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소년기와 성인기를 대상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정서조절 측면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정서조절곤란과 정서조절방략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3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기와 성인기를 대상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정서조절 측면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정서조절곤란과 정서조절방략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3세...
본 연구는 청소년기와 성인기를 대상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정서조절 측면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정서조절곤란과 정서조절방략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3세에서 59세 연령 범위에 있는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정서조절곤란 및 정서조절능력 수준을 평가하는 정서조절곤란 척도(DERS)와 다양한 정서조절방략을 포괄적으로 측정 및 구분하는 정서조절방략 질문지(ERSQ)를 실시하였다.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형회귀분석 결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정서조절곤란 정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연령 증가에 따라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사용빈도는 유의미하게 감소하고, 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사용빈도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적응적 방략 가운데 접근적 방략은 연령 증가에 따라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지만, 주의분산적 방략과 지지 추구적 방략은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넷째, 인지적․체험적․행동적 방략 가운데 인지적 방략과 체험적 방략은 연령에 따른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행동적 방략만이 유의미한 연령 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emotion regulation according to age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focusing on the emotion dysregulation and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For this purpos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emotion regulation according to age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focusing on the emotion dysregulation and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For this purpos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DER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Questionnaire (ERSQ) were implemented to adolecents and adults aged 13~59 year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emotion dysregulation decreased progressively with age. Seco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decreased and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Third, among adaptive strategies only approaching strategie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but distractive strategies and support-seeking strategi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Fourth, cognitive and experiential strategies among cognitive, experiential and behavioral strategi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with age but behavioral strategies showed significant age effect.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진, "한국판 CBCL 1.5-5의 변별타당도 및 임상적 유용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8 (28): 171-186, 2009
2 황매향, "한국인의 정서적 발달과업 탐색: 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5 (15): 163-189, 2008
3 민하영,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척도개발" 19 (19): 77-96, 1998
4 이원화,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 수준과 정서조절방략의 사용: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의 비교 연구"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2 (32): 195-212, 2011
5 한선화, "청소년의 정서성과 정서조절 전략 및 자기통제력"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6
6 이경희, "중・고등학생의 정서조절 전략과 학교생활 적응"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159-169, 2009
7 김희숙, "정서조절양식,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및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20 : 176-201, 2006
8 이지영, "정서조절방략이 정신병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29 (29): 709-727, 2010
9 이지영, "정서조절방략이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821-841, 2010
10 이지영, "정서조절방략 질문지의 개발: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26 (26): 963-976, 2007
1 이진, "한국판 CBCL 1.5-5의 변별타당도 및 임상적 유용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8 (28): 171-186, 2009
2 황매향, "한국인의 정서적 발달과업 탐색: 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5 (15): 163-189, 2008
3 민하영,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척도개발" 19 (19): 77-96, 1998
4 이원화,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 수준과 정서조절방략의 사용: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의 비교 연구"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2 (32): 195-212, 2011
5 한선화, "청소년의 정서성과 정서조절 전략 및 자기통제력"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6
6 이경희, "중・고등학생의 정서조절 전략과 학교생활 적응"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159-169, 2009
7 김희숙, "정서조절양식,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및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20 : 176-201, 2006
8 이지영, "정서조절방략이 정신병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29 (29): 709-727, 2010
9 이지영, "정서조절방략이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821-841, 2010
10 이지영, "정서조절방략 질문지의 개발: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26 (26): 963-976, 2007
11 이지영, "정서조절방략 질문지(ERSQ)의 16개 방략의 경험적 구분" 한국임상심리학회 31-32, 2009
12 조용래, "정서조절곤란의 평가: 한국판 척도의 심리측정적 속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6 (26): 1015-1038, 2007
13 유경, "정서 대처 양식과 정서 인식이 장노년기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9 (19): 1-18, 2005
14 이지영, "성별과 성격유형에 따른 정서조절방략 사용의 차이" 한국심리학회 28 (28): 507-524, 2009
15 신주연, "삶의 의미와 정서조절 양식이청소년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1035-1057, 2005
16 정옥분, "사회정서발달" 학지사 2006
17 민경환, "부정적 정서 조절 방략에 관한 연구: 정서 종류와 개인 변인에 따른 정서조절 양식의 차이" 14 (14): 1-16, 2000
18 민경화, "대학생활적응도테스트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01
19 이지영, "대학생활적응도 온라인 검사의 표준화 연구" 36 (36): 13-23, 2002
20 유희정, "노인의 성격특성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외-내향성과 신경증적 경향을 중심으로" 6 (6): 1-8, 1987
21 이정미, "국민학교 아동이 겪는 스트레스와 그 대처방법 유형" 釜山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22 배은경,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 정서조절전략, 심리적 적응 간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23 Kittler, E., "Weight concerns in individuals with body dysmorphic disorder" 8 (8): 115-120, 2007
