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28848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상담교육전공 , 2011.2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71.4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87 L. : 삽화, 챠트 ; 26 cm.

      • 일반주기명

        부록수록
        참고문헌: 44-50장

      • 소장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ability, the decrease of relationship stress, and the improvement of work satisfaction of employee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have been established.
      First, does the communication program for employees improve interpersonal ability of employees?
      Second, does the communication program for employees decrease interpersonal stress of employees?
      Third, does the communication program for employees improve work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problems, 24 employees who are interested in communication training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waiting control group, with 12 subjects per group. The employees communication program, which was composed of 8 sessions (1 session: 120 minutes, total 16 hours), was executed to an experimental group, while no measures were executed on a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effects of the program, a pilot survey was execu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waiting control group before the progressing program. The post-survey was executed after experiment, and post examination was executed 4 weeks after the program in order to sustain program effects.
      To measure interpersonal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hange scale criterion was used, which is presented in thesis of Hye-sook Jang (2002) that was based on the revision by Sun-mo Moon. And interpersonal stress test tool based on study of Jong-chul Baek (2008) which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contents of Cooper & Marshall(1986), Matteson & Ivancevich(1982) and Copper & Marshall(1986) in light of the domestic environments was used. Measurement of work satisfaction was based on the study of Sang-gum Lee (1996) which had used MSQ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developed in Minnesota industrial research center and had executed translation and revision in light of the domestic environments.
      T-verification was executed on data achieved by measuring interpersonal ability, interpersonal stress, and work satisfaction criterions in order to verify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y using SPSS 17.0 version, and the pilot survey was used as covariation in order to verify significance in average difference, while ANCOVA analysis was executed by designating post-survey a dependent variable.
      Analysis results that have achieved to verify program effects are as follows:
      First, experimental group's interpersonal ability was improved and the improvement was sustained.
      Second, experimental group's interpersonal stress was decreased and the decrease was sustained.
      Third, experimental group's work satisfaction was improved and the improvement was sustained.
      By observing the research results, it can be verified that employees communication program enhances interpersonal ability of employees, reduces interpersonal stress, and improves work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can be executed as prevention measures regarding problems, such as stress from being unable to form prop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ork dissatisfaction, and work transfer.
      When observing that the basic goal of education for employees emphasis on the prevention and guidance aspects rather than finding solutions for problems, it can be said that the use of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has greater significance in that it can provide the opportunity to achieve satisfactory performance at a corporate environment.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ability, the decrease of relationship stress, and the improvement of work satisfaction of employee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b...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ability, the decrease of relationship stress, and the improvement of work satisfaction of employee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have been established.
      First, does the communication program for employees improve interpersonal ability of employees?
      Second, does the communication program for employees decrease interpersonal stress of employees?
      Third, does the communication program for employees improve work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problems, 24 employees who are interested in communication training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waiting control group, with 12 subjects per group. The employees communication program, which was composed of 8 sessions (1 session: 120 minutes, total 16 hours), was executed to an experimental group, while no measures were executed on a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effects of the program, a pilot survey was execu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waiting control group before the progressing program. The post-survey was executed after experiment, and post examination was executed 4 weeks after the program in order to sustain program effects.
      To measure interpersonal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hange scale criterion was used, which is presented in thesis of Hye-sook Jang (2002) that was based on the revision by Sun-mo Moon. And interpersonal stress test tool based on study of Jong-chul Baek (2008) which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contents of Cooper & Marshall(1986), Matteson & Ivancevich(1982) and Copper & Marshall(1986) in light of the domestic environments was used. Measurement of work satisfaction was based on the study of Sang-gum Lee (1996) which had used MSQ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developed in Minnesota industrial research center and had executed translation and revision in light of the domestic environments.
      T-verification was executed on data achieved by measuring interpersonal ability, interpersonal stress, and work satisfaction criterions in order to verify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y using SPSS 17.0 version, and the pilot survey was used as covariation in order to verify significance in average difference, while ANCOVA analysis was executed by designating post-survey a dependent variable.
      Analysis results that have achieved to verify program effects are as follows:
      First, experimental group's interpersonal ability was improved and the improvement was sustained.
      Second, experimental group's interpersonal stress was decreased and the decrease was sustained.
      Third, experimental group's work satisfaction was improved and the improvement was sustained.
      By observing the research results, it can be verified that employees communication program enhances interpersonal ability of employees, reduces interpersonal stress, and improves work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can be executed as prevention measures regarding problems, such as stress from being unable to form prop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ork dissatisfaction, and work transfer.
      When observing that the basic goal of education for employees emphasis on the prevention and guidance aspects rather than finding solutions for problems, it can be said that the use of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has greater significance in that it can provide the opportunity to achieve satisfactory performance at a corporate environ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대인관계능력 향상, 대인관계스트레스 감소, 그리고 직무만족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직장인의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가?
      둘째,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직장인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가?
      셋째,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직장인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의사소통 훈련에 관심이 있는 직장인 24명을 각각 12명씩 실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정한 후 실험집단에게 총 8회기(1회기 : 120분, 총 16시간)로 구성된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 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프로그램 실시 전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이 끝난 후 사후 검사를,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끝난 4주 후에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인관계능력 측정은 Guerney(1997)의 대인관계 변화척도를 우리 실정에 맞게 문선모가 번안한 것을 기초로 한 장혜숙(2002)의 논문의 것을 사용하였고, Cooper & Marshall(1986)과 Matteson & Ivancevich(1982) 및 Copper & Marshall(1986)의 내용을 국내의 환경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백종철(2008)의 연구를 근거로 한 대인관계 스트레스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직무만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미네소타 산업 연구소에서 개발한 만족도 설문지(Mi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SQ)를 번역하여 국내의 환경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한 이상금(1996)의 연구를 근거로 하였다.
      대인관계 능력과 대인관계 스트레스, 직무만족 척도 측정도구에 의한 자료는 SPSS 17.0 version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고, 평균 차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ANC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처치받은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능력은 프로그램 직후에 향상되었으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둘째,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처치받은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프로그램 직후에 감소하였으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셋째,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처치받은 실험집단의 직무만족도가 프로그램 실시 이후에 향상되었으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직장인들의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키고,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올바른 대인 관계를 맺지 못하여 일어나는 스트레스와 직무불만족 및 이직과 같은 문제에 대해 예방적 차원에서 행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직장인을 위한 교육의 기본적 목표가 문제발생시 해결책보다는 예방과 계도에 초점을 두는 것에 있다는 것을 생각해 볼 때, 직장생활에서 더욱 만족스럽고 성과를 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의 활용은 그 의미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대인관계능력 향상, 대인관계스트레스 감소, 그리고 직무만족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

