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내거주 고려인 이주민들의 현실적인 문제와 기대를 통한 선교 접촉점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8760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21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f Mission Contact Point of Korean Immigrants in the Country Through Their Practical Issues and Expectations

      • 형태사항

        ix, 120 p.: 차트; 26cm

      • 일반주기명

        국문 및 영문 초록 수록
        총신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성남용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총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국내 거주 고려인 이주민들의 현실적인 문제와
      기대를 통한 선교 접촉점 연구

      이 경 석
      지도교수 성 남 용 박사


      이주민 선교는 한국교회에 놀라운 부흥과 성장을 거듭해 왔다. 그러나 이주민교회의 상황은 이전에 없었던 위기를 맞고 있다. 지역교회의 침체와 신뢰도가 낮아지고 이러한 위기 상황은 교회가 선교를 힘들게 하는 요인이다. 따라서 이주민 선교의 미래를 위한 연구와 방안의 제시가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 방법은 조사연구와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국내에 거주하는 고려인들로 정하였으며, 자료수집에 참여한 두 장소는 인천 연수구의 다사랑 문화센터와 경기도 광주의 세계선교교회에서 43명을 심층 인터뷰한 내용을 조사하고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에 거주하는 고려인 이주민을 대상으로 선교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선교 접촉점을 4가지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로 한국말을 가르치는 교육기관이 필요하다. 고려인 1.5세대 이후 태어난 사람들은 한국어를 들어도 본인이 필요한 말을 하기에는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정부도 복지기관을 통해 한국어학당을 하고 있지만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우리 합동 교단의 총신대학교에서 한국어 강좌 개설을 요청하며, 지역교회도 현실에 맞는 한국어 교육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둘째, 성경의 교육이 필요하다. 구원에 대한 확신이 희미한 것은 구원의 뼈대인 복음의 선명함을 가르치는 것이 약하기 때문인데 이를 위해 대. 소요리 문답이나 기독교강요를 쉽게 풀어서 가르치는 것입니다.
      셋째, 전문사역자가 필요합니다. 이들의 언어나 문화를 수용하고 복음의 사람을 만드는 것은 열정만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케어하고 소속감을 심어주는 사역자를 말하는 것입니다.
      넷째는, 지역교회와 지속적인 연합입니다. 지역교회는 이주민들의 생활과 문화를 서로 나누며 이해하며 살아가는 공생하는 공동체이므로 효과적인 사역을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적용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려인들에게 바른 복음을 전해야 한다. 율법의 신앙생활이나, 구원받았음이 흔들리지 않도록 완전한 복음을 가르치며, 이단 방지 교육도 필요하다.
      둘째, 사랑의 심방을 해야 합니다. 차별받고 있는 저들을 포용하고 눈높이를 맞추며 적극적인 만남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한 교회의 책무가 아니라 지역교회와 연합으로 보듬어야 합니다.
      셋째, 고려인 동포들의 의료비용을 낮추고 혜택을 주어야 한다. 한민족의 동포임에도 직업의 제한을 받으며 원하는 직업 선택보다는 육체의 고된 3D 업종의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만성적인 피로와 질병, 고통받는 이들에게 의료혜택은 꼭 필요합니다.
      넷째, 고려인 선교는 교단 차원의 한국어 교육기관이 필요합니다. 이제는 총신에서 동포들에게 모국어 사용을 확대하는 한국어 백일장을 만들고 장학금의 수혜를 주어 문을 넓혀야 합니다. 이러한 교육을 다른 기관에 맡기고 미루는 것보다 시급히 만들어 복음을 듣도록 해야 합니다.
      번역하기

      <국문초록> 국내 거주 고려인 이주민들의 현실적인 문제와 기대를 통한 선교 접촉점 연구 이 경 석 지도교수 성 남 용 박사 이주민 선교는 한국교회에 놀라운 부흥과 성장을 거듭해 ...

