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마트폰 위치기반광고 애플리케이션 = Location-based Advertising Via Smartphone Applications: Analysis on the use of Personal Location-specific Inform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963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과 함께 위치기반광고 애플리케이션이 증가하고 있다. 위치기반광고 애플리케이션은 소비자의 성향과 상황에 따른 맞춤형 광고를 전달할 수 있지만 개인위치정보 ...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과 함께 위치기반광고 애플리케이션이 증가하고 있다. 위치기반광고 애플리케이션은 소비자의 성향과 상황에 따른 맞춤형 광고를 전달할 수 있지만 개인위치정보 누출로 인한 프라이버시 문제를 제기한다. 위치기반광고에 대한 광고업계의 관심과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사회적 논란 속에서, 현재 통용되고 있는 위치기반광고 애플리케이션들이 개인위치정보 활용에 관하여 어떻게 사용자의 동의를 얻고 있으며, 그 방식과 절차가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71개 위치기반광고 애플리케이션을 분석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이용약관, 위치정보 약관, 개인정보 약관을 모두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극소수에 불가했고, 필요한 다섯 가지 원칙 제공에 있어서도 모두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구현방식에 있어서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만 개인정보에 관한 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위치기반광고들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기술변화와 시장성장에 알맞은 법령의 재정비와 업계의 자율규제를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rapid dispersion of smartphones, location-based advertising via smartphone applications is on the rise. While location-based advertising applications have the advantage of delivering customized, targeted messages according to consumers` prefe...

      With the rapid dispersion of smartphones, location-based advertising via smartphone applications is on the rise. While location-based advertising applications have the advantage of delivering customized, targeted messages according to consumers` preferences and circumstances, they raise privacy issues due to the inherent disclosure of personal location-specific information. Amid the heated debate on privacy infringement, along with a growing interest in location-based advertising by the industry, little is known regarding how location-based advertising applications obtain consumers` consent to collect private information and whether their methods and procedures are appropriate. This study analyzed 71 location-based advertising applications. Results showed that very few applications provided all of the three common policies to consumers: a usage policy, a privacy policy, and a location-information policy. Furthermore, it showed that adherence to the five principles were lacking. Most of all, many applications were set up in such a way that consumers had to go through cumbersome procedures to control disclosure of their private information. Results outline the current problems with location-based advertising and suggest revamping current regulations as well as industry self-regulation in order to keep up with changes in technology and market growth.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