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사고게』에서 제시된 보편자에 대한 질문 = Questions about universals in Isagoge - a reconstruction of metaphysical debate between Plotinus and Porphyriu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991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과 논리학 과목의 입문서로 구상된 포르피리우스의 『이사고게』는 서문에 전개되는 보편자에 대한 질문으로 유명하다. 포르피리우스는 다섯 개의 속성, 즉 유, 종, 차이, 고유성, 우유성을 다루는 본문에 앞서 ‘유’ 와 ‘종’의 실체에 대한 세 가지 질문을 제시하지만 구체적인 답은 피하기에 후대 주석가들에게 해설의 여지를 남긴다. 철학 사학자들은 『이사고게』에 대한 고대 주석서 ? 즉 암모니우스, 엘리아스, 다비드, 위(僞) 다비드의 4개의 희랍 주석서와 보에티우스의 2 개의 라틴 주석서 ? 를 바탕으로 보편자들에 대한 실마리를 찾고자 했다. 하지만 보에티우스의 일차 주석서는 보편자에 대한 논쟁의 역사적 기원을 이해하는데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언어적, 그리고 철학적 난해함 때문에 지금까지 큰 주목을 받지 못 했다. 본 논문은 보에티우스의 일차 주석서와 『범주론』에 대한 심플리키우스, 그리고 덱시푸스의 주석서를 비교 분석하여 보편자에 대한 질문이 출현하게 된 철학적 배경을 재구성하는데 있다. 즉 보편자에 대한 질문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에 대한 플로티누스 (Enneads, VI, 1)의 비판적인 견해를 반박하는 포르피리우스의 논증과 연관이 있다는 사실이다. 지성계와 감각계를 모두 함유하는 단일한 유, 즉 ο?σ?α는 있을 수 없다는 스승의 견해와는 달리 포르피리우스는 모든 계층의 존재를 포용하는 보편적인 유로서 ο?σ?α는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은 결론은 현존하지 않는 『범주론』에 대한 포르피리우스의 주석서 Ad Gedalium에 근거한 보에티우스, 덱시푸스와 심플리티우스의 주석을 비교 대조해 얻을 수 있다. ο?σ?α를 지성계와 감각계의 유일한 유로 두는 형이상학적 체계는 소위 ‘포르피리우스의 나무’ 꼭지에서도 암시된다. 보에티우스가 일차 주석서에서 시사하듯 보편자에 대한 마지막 두 개의 질문은 동일한 형이상학적 체계를 묘사한다. 둘째 질문은 ο?σ?α의 종으로 분류되는 모든 실체를 ‘물체적인 것’과 ‘비물체적인 것’ 이등분으로 나누고 셋째 질문은 ‘물체와 완전히 분리된 비물체적인 것’, ‘물체와 때로는 분리되고 때로는 관계하는 비물체적인 것’ 그리고 ‘물체와 연관되어 존재하는 비물체적인 것’, 즉 삼등분으로 나누지만 포리피리우스의 철학에 따르면 ‘물체적인 것’은 ‘물체와 연관되어 존재하는 비물체적’인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 두 체계는 상호 보완이 가능하다. 결국 보편자에 대한 질문은 플로티누스의 형이상학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의 조화를 목적으로 한 포르피리우스의 철학을 반영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번역하기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과 논리학 과목의 입문서로 구상된 포르피리우스의 『이사고게』는 서문에 전개되는 보편자에 대한 질문으로 유명하다. 포르피리우스는 다섯 개의 속성, 즉 ...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과 논리학 과목의 입문서로 구상된 포르피리우스의 『이사고게』는 서문에 전개되는 보편자에 대한 질문으로 유명하다. 포르피리우스는 다섯 개의 속성, 즉 유, 종, 차이, 고유성, 우유성을 다루는 본문에 앞서 ‘유’ 와 ‘종’의 실체에 대한 세 가지 질문을 제시하지만 구체적인 답은 피하기에 후대 주석가들에게 해설의 여지를 남긴다. 철학 사학자들은 『이사고게』에 대한 고대 주석서 ? 즉 암모니우스, 엘리아스, 다비드, 위(僞) 다비드의 4개의 희랍 주석서와 보에티우스의 2 개의 라틴 주석서 ? 를 바탕으로 보편자들에 대한 실마리를 찾고자 했다. 하지만 보에티우스의 일차 주석서는 보편자에 대한 논쟁의 역사적 기원을 이해하는데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언어적, 그리고 철학적 난해함 때문에 지금까지 큰 주목을 받지 못 했다. 본 논문은 보에티우스의 일차 주석서와 『범주론』에 대한 심플리키우스, 그리고 덱시푸스의 주석서를 비교 분석하여 보편자에 대한 질문이 출현하게 된 철학적 배경을 재구성하는데 있다. 즉 보편자에 대한 질문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에 대한 플로티누스 (Enneads, VI, 1)의 비판적인 견해를 반박하는 포르피리우스의 논증과 연관이 있다는 사실이다. 지성계와 감각계를 모두 함유하는 단일한 유, 즉 ο?σ?α는 있을 수 없다는 스승의 견해와는 달리 포르피리우스는 모든 계층의 존재를 포용하는 보편적인 유로서 ο?σ?α는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은 결론은 현존하지 않는 『범주론』에 대한 포르피리우스의 주석서 Ad Gedalium에 근거한 보에티우스, 덱시푸스와 심플리티우스의 주석을 비교 대조해 얻을 수 있다. ο?σ?α를 지성계와 감각계의 유일한 유로 두는 형이상학적 체계는 소위 ‘포르피리우스의 나무’ 꼭지에서도 암시된다. 보에티우스가 일차 주석서에서 시사하듯 보편자에 대한 마지막 두 개의 질문은 동일한 형이상학적 체계를 묘사한다. 둘째 질문은 ο?σ?α의 종으로 분류되는 모든 실체를 ‘물체적인 것’과 ‘비물체적인 것’ 이등분으로 나누고 셋째 질문은 ‘물체와 완전히 분리된 비물체적인 것’, ‘물체와 때로는 분리되고 때로는 관계하는 비물체적인 것’ 그리고 ‘물체와 연관되어 존재하는 비물체적인 것’, 즉 삼등분으로 나누지만 포리피리우스의 철학에 따르면 ‘물체적인 것’은 ‘물체와 연관되어 존재하는 비물체적’인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 두 체계는 상호 보완이 가능하다. 