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부산의 시가지계획이 일본의 중국 침략과 대미 항전(對美 抗戰)에 따라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부산 지역의 군사요새화와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추진되었는가를 실증적으로 밝힘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81840
200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67-307(41쪽)
1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부산의 시가지계획이 일본의 중국 침략과 대미 항전(對美 抗戰)에 따라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부산 지역의 군사요새화와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추진되었는가를 실증적으로 밝힘으...
본고는 부산의 시가지계획이 일본의 중국 침략과 대미 항전(對美 抗戰)에 따라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부산 지역의 군사요새화와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추진되었는가를 실증적으로 밝힘으로써, 식민지 조선에서 전개된 도시건설의 성격을 명확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부산의 시가지계획은 해양루트의 기점인 북부의 나진지역과 함께, 대륙루트의 관문으로 주목되어 1937년부터 구체적으로 시행되었다. 시가지계획은 시가지계획 구역 설정, 토지구획정리, 도로망, 녹지?풍치?공원지구 설정으로 압축되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총독부는 시가지계획 구역을 부산요새 지대와 같은 범위로 설정하였다. 또한 군사 도로를 공업지대와 관련시키면서 가장 시급히 추진하였다.
이러한 시가지계획은 1940년 미국 참전에 따른 확전으로 더욱 군사적인 특성과 독재성을 띠면서 전개되었다. 일본 기획원은 이른바 ‘대동아공영권’의 기반 작업으로서, 일본?조선?만주?중국을 아우르는 ‘국방국토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계획은 일본에서는 잠정조치에 그쳤으나, 조선의 경우는 군사적인 시급성에 따라 패전 때까지 계속 추진되었다.
시가지계획의 변화된 주요 골자는 조선시가지계획령을 개정(1940.11.29)하여 방공(防空) 정책을 강화하는 것이었다. 법 개정에 따라 조선총독은 부읍면(府邑面)의 의사결정 없이 독단적으로 시가지계획을 추진할 수 있었으며, 민간조합 참여는 차단시켰다.
부산은 대륙과 일본 본토를 잇는 생명선으로서 중요시되었으며, 부산요새지대는 조선 해협 요새계인 시모노세키(下關)-이키(壹岐)-쓰시마(對馬) 요새와 함께 수비와 방공면(防空面)에서 더욱 전략적으로 중요시되었다. 일본 육?해군 주력 부대 30여 개가 부산을 중심으로 편성되었으며, 항만?군수 창고?군사도로?철도 등이 시급히 확장되었다.
요컨대 대륙의 관문인 부산에서 추진된 시가지계획은 조선 대륙병참기지화와 부산요새지대화와 궤를 같이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주민들은 주택난에 빠지고 생활은 더욱 불편하게 되었다. 이것은 주민의 행복과 건전한 생활을 위해 시행되는 일반적인 도시계획과는 완전히 다른 전시 도시계획이며 식민지적인 특수성을 가지는 것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clearly the characteristic of the cities’ construction propelled by Japanese imperialism in the colonial Chosen. This study examins illustratively that the urban planning and fortifying in Busan would be c...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clearly the characteristic of the cities’ construction propelled by Japanese imperialism in the colonial Chosen. This study examins illustratively that the urban planning and fortifying in Busan would be closely connected with the invasion to China and resistance to America by Japan.
The city planning in Busan, a gateway to continental route, took effect concretely from 1937. Busan received Japanese imperialists’ attention with Najin(羅津) which was the starting point of northern ocean route. It was started from the city maintenance for Busan" fortification. That was the district establish of the town, land readjustment project, roads system, greenbelts, scenic zones and a park areas.
Their city planning of Busan started to assum much more despotic and military properties by the United States’ intervention in the World War II in 1940. Japanese cabinet devised the ‘national defense and territory plan(國防國土計劃)’ joining together Japan Chosen Manju China as a foundation to set up the Greater East Asia Co Prosperity Sphere(大東亞共榮圈). This plan ended as a temperary step in Japan but was rivised the Town Planning and Zoning Act(市街地計劃令: 1940.11.29) in Chosen. Which became a cause tightened up the defense against communism and security policy. Busan was set store by a lifeline connected the Continent and Japan mainland. So Japanese imperialists made up about 30 main force units of the army and navy and expanded urgently military facilities such as harbors, arsenals, roadways and railroads in Busan.
