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생활 일본어』교과서의 한자 학습에 관한 일고찰: 2009 개정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를 중심으로 생활 일본어가 도입된 지 15년째를 맞이하지만 관련된 연구도 적으며 교육과정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840243
서울 :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학위논문 (석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 일본어교육전공 , 2015. 8
2015
한국어
495.307 판사항(22)
서울
Study on the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s in middle school Japanese textbook
iv, 101 p. : 색채삽도 ; 26 cm.
한국외대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종덕
참고문헌 : p. 70-7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중학교 『생활 일본어』교과서의 한자 학습에 관한 일고찰: 2009 개정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를 중심으로 생활 일본어가 도입된 지 15년째를 맞이하지만 관련된 연구도 적으며 교육과정 ...
중학교 『생활 일본어』교과서의 한자 학습에 관한 일고찰: 2009 개정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를 중심으로
생활 일본어가 도입된 지 15년째를 맞이하지만 관련된 연구도 적으며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선에 대한 요구도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자 학습을 중심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인 『생활 일본어』5종을 분석하였다.
제1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인 생활 외국어의 변천과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중학교에서의 제2외국어 교육은 교육과정이 존재하지 않던 시기에도 방과후 활동 등으로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그 후 2001년에 생활 외국어가 재량활동의 하위 분야로 개설되어, 정식 교과목으로서 운영된 것은 타 과목에 비해 오래되지는 않다. 그러나 그 후 제2외국어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 증가가 교육과정에 반영되어 한문 등의 선택교과와 병행해 개설되던 생활 외국어를 독립된 교과목으로 분리하고 시수를 확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과정에서는 생활 외국어의 특성도 규정되어 이를 재량활동과 선택과목이라는 두 가지 기준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재량활동에서 시작된 현재의 생활 일본어는 학생들의 선택권이 보장되는 과목으로서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창의력을 키우는 학습활동이 장려되고 있다. 아울러 최근 생활 일본어에서는 제2외국어를 학습하는 정식 교과목으로서 의사소통기능 중심의 교수?학습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중학교 생활 일본어 교과서에 한자 도입은 이루어졌으나 난이도가 있는 내용이 반영되기 힘든 까닭이 된다.
제2장에서는 생활 일본어 교과서의 구체적인 내용을 한자 사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최초의 교과서인 『こんにちは』는 국정교과서이며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하여 집필되었다. 『こんにちは』는 교육과정상의 제한으로 인해 한자 표기가 금지되어 일부 그림에 한자가 사용된 것 이외에는 한자의 사용이 전무하였으며 일본어의 문자로서 한자가 사용되고 있다는 언급조차 없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며 검정교과서제가 도입되었으며 8종의 교과서가 출판되었다. 그러나 한자의 도입이 이루어졌음에도 한자 학습은 일부 동사와 명사에서 한자를 학습하는 것에 그쳤으며 단원별 연계성도 낮고 가나와 한자 표기가 일관되지 않은 등 체계성이 부족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 5종을 분석한 결과 각 교과서별로 한자 학습을 위한 활동과 반복 학습 방법이 고안되었다. 교과서별로 특색있는 활동이 고안되어 초기 단계에서부터의 한자 학습이 실시되는 교과서도 있으며 한자 형성 원리를 제시하여 쉽게 한자를 익힐 수 있도록 고안된 교과서도 있었다. 그러나 아직 교과서 내에서 단원별 한자 사용량이 일관되지 못하고 교과서간에 사용 한자의 범위가 크게 달라 보완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제3장에서는 생활 일본어의 한자 사용 실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자 관련 제도에 관하여는 고등학교의 교육용 어휘 및 한자를 그대로 사용하는 현행 제도를 수정할 것을 제안하여, 생활 일본어 교과서 집필 시 사용할 수 있는 교육용 한자 체계 정립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본 소학교의 교육한자, 한국 고등학교 일본어 Ⅰ,Ⅱ의 어휘 중 쓰기를 목표로 하는 학습용 한자, 한국 중학교 선택과목인 한문의 교육용 한자를 기준으로 공통되는 한자를 선정해 난이도별로 단계를 나누어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과서 집필시에는 수사 등 쉬운 한자를 먼저 제시하고 단원의 주제에 맞게 한자를 범주화하여 제시함과 동시에 기습한자의 복습 기회를 제공하는 교과서 구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현행 일본어 교과서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의 한자 사용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습 전략, 한자 보조 자료 웹 사이트, 한자 게임 활용을 제안하였다. 마인드맵은 학습 방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여러 정보를 범주화시켜 관련성을 만들어 기억하게끔 하는 인지 전략이다. 공통된 주제로 묶을 수 있고 형성 원리가 밝혀져 있는 한자는 학습자들이 마인드맵을 사용하여 정리하기 용이한 학습 내용으로 학습 분량과 난이도로 인하여 반복이 힘든 일본어 한자 학습에 마인드맵을 활용한 복습이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선택과목이자 시수가 적은 중학교 생활 일본어에서 한자를 다루는 것에는 교과서 지면과 학습시간의 제한이 따른다. 따라서 한자를 학습하기 위한 보조 자료로서 수업시간 혹은 학생들의 자율학습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필요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한국과 일본의 인터넷 사이트를 소개하였다. 생활 일본어에서 많이 다루는 품사인 명사가 주제별로 그림과 함께 정리된 인터넷 사이트는 교과서의 색인을 보완할 수 있는 자료로서 학생들의 개별학습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본의 교육용 웹 사이트에도 일본어 학습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많은 바 본 연구에서는 한자의 음과 훈 등의 관련정보뿐만 아니라 획순을 상세히 제시하고 있는 ‘漢字の?索’사이트 등 일본의 교육용 웹 사이트를 소개하였다.
