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 개발과 타당도 검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658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전문가 회의와 델파이 조사, 포커스그룹 회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본 연구는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전문가 회의와 델파이 조사, 포커스그룹 회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 평가자용 53문항과 대상자용 24문항의 내용이 도출되었다.
      전문가 회의를 통해 평가도구 초안을 개발하고 1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일부 항목을 수정, 추가나 삭제하여 2차 델파이 설문지를 재구성하였다. 두 차례의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평균과 표준편차, 안정도, 중앙값, 사분범위, 최빈값을 EXCEL을 통해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 평가자용과 대상자용 평가도구 모두 중요도와 적합도에서 동작별 모든 항목의 평균과 중앙값이 3.0 이상으로 긍정적인 답변이 확인되었다. 또한 안정도가 모든 문항에서 0.5 이하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문가 회의와 포커스그룹 회의를 통하여 전문가의 일치된 의견을 이루는 과정을 거쳐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개발된 평가도구의 변별타당도 검증을 위해 숙련자 집단과 비숙련자 집단으로 나누어 SNPE 기본동작을 측정하였으며, 평가는 6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숙련자와 비숙련자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해 Mann-Whitney U test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및 통계 처리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해 α = .05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평가자용과 대상자용 평가도구 모두 동작별과 모든 동작 합계의 변별타당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하였다(p ˂ .001). 즉,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개발된 평가도구가 숙련자 집단과 비숙련자 집단을 명확하게 분류하는 것으로 나타나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주관적 평가도구는 SNPE 기본동작의 구체적이고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여 교육현장에서 유용한 지표로 활용하기에 타당성 있는 평가도구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ubjective SNPE assessment in basic exercise. The content validity has been conducted from the expert meeting, Delphi surveys and the focus group interview. Four representative postures assoc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ubjective SNPE assessment in basic exercise. The content validity has been conducted from the expert meeting, Delphi surveys and the focus group interview. Four representative postures associated with the basic SNPE exercise have been employed, and a total of 53 items for experts and 24 items for participants have been developed as part of the subjective SNPE assessment in basic exercise.
      The draft items are derived from the expert meeting, and subsequent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Based on analysis results of the first Delphi survey, the second Delphi questionnaire was reconstructed by modifying, adding, or deleting the draft assessment items. The mean, standard deviation, coefficient of variation, median, inter-quartile range, and mode data of the Delphi surveys were extracted by EXCEL. The investigation confirmed that the average and median values ​​of all items for each exercise were 3.0 or higher in importance and suitability categories for both the experts and participants assessments. In addition, the stability, defined a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satisfied the criteria of 0.5 or less in all assessment items. The content validity was further verified through the process of achieving consensus between experts from the following focus group interview.
      In order to check the discriminant validity, the developed subjective SNPE assessment in basic exercise has been utilized to measure and compare the performance of an expert group and a non-expert group. For this experiment, the 6 Likert scale was employ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Mann-Whitney U test were calculated using SPSS 21.0, and the statistical type I error(α) was set at .05.
      The experiment results in both the experts and participants assessmen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SNPE expert and non-expert groups for each exercise and the sum of all exercises(p ˂ .001). Thus, these results provided the evidence of the discriminant validity in the subjective SNPE assessment in basic exerci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4
      • 3. 연구 문제 4
      • 4. 용어의 정의 5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4
      • 3. 연구 문제 4
      • 4. 용어의 정의 5
      • II. 이론적 배경 6
      • 1. SNPE 바른자세 척추운동 6
      • 1) SNPE 정의 6
      • 2) SNPE 창안 배경 6
      • 3) SNPE 원리와 특징 7
      • (1) SNPE 원리 7
      • (2) SNPE 특징 7
      • 4) SNPE 기본동작 8
      • (1) 1번 동작: 손 뒤로 깍지 끼고 의자 자세 8
      • (2) 2번 동작: 무릎 꿇고 다리 묶어 뒤로 눕기 8
      • (3) 3번 동작: 엎드려 무릎 굽혀 다리 들기 9
      • (4) 4번 동작: 척추 자극주며 구르기 9
      • 5) SNPE 통증 개선 효과 9
      • 2. 델파이(Delphi) 조사 방법 10
      • 1) 델파이(Delphi) 배경 10
      • 2) 델파이(Delphi) 방법의 특성 10
      • 3) 델파이(Delphi) 조사 방법과 절차 11
      • (1) 전문가 집단의 구성 11
      • (2) 델파이 1차 설문 11
      • (3) 델파이 2차 설문 12
      • (4) 델파이 3차 설문 12
      • (5) 정리 및 기록 12
      • 3. 타당도 13
      • 1) 타당도 정의와 종류 13
      • 2) 내용타당도 13
      • 3) 구성타당도 (구인타당도) 14
      • 4) 준거타당도 14
      • III. 연구 방법 16
      • 1. 연구 설계 16
      • 2. 연구 대상 16
      • 1)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한 연구 대상 16
      • (1) 전문가 회의 참여자 17
      • (2) 델파이 조사 참여자 17
      • (3) 포커스그룹 회의 참여자 19
      • 2) 변별타당도 검증을 위한 연구 대상 19
      • 3. 연구 절차와 도구 20
      • 1) 전문가 회의 21
      • 2) 델파이 1차 설문조사 23
      • 3) 델파이 2차 설문조사 24
      • 4) 포커스그룹 회의 26
      • 5)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 타당도 검사 26
      • 4. 자료 분석 28
      • 1) 내용타당도 분석 28
      • 2) 변별타당도 분석 28
      • IV. 연구 결과 29
      • 1.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 개발과 내용타당도 29
      • 1) 전문가 회의 결과 29
      • (1) 평가자용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 31
      • (2) 대상자용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 34
      • (3)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 회원용 설문지 36
      • 2) 1차 델파이 결과 36
      • (1) 평가자용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 37
      • (2) 대상자용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 41
      • (3)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 회원용 설문지 42
      • 3) 2차 델파이 결과 43
      • (1) 평가자용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 43
      • (2) 대상자용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 46
      • (3)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 회원용 설문지 47
      • 4) 포커스그룹 회의 결과 48
      • (1) 평가자용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 49
      • (2) 대상자용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 52
      • (3)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 회원용 설문지 52
      • 2.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의 변별타당도 54
      • 1) 평가자용 평가도구 타당도 결과 54
      • (1) SNPE 1번 동작 비교 결과 55
      • (2) SNPE 2번 동작 비교 결과 57
      • (3) SNPE 3번 동작 비교 결과 58
      • (4) SNPE 4번 동작 비교 결과 59
      • 2) 대상자용 평가도구 타당도 결과 60
      • (1) SNPE 1번 동작 비교 결과 61
      • (2) SNPE 2번 동작 비교 결과 62
      • (3) SNPE 3번 동작 비교 결과 63
      • (4) SNPE 4번 동작 비교 결과 64
      • V. 논의 65
      • 1.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 개발과 내용타당도 67
      • 1) 평가자용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 67
      • 2) 대상자용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 69
      • 2.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의 변별타당도 70
      • 1) 평가자용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 70
      • 2) 대상자용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 72
      • 3. 연구의 제한점 73
      • VI. 결론 및 제언 74
      • 1. 결론 74
      • 1)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의 개발과 내용타당도 74
      • 2)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의 변별타당도 74
      • 2. 제언 75
      • 참고문헌 76
      • Abstract 82
      • 부록 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