      <국문초록>
      국내 거주 고려인 이주민들의 현실적인 문제와
      기대를 통한 선교 접촉점 연구

      이 경 석
      지도교수 성 남 용 박사


      이주민 선교는 한국교회에 놀라운 부흥과 성장을 거듭해 왔다. 그러나 이주민교회의 상황은 이전에 없었던 위기를 맞고 있다. 지역교회의 침체와 신뢰도가 낮아지고 이러한 위기 상황은 교회가 선교를 힘들게 하는 요인이다. 따라서 이주민 선교의 미래를 위한 연구와 방안의 제시가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 방법은 조사연구와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국내에 거주하는 고려인들로 정하였으며, 자료수집에 참여한 두 장소는 인천 연수구의 다사랑 문화센터와 경기도 광주의 세계선교교회에서 43명을 심층 인터뷰한 내용을 조사하고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에 거주하는 고려인 이주민을 대상으로 선교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선교 접촉점을 4가지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로 한국말을 가르치는 교육기관이 필요하다. 고려인 1.5세대 이후 태어난 사람들은 한국어를 들어도 본인이 필요한 말을 하기에는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정부도 복지기관을 통해 한국어학당을 하고 있지만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우리 합동 교단의 총신대학교에서 한국어 강좌 개설을 요청하며, 지역교회도 현실에 맞는 한국어 교육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둘째, 성경의 교육이 필요하다. 구원에 대한 확신이 희미한 것은 구원의 뼈대인 복음의 선명함을 가르치는 것이 약하기 때문인데 이를 위해 대. 소요리 문답이나 기독교강요를 쉽게 풀어서 가르치는 것입니다.
      셋째, 전문사역자가 필요합니다. 이들의 언어나 문화를 수용하고 복음의 사람을 만드는 것은 열정만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케어하고 소속감을 심어주는 사역자를 말하는 것입니다.
      넷째는, 지역교회와 지속적인 연합입니다. 지역교회는 이주민들의 생활과 문화를 서로 나누며 이해하며 살아가는 공생하는 공동체이므로 효과적인 사역을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적용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려인들에게 바른 복음을 전해야 한다. 율법의 신앙생활이나, 구원받았음이 흔들리지 않도록 완전한 복음을 가르치며, 이단 방지 교육도 필요하다.
      둘째, 사랑의 심방을 해야 합니다. 차별받고 있는 저들을 포용하고 눈높이를 맞추며 적극적인 만남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한 교회의 책무가 아니라 지역교회와 연합으로 보듬어야 합니다.
      셋째, 고려인 동포들의 의료비용을 낮추고 혜택을 주어야 한다. 한민족의 동포임에도 직업의 제한을 받으며 원하는 직업 선택보다는 육체의 고된 3D 업종의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만성적인 피로와 질병, 고통받는 이들에게 의료혜택은 꼭 필요합니다.
      넷째, 고려인 선교는 교단 차원의 한국어 교육기관이 필요합니다. 이제는 총신에서 동포들에게 모국어 사용을 확대하는 한국어 백일장을 만들고 장학금의 수혜를 주어 문을 넓혀야 합니다. 이러한 교육을 다른 기관에 맡기고 미루는 것보다 시급히 만들어 복음을 듣도록 해야 합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 Study of Mission Contact Point of Korean Immigrants in the Country through Their Practical Issues and Expectations

      Witten by Kyung-Seok Lee
      Advising Professor Nam-Yong Sung, ph.D.

      Immigrant mission has become a great renaissance and growth within Korean churches. At the same time, however, it’s facing an unprecedented problem. Local churches are struggling with stagnancy and decreasing faith, and such issues are hindering missions. Consequently, further research and measures for immigrant mission are in demand.
      This research method uses speculation and qualitative measures. The targets of the research are immigrants residing in Korea, and the research studied personal interviews with 43 individuals from two places used for collecting data: Da SaRang culture center in Incheon and World Mission Church in Gwangju, Gyeonggido.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I aim to suggest implementing a sense of importance of mission for Koreans residing in the country and to suggest the mission contact point as four parts.
      First, an educational center for teaching Korean is necessary. While 1.5 generation Korean immigrants can somewhat understand what they hear, they have a highly difficult time speaking what they need to say in Korean. Although the government tries to use public welfare institutions to teach Korean, results are extremely short of improvements. As a result, local churches should execute Korean education.
      Secondly, bible study is needed. The reason why faith in salvation is fading is that definite education of the Christian fundamentality, the gospel, is weak. In order to solve this, we can use simplified versions of Christian questionnaires and lectures to teach more effectively.
      Thirdly, professional minister is in need. To understand their language and culture and transform them to people of gospel, one needs more than simply passion. We need a minister who gives consistent care and a feeling of belonging to its members.
      Fourth is consistent union with the local church. Local churches coexist with immigrants and share their culture and lives, making their effective ministry is highly important.

