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고고학의 ‘原史’ 개념 도입과 원삼국시대론 = Introduction of the Concept about ‘Proto-history’ in Korean Archeology and the Argument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고고학에 처음으로 原史 개념을 도입한 것은 김원룡이다. 김원룡은 선사와 역사시대의 과도기, 원사 단계의 삼국시대라는 의미로 원삼국시대(원사)를 설정하였다. 일본에서는 19세기 ...

      한국 고고학에 처음으로 原史 개념을 도입한 것은 김원룡이다. 김원룡은 선사와 역사시대의 과도기, 원사 단계의 삼국시대라는 의미로 원삼국시대(원사)를 설정하였다. 일본에서는 19세기 말에 인류학 분야에서 이미 원사 개념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유럽의 고고학적 層序學에 영향을 받은 결과였다. 우리나라 원사 개념의 등장에 도화선이 된 것은 일제강점기에 조사된 김해 회현리 패총이다. 김해 회현리 패총에서 출토된 유물을 통해 김해시대, 김해식토기 등의 개념이 탄생하였다. 김원룡은 1972년 기존의 김해시대를 대체한 원삼국시대 개념을 처음 제안하였다. 그러나 원삼국시대 명칭 도입은 수많은 시대구분논쟁의 불씨가 되었다. 원삼국시대 명칭 비판론으로는 철기시대론, 삼한시대론, 고조선시대론 등이 있다. 그리고 원삼국시대의 상한에 대해서도 기원전후, 낙랑군 설치, 삼각형점토대토기 등장 등 다양한 기준점이 제시되었다. 또한 원삼국시대 타날문토기의 계보, 연대 문제가 불거진 뒤부터 와질토기 논쟁이현재까지도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논쟁은 중도식무문토기 등 원삼국시대 물질자료 전반에 대한 문제로 확대되었다. 지금까지도 원삼국시대(원사)의 시기구분, 물질자료의 성격을 둘러싼 다양한 통설의 설정 및 폐기가 반복되고 있다. 그러나 각각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원사 개념의 모든 조건을 만족시킬 정도의 정의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선학의 논쟁 과정이 현재 한국 고고학의 근간이 되었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기 때문에 학문적 한계마저도 학술적인 평가를 받기에 충분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 Yonyong is the one who introduced the concept of Proto-history in Korean archeology for the first time. Kim, Yonyong(金元龍) set up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Proto-history) in the meaning as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prehistoric pe...

      Kim, Yonyong is the one who introduced the concept of Proto-history in Korean archeology for the first time. Kim, Yonyong(金元龍) set up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Proto-history) in the meaning as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prehistoric period and historical period, and the Three Kingdoms Period of Proto-history stage.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Japan already used the concept of Proto-history in the anthropology area, which was influenced by archeological stratigraphy of Europe. The appearance of the concept of Proto-history in Korea was triggered by Hoehyeon-ri shell mound in Gimhae which was researche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Based on the relics excavated in Hoehyeon-ri shell mound in Gimhae(金海 會峴里 貝塚), the concepts like Gimhae period and Gimhae-type pottery were set up. In 1972, Kim, Yonyong initially suggested the concept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substituting for the existing Gimhae period. However, the introduction of the name as Proto-three Kingdoms Period caused numerous controversies of periodization. Representatively, as an objection to the name as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e argument of iron age(鐵器時代論), the argument of three Hans period(三韓時代論), and the argument of Gojoseon period(古朝鮮時代論) appeared. And regarding the upper limit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various reference points were presented such as around AD, installation of Nangnang(樂浪) commandery, and appearance of Triangulated clay-stripe pottery. Also since the issue of genealogy and period of Tanalmun pottery(打捺文土器) in proto-three Kingdoms Period was brought up, the controversy of gray pottery has been accelerated even till today. This controversy was expanded to the issue of overall material data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such as Jungdo-type plain pottery. Like thi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Proto-history), various commonly-accepted theories surrounding periodization and nature of material data have been repetitively set up and discarded. However, despite each argument, it does not reach the satisfactory definition that could meet all the conditions of the concept of Proto-history. However, there is no doubt that the controversy process led by the scholars in the past has become the basis of current Korean archeology, so even the scholarly limitation is good enough to get academic evalu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Ⅱ. 原史로의 접근 Ⅲ. 원삼국시대론 Ⅳ. 타날문토기와 연대론 Ⅴ. 중도식무문토기와 낙랑 Ⅵ. 맺음말
      • Ⅰ. 머리말 Ⅱ. 原史로의 접근 Ⅲ. 원삼국시대론 Ⅳ. 타날문토기와 연대론 Ⅴ. 중도식무문토기와 낙랑 Ⅵ.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성락, ""초기철기시대·원삼국시대 재론"에 대한 반론" 한국고고학회 54 : 105-118, 2004