결국 보편자에 대한 질문은 플로티누스의 형이상학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의 조화를 목적으로 한 포르피리우스의 철학을 반영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sagoge, a short treatise written by Porphyry and aiming to introduce Aristotle’s Categories and other logical disciplines, is best known for the questions about universals it formulates in its preface. Indeed, at the very beginning, Porphyry sets out three questions about the ontological status of genus and species, but without giving further explanation, thereby leaving room for commentators to come. For a long time, scholars had recourse to the ancient commentaries on Isagoge - four in greek (Ammonius, Elias, David, Pseudo-Elias) and two in latin (Boethius) -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l nature of the five predicabilia. However, among those sources, Boethius’ first commentary, because of its obscurity, had rarely drawn attention of researchers, even though it contains a major clue for u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genesis of the problem of universals. In this article, I show how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Boethius’ first commentary (ed. Brandt 26, 15-27, 18) and those of Simplicius and Dexippus on the Categories (respectively ed. Kalbfleisch, 40, 28-41, 3 and ed. Busse, 77, 12-27) allows us to reconstruct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that gave birth to these questions about universals. Thus, we discover that these questions were elaborated in response to Plotinus’ criticisms on Aristotle’s categories (Enn. VI, 1). Indeed, unlike his master for whom the existence of a single common genus ο?σ?α that embraces both the intelligible and sensible realms is not possible, Porphyry seemed to have had the idea that ο?σ?α can rightly be considered as a universal genus for all classes of beings. This is the conclusion that can be drawn from the testimonies of Boethius, Dexippus and Simplicius, given that their commentaries depended obviously on Porphyry’s lost commentary on the Categories called Ad Gedalium. The metaphysical structure that makes the ο?σ?α a genus of intelligible and sensible realities is also suggested by the top of the Porphyrian tree. In fact, as it appears from Boethius’ first commentary, we realize that last two questions about universals describe in reality the same ontological structure : the division of realities into ‘corporeals’ and ‘incorporeals’, two species of ο?σ?α (2nd question), is perfectly in accordance with the division of realities into ‘things that are separated from the matter’, ‘things that are sometimes separated, sometimes joined’, and ‘things that are always separated’ (3rd question). Indeed, according to Porphyrian incorporeal theory, the corporeals can be identified with incorporeals that cannot exist without any corporeal foundation. In sum, the questions on universals synthesize nothing less than an Porphyrian attempt to harmonize Plotinus" metaphysics with Aristotle"s doctrine of categories.
      번역하기