      본 연구는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대인관계능력 향상, 대인관계스트레스 감소, 그리고 직무만족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직장인의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가?
      둘째,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직장인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가?
      셋째,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직장인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의사소통 훈련에 관심이 있는 직장인 24명을 각각 12명씩 실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정한 후 실험집단에게 총 8회기(1회기 : 120분, 총 16시간)로 구성된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 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프로그램 실시 전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이 끝난 후 사후 검사를,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끝난 4주 후에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인관계능력 측정은 Guerney(1997)의 대인관계 변화척도를 우리 실정에 맞게 문선모가 번안한 것을 기초로 한 장혜숙(2002)의 논문의 것을 사용하였고, Cooper & Marshall(1986)과 Matteson & Ivancevich(1982) 및 Copper & Marshall(1986)의 내용을 국내의 환경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백종철(2008)의 연구를 근거로 한 대인관계 스트레스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직무만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미네소타 산업 연구소에서 개발한 만족도 설문지(Mi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SQ)를 번역하여 국내의 환경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한 이상금(1996)의 연구를 근거로 하였다.
      대인관계 능력과 대인관계 스트레스, 직무만족 척도 측정도구에 의한 자료는 SPSS 17.0 version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고, 평균 차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ANC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처치받은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능력은 프로그램 직후에 향상되었으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둘째,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처치받은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프로그램 직후에 감소하였으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셋째,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처치받은 실험집단의 직무만족도가 프로그램 실시 이후에 향상되었으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직장인들의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키고,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올바른 대인 관계를 맺지 못하여 일어나는 스트레스와 직무불만족 및 이직과 같은 문제에 대해 예방적 차원에서 행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직장인을 위한 교육의 기본적 목표가 문제발생시 해결책보다는 예방과 계도에 초점을 두는 것에 있다는 것을 생각해 볼 때, 직장생활에서 더욱 만족스럽고 성과를 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의 활용은 그 의미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5
      • Ⅱ. 이론적 배경 6
      • 1. 대인관계 6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5
      • Ⅱ. 이론적 배경 6
      • 1. 대인관계 6
      • 1) 대인관계의 개념 6
      • 2) 대인관계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 7
      • 3)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9
      • 2. 의사소통 11
      • 1) 의사소통의 개념 11
      • 2) 의사소통 훈련의 효과 12
      • 3)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의 요소 15
      • 3. 비폭력 대화 18
      • 1) 비폭력대화의 개념과 역사 18
      • 2) 비폭력대화의 기법 19
      • 3) 비폭력대화의 선행연구 및 효과 21
      • Ⅲ. 연구방법 23
      • 1. 연구대상 23
      • 2. 연구도구 24
      • 3. 실험설계 및 연구절차 27
      • 4. 분석방법 29
      • Ⅳ. 연구결과 30
      • 1. 동질성 검증 30
      • 2.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32
      • 3.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34
      • 4.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37
      • Ⅴ. 논의 및 제언 40
      • 1. 논의 40
      • 2. 제한점 및 제언 4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