      2 정인성, "樂浪土城의「滑石混入系」土器와 그 年代" 백제연구소 (40) : 1-31, 2004

      3 정인성, "樂浪土城의 土器" 한국고대사학회 34 : 71-124, 2004

      4 노혁진, "한국고고학의 시대구분과 원삼국시대론에 대한 소론" 호남고고학회 51 : 122-133, 2015

      5 최성락, "한국고고학 시대구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2012

      6 이남규, "한국고고학 시대구분 논쟁의 몇 문제"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2012

      7 최병현, "한국 고고학 강의" 사회평론 2007

      8 한국고고학회, "한국 고고학 강의" 사회평론 2007

      9 박순발, "한강유역사" 민음사 1993

      10 최병현, "학문연구의 동향과 쟁점-고고학- 6" 대한민국학술원 2017

      1 최성락, ""초기철기시대·원삼국시대 재론"에 대한 반론" 한국고고학회 54 : 105-118, 2004

      2 정인성, "樂浪土城의「滑石混入系」土器와 그 年代" 백제연구소 (40) : 1-31, 2004

      3 정인성, "樂浪土城의 土器" 한국고대사학회 34 : 71-124, 2004

      4 노혁진, "한국고고학의 시대구분과 원삼국시대론에 대한 소론" 호남고고학회 51 : 122-133, 2015

      5 최성락, "한국고고학 시대구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2012

      6 이남규, "한국고고학 시대구분 논쟁의 몇 문제"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2012

      7 최병현, "한국 고고학 강의" 사회평론 2007

      8 한국고고학회, "한국 고고학 강의" 사회평론 2007

      9 박순발, "한강유역사" 민음사 1993

      10 최병현, "학문연구의 동향과 쟁점-고고학- 6" 대한민국학술원 2017

      11 이희준, "초기철기시대·원삼국시대 再論" 한국고고학회 52 : 69-94, 2004

      12 이성주, "철기시대 東北亞 제 지역사회의 技術革新과 社會變動 -新製陶技術의 擴散과 受容의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고대학회 (38) : 193-226, 2013

      13 노혁진, "중부지역과 북한의 고고학적 쟁점과 과제, 선사ㆍ고대의 중부지역과 북한- 교류ㆍ네트워크ㆍ문화변동-" 2020

      14 박경신, "중부지역 원삼국시대 초현기 취락의 양상, 楊平 兩水里 537-1番地 遺蹟" 한양문화재연구원 2018

      15 김무중, "중부지방 백제토기의 형성과정 연구 : 미사리유적을 중심으로" 崇實大學校 大學院 1994

      16 권오영, "원삼국시대와 삼국시대, 교류와 교통의 고고학" 한국고고학회 2019

      17 정인성, "원삼국시대 연대론의 제문제-낙동강유역권에서 와질토기의 성립-, 원삼국시대 연대론의 제문제"

      18 이성주, "원사시대의 사회문화변동" 진인진 2018

      19 이청규, "선사에서 역사로의 전환 -原三國時代 개념의 문제-" 한국고대사학회 (46) : 73-100, 2007

      20 송호정, "선사시대에서 역사시대로의 전환에 대한 역사 서술과 연구 방법론" 호서사학회 (65) : 111-142, 2013

      21 이창희, "선ㆍ원사시대 울산의 대외교류, 대외교류를 통해 본 울산" 울산대곡박물관 2019

      22 金元龍, "삼국시대의 개시에 관한 일고찰-삼국사기와 낙랑에 대한 재검토" 서울대 동아문화연구소 7 : 1967

      23 崔鍾圭, "무덤으로 본 三韓社會의 構造 및 特徵"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2 : 1991

      24 박진일, "대구 팔달동 유적 무문토기의 와질화와 그 의미" 영남문화재연구원 29 : 2016

      25 송호정, "기원전 시기의 사회 성격과 시대구분" 한국고대사학회 (46) : 37-72, 2007

      26 조진선, "금속유물로 본 한국 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시기 구분-, 청동기시대의 설정과 분기" 2020