      The Isagoge, a short treatise written by Porphyry and aiming to introduce Aristotle’s Categories and other logical disciplines, is best known for the questions about universals it formulates in its preface. Indeed, at the very beginning, Porphyry se...

      The Isagoge, a short treatise written by Porphyry and aiming to introduce Aristotle’s Categories and other logical disciplines, is best known for the questions about universals it formulates in its preface. Indeed, at the very beginning, Porphyry sets out three questions about the ontological status of genus and species, but without giving further explanation, thereby leaving room for commentators to come. For a long time, scholars had recourse to the ancient commentaries on Isagoge - four in greek (Ammonius, Elias, David, Pseudo-Elias) and two in latin (Boethius) -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l nature of the five predicabilia. However, among those sources, Boethius’ first commentary, because of its obscurity, had rarely drawn attention of researchers, even though it contains a major clue for u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genesis of the problem of universals. In this article, I show how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Boethius’ first commentary (ed. Brandt 26, 15-27, 18) and those of Simplicius and Dexippus on the Categories (respectively ed. Kalbfleisch, 40, 28-41, 3 and ed. Busse, 77, 12-27) allows us to reconstruct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that gave birth to these questions about universals. Thus, we discover that these questions were elaborated in response to Plotinus’ criticisms on Aristotle’s categories (Enn. VI, 1). Indeed, unlike his master for whom the existence of a single common genus ο?σ?α that embraces both the intelligible and sensible realms is not possible, Porphyry seemed to have had the idea that ο?σ?α can rightly be considered as a universal genus for all classes of beings. This is the conclusion that can be drawn from the testimonies of Boethius, Dexippus and Simplicius, given that their commentaries depended obviously on Porphyry’s lost commentary on the Categories called Ad Gedalium. The metaphysical structure that makes the ο?σ?α a genus of intelligible and sensible realities is also suggested by the top of the Porphyrian tree. In fact, as it appears from Boethius’ first commentary, we realize that last two questions about universals describe in reality the same ontological structure : the division of realities into ‘corporeals’ and ‘incorporeals’, two species of ο?σ?α (2nd question), is perfectly in accordance with the division of realities into ‘things that are separated from the matter’, ‘things that are sometimes separated, sometimes joined’, and ‘things that are always separated’ (3rd question). Indeed, according to Porphyrian incorporeal theory, the corporeals can be identified with incorporeals that cannot exist without any corporeal foundation. In sum, the questions on universals synthesize nothing less than an Porphyrian attempt to harmonize Plotinus" metaphysics with Aristotle"s doctrine of catego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신플라톤 주석서들의 특징
      • 2. 『이사고게』는 무엇인가?
      • 3. 보에티우스의 『이사고게』에 대한 1차 주석에서 나타나는 보편자에 대한 해석
      • 4. 『범주론』에 대한 심플리키우스의 주석서
      • 【요약문】
      • 1. 신플라톤 주석서들의 특징
      • 2. 『이사고게』는 무엇인가?
      • 3. 보에티우스의 『이사고게』에 대한 1차 주석에서 나타나는 보편자에 대한 해석
      • 4. 『범주론』에 대한 심플리키우스의 주석서
      • 5. 심플리키우스의 증언에 의거한 보에티우스의 해석
      • 6. 보편자에 대한 셋째 질문
      • 7. 덱시푸스의 증언
      • 8.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Brisson, L., "Études sur le Sophiste de Platon" Bibliopolis 449-473, 1991

      2 Boethius, "de divisione liber, critical edition, translation, prolegomena & commentary" Brill 1998

      3 Törnqvist, Ch. Th., "cf. Boethius, Syll. Cat"

      4 Törnqvist, Ch. Th., "cf. Boethius, Int. Syll"

      5 Chiaradonna, R., "Studies on Porphyry" University of London 35-49, 2007

      6 Luna, C., "Simplicius, Commentaire sur les Catégories" Les Belles Lettres 2001

      7 Porphyrius, "Sententiae ad intelligibilia ducentes" Leipzig 1975

      8 Westerinck, L. G., "Prolégomènes à la philosophie de Platon" les Belles Lettres 1990

      9 David, "Prolegomena et in Porphyrii Isagogen Commentarium" Reimer 1904

      10 Proclus, "Proclii Commentarium in Platonis Parmenidem, in Proclii Philosophi Platonici Opera inedita" Olms 617-1242, 1961

      1 Brisson, L., "Études sur le Sophiste de Platon" Bibliopolis 449-473, 1991

      2 Boethius, "de divisione liber, critical edition, translation, prolegomena & commentary" Brill 1998

      3 Törnqvist, Ch. Th., "cf. Boethius, Syll. Cat"

      4 Törnqvist, Ch. Th., "cf. Boethius, Int. Syll"

      5 Chiaradonna, R., "Studies on Porphyry" University of London 35-49, 2007

      6 Luna, C., "Simplicius, Commentaire sur les Catégories" Les Belles Lettres 2001

      7 Porphyrius, "Sententiae ad intelligibilia ducentes" Leipzig 1975

      8 Westerinck, L. G., "Prolégomènes à la philosophie de Platon" les Belles Lettres 1990

      9 David, "Prolegomena et in Porphyrii Isagogen Commentarium" Reimer 1904

      10 Proclus, "Proclii Commentarium in Platonis Parmenidem, in Proclii Philosophi Platonici Opera inedita" Olms 617-1242, 1961

