도입방안 연구" 법학연구소 13 (13): 483-521, 2012

      27 이원상, "디지털 증거의 체계적인 무결성 확보방안- 왕재산 사건을 중심으로 -" 대검찰청 (43) : 102-138, 2014

      28 노명선, "디지털 증거의 압수ㆍ수색에 관한 판례 동향과 비교법적 고찰" 대검찰청 (43) : 139-194, 2014

      29 곽병선,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절차상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법학회 (51) : 249-265, 2013

      30 조광훈,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1 (21): 699-738, 2014

      31 정병곤, "디지털 증거의 압수 · 수색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형사소송법 제106조 제3항을 중심으로 -" 한국형사법학회 25 (25): 171-192, 2013

      32 이주원, "디지털 증거에 대한 압수수색제도의 개선" 안암법학회 (37) : 151-199, 2012

      33 이완규, "디지털 증거 압수수색과 관련성 개념의 해석" 법조협회 62 (62): 91-162, 2013

      34 전승수, "디지털 정보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의 집행- 대법원 2011. 5. 26.자 2009모1190 결정 -" 법조협회 61 (61): 237-276, 2012

      35 박혁수, "디지털 정보 압수·수색의 실무상 쟁점" 대검찰청 (44) : 76-113, 2014

      36 池田修, "刑事訴訟法講義" 東京大學出版會 2014

      37 吳奇斗, "刑事節次上 컴퓨터 關聯證據의 수집 및 利用에 關한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

      38 Wayne R. Lafave, "search and Seizure 2" Wadsworth 2004

      39 Roxin, Claus, "Strafverfahrensrecht" C. H. Beck 1998

      40 Beulke, Werner, "Strafprozessrecht" C. F. Müller 2006

      41 Kühne, Hans-Heiner, "Strafprozessrecht" C. F. Müller 2007

      42 Volk, klaus, "Grundkurs StPO" C. H. Beck 2008

      43 박경신, "E-메일 압수수색의 제문제와 관련 법률개정안들에 대한 평가" 법학연구소 13 (13): 265-314, 2010

      44 Stacy C. Moak, "Criminal justice procedure" anderson publishing 2013

      45 James R. Acker, "Criminal Procedure: a contemporary perspective" Aspen Publishers 1999

      46 John L. Worrall, "Criminal Procedure: From First Contact to Appeal" Pearson Education 2007

      47 Robert M. and Bloom, "Criminal Procedure(The Constitution and the Police)" Aspen Publishers 2006

      48 Rolando v. del Carmen, "Criminal Procedure" Wadsworth 2007

      49 Joel Samaha, "Criminal Procedure" Wadsworth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1 0.749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