일본어 수업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자 관련 활동으로는 다양한 한자 게임을 들 수 있다. 학생들이 할 수 있는 한자 가루타 게임과 플래시 게임을 소개하였으며, 교사가 난이도를 조절해 제시할 수 있는 게임을 통하여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한자를 손쉽게 제시하고 즐겁게 학습할 수 있는 안내를 하고자 하였다.
중학교 생활 일본어가 개설된 이래 15년 동안 한자 학습의 개선점에 대한 제언이 이어져 왔다. 생활 일본어의 한자 사용 보완을 위해서는 한자 사용 체계 정립을 위한 제언도 필요하지만 동시에 현행 교과서를 활용하여 한자를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는 효과적인 한자의 교수?학습 방법을 위하여 더욱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中?校『生活日本語』?科書の漢字?習に?する一考察: 2009改定?育課程による?科書を中心に 韓?の中?校では2001年、第2外?語の科目として「生活外?語」が開設されている。開設以?長い時間...
中?校『生活日本語』?科書の漢字?習に?する一考察: 2009改定?育課程による?科書を中心に
韓?の中?校では2001年、第2外?語の科目として「生活外?語」が開設されている。開設以?長い時間が?過しているが、?育課程および?科書の改善に?しての要求が相次いでいる。本論文では漢字?習を中心に2009改定?育課程による中?校?科書『生活日本語』5種を分析し、その改善方法を提案する。
第一章では「生活日本語」の背景となる?育課程を調べた。日本語を含める「生活外?語」が開設されたのは2001年で、その時期の「生活外?語」は?科外活動である「裁量活動」の一つであった。その後、第二外?語?育に?する要望が反映され「生活外?語」は?立した?科になり?育時間や?容も?加している。
「生活外?語」は「裁量活動」及び「選?科目」という二つの性格を合わせ持っている。裁量活動という科目開設の背景により「生活日本語」では生徒の選??や興味が重視されている。同時に第二外?語を?習する正式科目として意思疎通技能中心の?習が?められている。このような特性は「生活日本語」?科書に漢字が導入されたものの、積極的な?育が難しい背景となっている。
第二章では時期別「生活日本語」?科書の漢字使用を具?的に調査?分析した。最初の?科書である『こんにちは』では?育課程の制限により漢字の使用が禁止され、一部の??に漢字が使われる以外には漢字が使用されていなかった。當然その?育もできなかった。次の2007改定?育課程による『生活日本語』は8種の?定?科書が出版された。改定?育課程では漢字の使用が許されたが、漢字表記は一部の名詞や動詞に留まった。?元別連携や復習の機?提供などに?しても改善が必要であるという指摘があった。
2009改定?育課程による?科書は認定?科書で5種が出版された。漢字の成り立ちの紹介など、興味深い?習のための多?な?習活動が考案された。しかし漢字で?習した?語が次の?元では?名で表記されるなど、以前の?科書で指摘された問題がそのまま?されてあった。格?科書別使用漢字の?や範?にも幅?く差があり、?容の?系を整える必要もあった。
第三章では『生活日本語』?科書の漢字使用の改善のための提案をしてみた。まず?育課程を整備し、「生活日本語」で使う?育用漢字を選定?提示した。その基準としては日本の?育漢字、韓?の高校日本語の書き?習用漢字、韓?の中?校漢文の?習用漢字を取り上げた。選定された漢字を難易度別、主題別に紹介できる?科書の構成もこれからもっと開?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思われる。
漢字?習の改善には?科書を活用する方法も大事な点である。よって、最後には漢字の?習方法および?考資料を?げた。まず?容を範疇化し?えやすく整理する?習?略であるマインドマップを紹介した。次に?科書漢字の補助資料として使うウェブサイトと授業中活用できる漢字ゲ?ムを紹介し、現在の?科書をより?果的に活用する方法を工夫した。
本論文では中?校「生活日本語」の漢字使用を分析し、中?生の?果的な漢字使用及び?育について考察した。これからは?育用漢字?系や?科書の構成について具?的に探り、中?校での望ましい日本語漢字?育に?しての考察をしてみたいと思っている。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