      27 金元龍, "風納里土城內包含層調査報告" 1967

      28 金元龍, "風納里 土城內 住居層" 韓國美術史學會 52 : 1964

      29 崔夢龍, "韓國考古學의 時代區分에 대한 약간의 提言" 探求堂 1987

      30 金元龍, "韓國考古學의 成果와 課題" 韓國考古學會 21 : 1988

      31 정인성, "韓國考古學에서 ‘初期鐵器時代’ 그리고 ‘古朝鮮時代’" 한국상고사학회 106 (106): 25-49, 2019

      32 崔盛洛, "韓國考古學에 있어서 年代問題" 韓國考古學會 23 : 1989

      33 金元龍, "韓國考古學槪論" 東出版 1972

      34 金元龍, "韓國考古學槪論" 一志社 1977

      35 金元龍, "韓國考古學槪說" 一志社 1986

      36 정인성, "韓國考古學史에서 ‘原三國時代’와 김해패총" 한국고대학회 (46) : 165-192, 2015

      37 國立文化財硏究所, "韓國考古學事典" 학연문화사 2001

      38 金元龍, "韓國文化의 考古學的 硏究" 高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1 : 1964

      39 李基白, "韓國史新論" 一潮閣 1967

      40 金元龍, "韓國史市民講座 1" 一潮閣 1987

      41 金貞培, "韓國古代國家 起源論" 白山學會 14 : 1973

      42 崔夢龍, "韓國上古史" 民音社 1989

      43 鄭澄元, "韓國上古史" 韓國上古史學會, 民音社 1989

      44 金貞培, "韓國 考古學에서의 時代區分 問題" 一志社 14 : 1979

      45 金元龍, "韓國 考古學 槪說" 一志社 1973

      46 崔盛洛, "韓國 原三國文化의 硏究" 學硏文化社 1993

      47 崔茂藏, "韓國 先史時代의 骨器" 國立文化財硏究所 10 : 1976

      48 盧爀眞, "韓國 先史文化 形性過程의 時代區分" 韓國上古史學會 15 : 1994

      49 金暘玉, "韓半島鐵器時代土器의 硏究" 白山學會 20 : 1976

      50 崔鍾圭, "陶質土器成立前夜와 展開" 韓國考古學會 12 : 1982

      51 정인성, "關野貞의 낙랑유적 조사 ? 연구 재검토 - 일제강점기「古蹟調査」의 기억 1 -" 호남고고학회 24 : 139-156, 2006

      52 申敬澈, "釜山ㆍ慶南出土 瓦質系土器-이른바 熊川ㆍ金海期土器의 實體와 實例-" 韓國考古學會 12 : 1982

      53 申敬澈, "釜山 久瑞洞 출토의 瓦質土器" 嶺南考古學會 2 : 1986

      54 金元龍, "金海貝塚年代에 關한 再檢討" 歷史學會 9 : 1957

      55 정인성, "衛滿朝鮮의 鐵器文化" 백산학회 (96) : 39-77, 2013

      56 鄭澄元, "終末期 無文土器에 관한 硏究" 한국고고학회 20 : 1987

      57 李盛周, "紀元前 1世紀代의 辰ㆍ弁韓地域, 轉換期의 考古學Ⅲ-歷史時代의 黎明-" 韓國上古史學會 2000

      58 金元龍, "石村洞 發見 原三國時代의 家屋殘構" 韓國美術史學會 (113ㆍ114) : 1972

      59 朴淳發, "百濟 國家의 形成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60 김성남, "瓦質土器論爭考" 진인진 2013

      61 金廷鶴, "熊川貝塚硏究" 高麗大學校亞細亞問題硏究所 10 (10): 1967

      62 申敬澈, "熊川文化期 紀元前上限設 再考" 釜山大史學會 4 : 1980

      63 李尙吉, "漢江流域 鐵器時代 土器編年-中島式土器를 中心으로-"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2

      64 朴淳發, "漢江流域 原三國時代의 土器의 樣相과 變遷" 韓國考古學會 23 : 1989

      65 朴淳發, "漢江流域 原三國 및 百濟土器" 東北亞細亞考古學硏究會 1995

      66 安德任, "漢江流域 初期 鐵器時代 文化 : 집터와 土器를 中心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1985

      67 朴淳發, "漢城百濟 基層文化의 性格"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6 : 1996

      68 윤우준, "渼沙里 原三國時代 住居 연구"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7

      69 李盛周, "江陵 安仁里유적의 中島式無文土器, 강릉 안인리유적을 통해 본 강원 영동지역 철기시대 문화양상" 2012

      70 정인성, "東北아시아에서 打捺文短頸壺의 擴散-中島式 打捺文短頸壺의 이해를 위해-"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7 : 2011