      The following is the suggested application of the research.
      Firstly, we need to spread proper gospel to Korean immigrants. We need to teach them how to live as Christians and help their faith become stable through complete knowledge of gospel. Education in eliminating and defying heresy is also needed.
      Secondly, we need to visit these individuals with love. These immigrants who are facing discrimination in this country need understanding more than anything else. We need to build an active relationship that matches their eye level.
      Thirdly, medical costs should be lowered and certain benefits should be given. While citizens of one nation, most of these immigrants take so-called “3D” jobs that expose them to severe fatigue and illnesses. These individuals suffering from physical difficulties absolutely need medical benefits.
      Lastly, Korean immigrant mission needs a platfor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now on, usage of Korean language should be expanded through establishment of scholarships and institutions. Instead of relying on others to take on this responsibility, it is crucial that we begin this ourselves and help them listen to gospel.
      번역하기

      <Abstract> A Study of Mission Contact Point of Korean Immigrants in the Country through Their Practical Issues and Expectations Witten by Kyung-Seok Lee Advising Professor Nam-Yong Sung, ph.D. Immigrant mission has become a great renaissanc...

      <Abstract>
      A Study of Mission Contact Point of Korean Immigrants in the Country through Their Practical Issues and Expectations

      Witten by Kyung-Seok Lee
      Advising Professor Nam-Yong Sung, ph.D.

      Immigrant mission has become a great renaissance and growth within Korean churches. At the same time, however, it’s facing an unprecedented problem. Local churches are struggling with stagnancy and decreasing faith, and such issues are hindering missions. Consequently, further research and measures for immigrant mission are in demand.
      This research method uses speculation and qualitative measures. The targets of the research are immigrants residing in Korea, and the research studied personal interviews with 43 individuals from two places used for collecting data: Da SaRang culture center in Incheon and World Mission Church in Gwangju, Gyeonggido.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I aim to suggest implementing a sense of importance of mission for Koreans residing in the country and to suggest the mission contact point as four parts.
      First, an educational center for teaching Korean is necessary. While 1.5 generation Korean immigrants can somewhat understand what they hear, they have a highly difficult time speaking what they need to say in Korean. Although the government tries to use public welfare institutions to teach Korean, results are extremely short of improvements. As a result, local churches should execute Korean education.
      Secondly, bible study is needed. The reason why faith in salvation is fading is that definite education of the Christian fundamentality, the gospel, is weak. In order to solve this, we can use simplified versions of Christian questionnaires and lectures to teach more effectively.
      Thirdly, professional minister is in need. To understand their language and culture and transform them to people of gospel, one needs more than simply passion. We need a minister who gives consistent care and a feeling of belonging to its members.
      Fourth is consistent union with the local church. Local churches coexist with immigrants and share their culture and lives, making their effective ministry is highly important.