      11 Barnes, J., "Porphyry, Introduction" Clarendon Press 2003

      12 Elias, "Porphyrii Isagogen commentarium" Reimer 1900

      13 De Libera, A., "Porphyre, Isagoge" Vrin 1998

      14 Hadot, P., "Porphyre et Victorinus" Études augustiniennes 1968

      15 Aristoteles, "Physica"

      16 Boethius, "Peri Herm. 2 = secunda editio in Anicii Manlii Seuerini Boethii commentarii in librum Aristotelis ΠΕΡΙ ΕΡΜΗΝΕΙΑΣ" Teubner 1877

      17 Magee, J., "On the Composition and Sources of Boethius’ Second Peri Hermeneias Commentary" 48 (48): 7-54, 2010

      18 Aristoteles, "Metaphysica"

      19 Hoffmann, Ph., "Les principes de l’interprétation néoplatonicienne des Catégories d’Aristote, de Porphyre au Pseudo-Aréthas" de Porphyre au Pseudo-Aréthas 1998

      20 Guest, G., "Les notions philosophiques, dictionary vol. 2" PUF 2122-2127, 1990

      21 Huh, M. -J., "Le premier commentaire de Boèce à l’Isagogè de Porphyre, introduction, traduction et commentaire" Paris-Sorbonne University (Paris IV) & Universiteit Katholieke Leuven 2013

      22 Lavaud, C., "Itinéraires de la puissance" Presses Universitaires de Bordeaux 2004

      23 Boethius, "Isagogen Porphyrii commentorum editio prima in Anicii Manlii Seuerini Boethii in Isagogen Porphyrii commenta" Academia litterarum caesareae vindobonensis 1906

      24 Porphyrius, "Isagoge" Reimer 1887

      25 Boethius, "Introductio ad syllogismos categoricos, in Anicii Manlii Seuerini Boethii Introductio ad syllogismos categoricos, critical edition with Introduction, Commentary and Indexes" University of Gothenburg Press 2008

      26 Porphyrius, "In harmonica Ptolemei commentarius, in Porphyrios Kommentar zur Harmonienlehre des Ptolemaios" 1932

      27 Ammonius, "In Porphyrii ‘Isagogen’ siue V voces" Reimer 1891

      28 Dexippus, "In Aristotelis categorias commentaria" Reimer 1888

      29 Simplicius, "In Aristotelis Categorias commentaria" Reimer 1907

      30 Porphyrius, "Fragmenta" Teubner 1993

      31 Hadot, I., "Fascicule III" Brill 21-40, 1990

      32 Hadot, I., "Fascicule I" Brill 1-9, 1990

      33 Aristoteles, "Ethica Nichomacea"

      34 Aristoteles, "Ethica Eudemia"

      35 Plotinus, "Enneads in Plotini Opera" Clarendon Press 1964

      36 Chiaradonna, R., "Dictionnaire des philosophes antiques, vol. V/b" CNRS éditions 1376-1381, 2012

      37 Chiaradonna, R., "Dictionnaire des philosophes antiques, vol. V/b" CNRS éditions 1335-1343, 2012

      38 Boethius, "De syllogismo categorico, in Anicii Manlii Seuerini Boethii de Syllogismo Categorico, critical edition with Introduction, Translation" University of Gothenburg Press 2008

      39 Alexander of Aphrosidias, "De anima liber cum mantissa" Reimer 1887

      40 Aristoteles, "De anima"

      41 Boethius, "De Trinitate in De Consolatione Philosophiae, Opuscula theologica" Teubner 2000

      42 Magee, J., "Cf. Boethius, de diu"

      43 Hadot, P., "Atti del convegno internazionale sul tema: Plotino e il Neoplatonismo in Oriente e in Occidente" Accademia nazionale dei Lincei 1974

      44 Shiel, J., "Aristotle Transformed: The Ancient Commentators and Their Influence" Duckworth & Cornell University Press 349-372, 1990

      45 Aristoteles, "Analytica posteriora"

      46 Sorabji, R., "A source Book, vol. 3, Logic & Metaphysics" Duckworth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11-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of Greco-Roman Studie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6 1.059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