Ultimately, Busan’s city plan was the policy to make Chosen as a ‘Commissary Base’ and ‘Military fortification.’ This made residents to suffer from scarcity of houses and to face with the hardships of life. Thus, this was very different with a general city plan to make people happy and to do a sound life. It was a city plan in wartime and including a colonial particular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남, "일제하 조선에서 도시건설과 자본가 집단망" 부산대 2003
2 김경남, "일제하 전시체제기의 부산 시가지계획의 전개와 그 특질" 부경역사연구소 (20) : 2007
3 김흥관, "일제강점기 부산의 도시개발과 그 성격"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15) : 1998
4 손정목, "일제강점기 도시계획 연구" 一志社 1994
5 신주백, "용산과 일본군 용산기지의 변화(1884~1945)" 서울학연구소 (29) : 189-218, 2007
6 홍순권, "부산의 도시 형성과 일본인들" 선인 2008
7 "동아일보"
8 조선총독부, "관보 각 년도"
9 陸軍省, "鮮内輸送部隊鉄道輸送間における兵站並給養業務詳報の件(2), In 陸支密大日記 第22号" 58-, 1940
10 朝鮮総督府, "釜山都市計画決定" 194-197, 1942
1 김경남, "일제하 조선에서 도시건설과 자본가 집단망" 부산대 2003
2 김경남, "일제하 전시체제기의 부산 시가지계획의 전개와 그 특질" 부경역사연구소 (20) : 2007
3 김흥관, "일제강점기 부산의 도시개발과 그 성격"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15) : 1998
4 손정목, "일제강점기 도시계획 연구" 一志社 1994
5 신주백, "용산과 일본군 용산기지의 변화(1884~1945)" 서울학연구소 (29) : 189-218, 2007
6 홍순권, "부산의 도시 형성과 일본인들" 선인 2008
7 "동아일보"
8 조선총독부, "관보 각 년도"
9 陸軍省, "鮮内輸送部隊鉄道輸送間における兵站並給養業務詳報の件(2), In 陸支密大日記 第22号" 58-, 1940
10 朝鮮総督府, "釜山都市計画決定" 194-197, 1942
11 김의환, "釜山近代都市形成史研究" 研文出版社 1973
12 釜山府, "釜山府社会施設概要" 10-, 1927
13 朝鮮軍臨時兵站司令部釜山支部, "釜山府内並東莱海雲台軍隊宿営力調査表" 71-89, 1940
14 朝鮮総督府, "釜山市街地計画決定理由書(1937.1.19 提出 議第1號), In 釜山都市計画決定" 1937
15 飯沼一省, "都市計画法の話" 都市研究会 1933
16 渡辺俊一, "都市計画の誕生―国際比較からみた日本, ポテンティア叢書)" 1993
17 石川栄耀 , "都市計画と国土計画" 工業図書株式会社 1941
18 古屋哲夫, "近代日本のアジア認識" 緑蔭書房 1996
19 石川栄耀, "皇国都市の建設" 常磐書房 1942
20 坂本悠一, "植民地都市釜山" 山川出版社 2007
21 古野直也, "朝鮮軍司令部: 1904〜1945" 国書刊行会 1990
22 編纂委員会, "朝鮮所在重砲兵連隊史" 1999
23 編纂委員会, "朝鮮所在砲兵連隊史" 30-, 1999
24 강창일, "朝鮮侵略と支配の物理的基盤 朝鮮軍, In 朝鮮軍概要史" 不二出版 1989
25 軍需省航空兵器總局, "昭和19年度 朝鮮地区飛行場図面"
26 石田頼房, "日本近代都市計画の百年" 自治体研究所 1987
27 小林英夫, "日本軍政下のアジア : 「大東亜共栄圏」と軍票" 岩波書店 1993
28 石川栄耀, "日本国土計画論" 八元社 1941
29 内閣, "拓甲272号, 朝鮮市街地計画令中改正制令案"
30 秦郁彦, "戦前期日本官僚制の制度・組織・人事" 東京大学出版会 673-, 1981
31 橋谷弘, "帝國日本と植民地都市" 吉川弘文館 2004
32 피터・도우스, "帝国という幻想 : ‘大東亜共栄圏’の思想と現実" 青木書店 1998
33 沼尻晃伸, "工場立地と都市計画-日本都市形成の特質 1905-1954" 東京大学出版会 2002
34 朝鮮総督府, "官報, 告示 第308号"
35 朝鮮総督府, "官報 告示 第188号, 釜山市街地計画区域, 同街路及び同土地区画整理"
36 內閣, "基本国策要綱及之ニ基ク具体問題処理要綱(閣甲240号)"
37 金谷重義, "地方計画の基本問題-特に近畿地方計画を中心として" 有斐閣 1941
38 鈴木武雄, "國土計画と朝鮮都市" 32 (32): 245-, 1941
39 内閣, "国家総動員法ヲ朝鮮, 台湾及樺太ニ施行スルノ件・御署名原本(勅令316号)"
40 内閣, "国土計画審議会設置ニ関スル件, 公文雑纂・昭和十六年・第二巻・内閣二"
41 内閣官房 総務課, "国土計画の設定に関する一考察"
42 内海愛子, "アジアからみた‘大東亜共栄圏’" 梨の木舎 1983
43 小林英夫, "‘大東亜共栄圏’の形成と崩壊" 御茶の水書房 2006
44 David Harvey, "Urban Experience" Basil Blackwell 38-44, 1989
45 신주백, "1945년 한반도 남서해안에서의 본토결전 준비와 부산.여수의 일본군 시설지 현황"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70) : 231-273, 2009
46 김인호, "1945년 부산지역의 도시소개(疏開) 연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41 : 303-335, 2004
47 양미숙, "1920・30년대 부산부의 도시빈민층 실태와 그 문제, In 지역과 역사" 부경역사연구소 2006
48 장선화, "1920〜30년대 부산의 공업발전과 도시구조의 변화" 부경역사연구소 (6) : 2000
임진왜란기 조선의 북방 여진족에 대한 위기의식과 대응책
가라쓰(唐津) 카가미 신사(鏡神社) 소재 고려 수월관음도의 유래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 | 1.5 | 1.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7 | 1.09 | 1.872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