      The following is the suggested application of the research.
      Firstly, we need to spread proper gospel to Korean immigrants. We need to teach them how to live as Christians and help their faith become stable through complete knowledge of gospel. Education in eliminating and defying heresy is also needed.
      Secondly, we need to visit these individuals with love. These immigrants who are facing discrimination in this country need understanding more than anything else. We need to build an active relationship that matches their eye level.
      Thirdly, medical costs should be lowered and certain benefits should be given. While citizens of one nation, most of these immigrants take so-called “3D” jobs that expose them to severe fatigue and illnesses. These individuals suffering from physical difficulties absolutely need medical benefits.
      Lastly, Korean immigrant mission needs a platfor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now on, usage of Korean language should be expanded through establishment of scholarships and institutions. Instead of relying on others to take on this responsibility, it is crucial that we begin this ourselves and help them listen to gosp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연구문제 1
      • 1. 연구 배경 2
      • 2. 연구 목적 3
      • 목 차
      • Ⅰ. 연구문제 1
      • 1. 연구 배경 2
      • 2. 연구 목적 3
      • 3. 연구 질문 4
      • 4. 용어 정의 4
      • 5. 연구 제한 범위 7
      • 6. 연구의 중요성 8
      • 7. 연구 절차 8
      • Ⅱ. 선행연구 9
      • 1. 고려인 이주민들에 대한 이해 9
      • 1) 이주민 이해 10
      • (1) ILO(국제노동기구)협약 이주노동자 정의 10
      • (2) UN이주노동자 인권협약서의 이주노동자 정의 11
      • (3) 국내법상 이주민 12
      • 2) 고려인 이주민들의 다문화 사회로 전환 12
      • 3) 고려인 이주민들의 한국 사회 정착유형과 지원 13
      • 2. 선교 신학적 관점에서 본 이주민 14
      • 1) 선교적 교회의 성경적 언어 14
      • (1)선교적 교회의 정의 15
      • (2)선교적 교회의 사역 16
      • (3)선교적 이해 17
      • ① 언어적 고찰 18
      • ② 선교에 대한 성경적 이해 18
      • ③ 이주노동자에 대한 한국교회 선교개념 21
      • ④ 동심원적 선교 21
      • 2) 이주민들의 성경적 이해 23
      • (1) 구약에 나타난 이주민 23
      • ① 이주민 노동자‘게르’의 대우 25
      • ② 품꾼으로서 이주민 노동자 27
      • (2) 신약에 나타난 이주민 28
      • ① 복음서에 나타난 이주민 30
      • ② 디아스포라와 이주민 32
      • 3) 노동에 대한 신학적 이해 33
      • (1) 노동의 의미 33
      • (2) 성경에 나타난 노동관 34
      • (3) 노동의 신학적 이해 36
      • (4) 노동의 원리와 실천 37
      • 4) 이주민들의 선교적 접근 39
      • (1) 다문화 선교대상으로서 이주민 40
      • (2) 이주민들의 선교를 위한 종교적 접근 41
      • 3. 고려인 이주민들의 동향과 현황 42
      • 1) 고려인 이주노동자들의 유입과 현황 43
      • (1) 고려인 동포들의 유입 원인 44
      • (2) 외국인 체류 현황 45
      • ① 국적별 체류현황 47
      • ② 체류 자격별현황 48
      • ③ 재외동포 F-4 국적별 현황 48
      • ④ 영주권자 F-5 국적별 현황 48
      • ⑤ 방문취업 H-2 국적별 현황 49
      • 4. 국내 고려인 이주민 문제 분석 50
      • 1) 언어 소통 50
      • 2) 경제적 어려움 51
      • 3) 문화, 종교성 문제 51
      • Ⅲ. 연구 설계 53
      • 1. 연구 질문 검토 53
      • 2. 연구 대상 53
      • 3. 연구 도구 54
      • 4. 자료수집 절차 55
      • Ⅳ. 이주민들의 현실적 문제 57
      • 1. 일반적인 질문분석 57
      • 1-1. 요약 분석 60
      • 2. 연구 질문 1에 대한 분석 61
      • 2-1. 요약 분석 71
      • Ⅴ. 이주민들의 기대와 소망 74
      • 3. 연구 질문 2에 대한 분석 74
      • 3-2. 요약 분석 83
      • Ⅵ. 이주민들의 선교접촉점 85
      • 4. 연구 질문 3에 대한 분석 85
      • 4-3. 요약 분석 94
      • Ⅶ. 결론 97
      • 1. 연구 요약 97
      • 2. 연구 결론 99
      • 3. 적용을 위한 제언 105
      • 4. 다음 연구를 위한 제언 106
      • 참고문헌 108
      • 부록 112
      • 1. 한국어 인터뷰 질문지 113
      • 2. 영어 인터뷰 질문지 116
      • ABSTRACT 1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