      71 金想民, "東北アジアにおける初期鐵器の成立と展開" 九州大學 大學院 2013

      72 藤田亮策, "朝鮮考古學硏究" 高桐書院 1948

      73 藤田亮策, "朝鮮發見の明刀錢と其遺蹟" 岩波書店 1938

      74 梅原末治, "朝鮮古代の文化" 高桐書院 1946

      75 崔秉鉉, "昌山金正基博士 華甲記念論叢" 昌山金正基博士 華甲記念 論叢刊行委員會 1990

      76 大場磐雄, "日本考古學新講" あしかび書房 1948

      77 後藤守一, "日本考古學" 四海書房 1930

      78 八木裝三郞, "日本考古學" 嵩山房 1899

      79 左藤虎雄, "日本考古學" 國史講座刊行會 1935

      80 坪井正五郎, "日向に於ける先史原史の古物遺跡" 158 : 1899

      81 金瑛河, "新羅의 發展段階와 戰爭" 韓國古代史學會 4 : 1990

      82 金元龍, "新羅土器의 硏究" 乙酉文化社 1960

      83 藤田亮策, "慶尙南北道忠淸南道古蹟調査報告-一金海貝塚-" 朝鮮總督府 1924

      84 李在賢, "弁ㆍ辰韓 社會의 발전과정-木槨墓의 출현배경과 관련하여-" 嶺南考古學會 17 : 1995

      85 金暘玉, "崔永禧先生華甲紀念 韓國史學論叢" 探求堂 1987

      86 水野淸一, "對馬" 東亞考古學會 1953

      87 朝鮮總督府, "大正九年度古蹟調査報告 第一冊" 1923

      88 金元龍, "回顧와 展望(Ⅱ.先史時代)" 歷史學會 39 : 1968

      89 李盛周, "原史考古學의 새로운 주제, 한국 상고사 재정립을 위한 동북아와 유럽의 역사학 및 고고학의 학제적 연구" 2016

      90 崔盛洛, "原三國期 土器의 變遷과 問題點" 嶺南考古學會 5 : 1988

      91 이성주, "原三國時代의 無文土器 傳統-硬質無文土器 鉢과 甕 製作의 地域性과 그 意味-"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7 : 2011

      92 金元龍, "原三國時代에 대하여" 韓國考古美術硏究所 11 : 2000

      93 李賢惠, "原三國時代論 檢討" 駕洛國事蹟開發硏究院 5 : 1993

      94 安春培, "原三國時代ㆍ三國時代, 韓國考古學 時代區分의 諸問題" 韓國考古學會 1986

      95 崔秉鉉, "原三國土器의 系統과 性格" 韓國考古學會 38 : 1998

      96 李南珪, "南韓 初期鐵器 文化의 一考察-특히 鐵器의 金屬學的 分析을 中心으로-" 韓國考古學會 13 : 1982

      97 金元龍, "加平馬場里冶鐵住居址" 歷史學會 (50ㆍ51) : 1971

      98 湖巖美術館, "利川 孝養山遺蹟 발굴조사 보고서" 1995

      99 崔盛洛, "全南地方 原三國文化의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100 坪井正五郎, "人類學と近似諦學との區別" 101 : 1894

      101 李弘鍾, "中島式 土器의 成立過程" 韓國上古史學會 6 : 1991

      102 池健吉, "中島Ⅲ" 國立中央博物館 1982

      103 李健茂, "中島Ⅰ" 國立中央博物館 1980

      104 金元龍, "世界陶磁全集-韓國古代- 17" 小學館 1979

      105 千寬宇, "三韓의 國家形成(下)" 一志社 3 : 1976

      106 千寬宇, "三韓의 國家形成(上)" 一志社 2 (2): 1976

      107 崔鐘圭, "三韓考古學硏究" 書景文化社 1995

      108 安在晧, "三韓時代 後期 瓦質土器의 編年" 嶺南考古學會 14 : 1994

      109 沈奉謹, "三韓ㆍ原三國時代의 銅鏡" 東亞大學校 石堂學術院 16 : 1990

      110 申敬澈, "三韓ㆍ三國時代의 東萊" 東萊區誌編纂委員會 1995

      111 金元龍, "三國初期의 考古學的 硏究(Ⅰ)" 서울대학교 19 : 1974

      112 박진일, "‘초기철기시대’ 폐기 제안, 청동기시대의 설정과 분기" 2020

      113 정인성, "‘瓦質土器 樂浪影響說’의 검토" 영남고고학회 (47) : 5-44, 2008

      114 정인성, "6. 가평 대성리유적 출토의 외래계 유물, 加平 大成里遺蹟" 京畿文化財硏究院 2009

      115 崔夢龍, "4. 原三國時代-회고와 전망 및 문제점-" 서울大學校博物館 10 : 1983

      116 김정배, "'原三國時代' 용어의 문제점" 고려사학회 (1) : 7-19,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MUNHWA -> KOMUNHWA (Korea Antiquit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9 1.562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