24 Westen, D., "Toward an integrative model of affect regulation: Applications to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62 (62): 641-667, 1994
25 Underwood, K., "Top ten pressing questions about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21 (21): 127-146, 1997
26 Lang, R., "Time counts: Future time perspective, goals and social relationships" 17 (17): 125-139, 2002
27 Cohn, M., "The role of emotion dysregulation in the association between men's restrictive emotionality and use of physical aggression" 11 (11): 53-64, 2010
28 Blanchard-Fields, F., "The experience of anger and sadness in everyday problems impacts age differences in emotion regulation" 44 (44): 1547-1556, 2008
29 Cole, M.,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A clinical perspective, In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Biological and behavioral considerations" 73-100, 1994
30 Herzog, R., "Subjective well-being among different age groups (Research Report Series)" University of Michigan,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1982
31 Carstensen, L.,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and the regulation of emotion in the second half of life" 27 (27): 103-123, 2003
32 Thompson, A., "Socialization of emotion regulation in the family, In Handbook of emotion regulation" The Guilford Press 229-248, 2007
33 Kopp, B., "Regulation of distress and negative emotions: A developmental review" 25 : 343-354, 1989
34 Eisenberg, N., "Parental reaction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Longitudinal relations to quality of children's social functioning" 70 : 513-534, 1993
35 Garnefski, N.,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30 (30): 1311-1327, 2001
36 Gratz, L., "Multidiment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dysregulation: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26 (26): 41-54, 2004
37 Feng, X., "Longitudinal associations between emotion regulation and depression in preadolescent girls: Moderation by the caregiving environment" 45 (45): 798-808, 2009
38 Diamond, M., "Integrating diverse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emotion regulation" 27 (27): 1-6, 2003
39 Blandon, Y., "Individual differences in trajectories of emotion regulation processes: The effects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atology and children's physiological regulation" 44 (44): 1110-1123, 2008
40 Gross, J., "Individual difference in two emotion regulation processes: Implications for affect, relationships, and well-being" 85 (85): 348-362, 2003
41 Fivush, R., "Gender, sadness, and depression: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focus through gendered discourse, In Gender and emotion: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s" University Press 232-253, 2000
42 Hardy, F., "Examining the relation of parenting to children's coping with everyday stress" 64 (64): 1829-1841, 1993
43 Cicchetti, D., "Emotions and emotion regulation i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7 (7): 1-10, 1995
44 Eisenberg, N., "Emotional regulation and development" 21 (21): 1-5, 1997
45 Rachman, S., "Emotional processing" 18 : 51-60, 1980
46 Carstensen, L., "Emotional experience in everyday life across the life span" 79 (79): 644-655, 2000
47 Aldao, A.,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across psychopathology: A meta-analytic review" 30 (30): 217-237, 2010
48 Mennin, S., "Emotion regulation deficits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ocial anxiety disorder, and their co-occurrence" 23 (23): 866-871, 2009
49 Southam-Gerow, A., "Emotion regulation and understanding implications for child psychopathology and therapy" 22 (22): 189-222, 2002
50 Charles, T., "Emotion regulation and aging, In Handbook of emotion regulation" The Guilford Press 307-327, 2007
51 Diamond, M., "Emotion regulation across the life span: An integrative perspective emphasizing self-regulation, positive affect, and dyadic processes" 27 (27): 125-156, 2003
52 Walden, A., "Emotion regulation" 21 (21): 7-25, 1997
53 Keenan, K., "Emotion dysregulation as a risk factor for child psychopathology" 7 (7): 418-434, 2000
54 Buckholdt, E., "Emotion dysregulation as a mechanism through which parental magnification of sadness increases risk for binge eating and limited control of eating behaviors" 11 (11): 122-126, 2010
55 McLaughlin, A., "Emotion dysregulation and adolescent psychopathology: A prospective study" 49 (49): 544-554, 2011
56 Gross, J., "Emotion and aging: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12 (12): 590-599, 1997
57 Gross, J., "Emotion Regulation: Conceptual foundations, In Handbook of emotion regulation" The Guilford Press 3-24, 2007
58 Musallam, B., "Do millenial undergraduates's view of writing differ when surveyed online versus on paper?" 27 (27): 1915-1921, 2011
59 Garnefski, 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depressive symptoms: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36 (36): 267-276, 2004
60 Martin, C.,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the prediction of depression, anxiety, stress, and anger" 39 (39): 1249-1260, 2005
61 Calkins, D., "Caregiver influences on emerging emotion regulation, In Handbook of emotion regulation" The Guilford Press 229-248, 2007
62 Gary H. Glover, "Biological substrates of emotional reactivity and regulation in adolescence during an emotional go-nogo task" ELSEVIER SCIENCE INC 63 (63): 927-934, 200805
63 Silk, S., "Adolescent's emotion regulation in daily life: Links to depressive symptoms and problem behavior" 74 (74): 1869-1880, 2003
64 Campos, J., "A functionalist perpective on the nature of emotion, In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Biological and behavioral considerations" 284-303, 1994
비현실적 낙관주의에서 지각된 통제성과 사건 빈도의 상호작용효과: 직접 대 간접 측정방법
장면지각에서 집단주의/개인주의 문화성향에 따른 전경과 배경의 관련성 지각
한국판 Barratt 충동성 검사-11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국외 아동 증언 분야의 학술 연구와 현장 실무의 호혜적 관계에 대한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6-2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1 | 1.31 | 1.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13 | 2.1 | 2.669 | 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