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탄력성 요인들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 보고 탄력성을 강화하여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138632
경산 :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학위논문(석사) -- 대구대학교 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정신보건사회복지 , 2010. 8
2010
한국어
338
경상북도
65 p. ; 26cm
지도교수:이준상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탄력성 요인들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 보고 탄력성을 강화하여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탄력성 요인들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 보고 탄력성을 강화하여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구․경북지역 아동양육시설 21개소의 고등학생 199명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하고 고찰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탄력성에서 학교성적이 중․상위권 청소년들과 종교를 가지고 있는 청소년의 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탄력성이 진로성숙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내적 요인인 지적 차원과 의지적 차원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탄력성을 강화하고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탄력성의 지적 차원을 강화할 수 있는 지적 능력개발 및 학습지원과 심리, 정서적 지지체계 구축 및 종교 활동을 통해 영적 안녕을 누릴 수 있는 지원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아동양육시설 청소년들의 탄력성 내적 요인의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지적 차원인 자기효능 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의지적 차원인 낙관 성 향상 프로그램과 불안을 감소시키고 사회적응에 필요한 사회기술 프로그램, 스트레스 대처훈련 프로그램 등 긍정적인 스트로크(stroke)강화 개입이 진로성숙도의 향상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셋째,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탄력성 외적 요인의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시설, 학교, 지역사회의 연계를 통하여 진로프로그램을 활성화 하며 올바른 관계 형성을 위해 또래 상담 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퇴 소 직전에는 자립준비 기술평가 자립지원관련 정보제공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운영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탄력성 내적․외적 요인을 강화하고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스티그마(stigma)가 대물림 되지 않도록 탄력성 강화에 영향을 주는 건전한 감정 해소 능력을 강화 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아동양육시설 청소년들이 어떠한 상황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심리적 유연성을 가지고 떳떳하게 사회에 적응을 할 수 있도록 실천적 측면과 정책적 측면의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find the effects of improvements on building relationships and social skills of mentally disabled job seekers through group music therapy program. Total of twenty mentally disabled people from the rehabilitation facility located...
This study is aimed to find the effects of improvements on building relationships and social skills of mentally disabled job seekers through group music therapy program. Total of twenty mentally disabled people from the rehabilitation facility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They were second-degree mentally disabled individuals who had not been able to participate in any of the facility programs and have SQ below 24 and IQ between 35 and 49. The group music therapy program was performed after dividing twenty people into two groups: ten people were set as an experimental group to take the music therapy program and the rest of them that could not take the program were set to be the control group.
The group music therapy program lasted 45minutes, once a week for 13 weeks period from September 2009 to December 2009. As a research tool, Social Skills Rating System(SSRS) developed by Gresham & Elliott(1990) and reorganized into 3 main parts (cooperation, assertion, and self control) by Kim-Hyung Ji(1996 was used. The checklist for building social relationships was reorganized by a researcher, considering 10 questions that derived from 14 scales in 'Personality Factor Questionnaire(Catell)'.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statistical program as follows:
First, to find the reliability of each scale, the inter-item consistency was checked by using Cronbach coefficients α.
Second, the group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calcula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the score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Third, ANOVA test was performed to check whether the scor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st period. Mauchly's test of sphericity was performed. When the sphericity assumption was satisfied, the effect test of the inner group was perform by a one-way ANOVA test with the assumption of the sphericity and simple main effects was checked for finding out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group and the test period.
The results were proven as follows:
First, the group music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skill improvements to mentally disabled adult job seekers.
Second, the group music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building social relationship to mentally disabled job seekers.
Thus, it was proven that the group music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ements on social skills to mentally disabled job seekers and also under the sub categoryㅡcooperation, assertion, and self-control. Moreover, it had positive effects on building social relationships. After all, the group music therapy have positive influences to mentally disabled job seekers who are preparing to get job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