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의 국가안보와 핵억지 전략의 변화: 트루먼-트럼프 행정부까지 = Change and Continuity of U.S. Nuclear Deterrence Strategy: Truman to Trump Administ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214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국은 가장 먼저 핵 전력을 갖추었을 뿐만 아니라 핵을 통한 안전보장과 핵 억지를 통한 국제관계의 독점적 영향력 확보를 실천해 옮겨왔다. 냉전시기 미·소간 핵억지 전략의 핵심은 핵 보...

      미국은 가장 먼저 핵 전력을 갖추었을 뿐만 아니라 핵을 통한 안전보장과 핵 억지를 통한 국제관계의 독점적 영향력 확보를 실천해 옮겨왔다. 냉전시기 미·소간 핵억지 전략의 핵심은 핵 보복 능력을 확보한 ‘공포의 균형(balance of terror)’으로 상호 핵무기 사용을 자제하게 하고 억제하도록 하였다. 탈 냉전기에 미국의 핵억지 전략은 소련 이외의 위협으로부터 미국과 우방국을 보호하는 전략으로 바뀌었다. 9.11테러 이후 미국은 러시아 이외에 중국, 북한, 이라크 등 미국이 현상타파국으로 인식한 국가로부터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비하고자 하였다. 미국은 보복 능력의 향상에 초점을 두면서 핵을 사용한 선제공격의 옵션까지 고려한 핵 억지력을 강화해오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의 핵 위협에 따른 핵 공포로 인해 주변국들이 핵무기를 보유하고자 하는 충동을 없애야 하는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미국의 국가안보 전략으로서 핵 억지가 어떻게 시작되었으며 어떤 양태로 트럼프 행정부까지 지속하였는지에 대해 역사적인 맥락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이런 목적에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핵 억지이론의 기본 개념과 원칙, 역사적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둘째, 냉전이 종식되고 경제적인 상호의존이 심화하고 있는 국제체제 환경 하에서도 미국의 핵 억지 전략이 파기되지 않고 지속되는 이유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의 국가안보전략으로서의 핵억지의 유용성과 함께 각 행정부 시기별로 어떻게 억지 전략이 유지·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의 억지 전략이 북한과의 관련성 속에서 탐색할 수 있는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분석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nited States has not only been equipped with nuclear power first, but has also carried out the security of nuclear power and the monopoly influence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rough nuclear deterrence. The core of the nuclear deterrence strategy...

      The United States has not only been equipped with nuclear power first, but has also carried out the security of nuclear power and the monopoly influence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rough nuclear deterrence. The core of the nuclear deterrence strategy between the US and the Soviet Union during the Cold War was the “balance of terror,” which secured nuclear retaliation. In the post-cold war, the US nuclear deterrence strategy has been changed to protect the US and its allies from threats other than the Soviet Union. After the September 11 terrorist attacks, the United States sought to prepare for nuclear and missile threats from countries other than Russia, including China, North Korea, and Iraq. The United States has been strengthening its nuclear deterrence, focusing on improving retaliation capabilities and considering options for nuclear preemptive strikes. The Trump administration is facing a challenge to rid the neighboring countries of the urge to possess nuclear weapons because of nuclear fears from North Korea’s nuclear threat.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historical context why nuclear deterrence as a U.S. national security strategy began and has maintained to date. In doing so, we revisit fundamental concepts and principles about nuclear deterrence. Second, we explain why the U.S. nuclear deterrence strategy has not been scrapped in the wake of the end of the Cold War. To this end, we conduct a literature review, summarize prior research regarding the theory of nuclear deterrence. We discuss why U.S. administrations from Truman to Trump still believe nuclear deterrence as viable and necessary as a national security strategy. Finally, we discuss how the Trump administration’s deterrence strategy is being applied to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 We conclude that the U.S. nuclear deterrence strategy has been characterized by substantial continuity than change for more than four decad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건영, "핵무기와 국제정치: 역사, 이론, 정책, 그리고 미래" 극동문제연구소 27 (27): 1-45, 2011

      2 박지영, "트럼프 행정부의 비확산 정책" 아산정책연구원

      3 이창형, "중국이냐 미국이냐: 중국의 부상과 한국의 안전보장" KIDA Press 2008

      4 김일수,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반도 평화전망" 한국동북아학회 18 (18): 103-120, 2013

      5 이우탁, "북핵 6자회담 현장의 기록: 오바마와 김정일의 생존게임" 창해 2009

      6 Blackwill, Robert D., "미국의 핵정책과 새로운 핵보유국" 한울아카데미 1997

      7 김일수, "미국의 핵 비확산 정책과 한반도 평화"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 (20): 55-79, 2017

      8 김일수,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 이론과 실제" 충북대학교 출판부 2014

      9 유호근, "미국의 대북 정책결정의 동학: 오바마 1기 행정부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6 (16): 275-295, 2015

      10 김성철, "냉전기 핵통제 인식공동체의 형성"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4 (14): 29-52, 2013

      1 박건영, "핵무기와 국제정치: 역사, 이론, 정책, 그리고 미래" 극동문제연구소 27 (27): 1-45, 2011

      2 박지영, "트럼프 행정부의 비확산 정책" 아산정책연구원

      3 이창형, "중국이냐 미국이냐: 중국의 부상과 한국의 안전보장" KIDA Press 2008

      4 김일수,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반도 평화전망" 한국동북아학회 18 (18): 103-120, 2013

      5 이우탁, "북핵 6자회담 현장의 기록: 오바마와 김정일의 생존게임" 창해 2009

      6 Blackwill, Robert D., "미국의 핵정책과 새로운 핵보유국" 한울아카데미 1997

      7 김일수, "미국의 핵 비확산 정책과 한반도 평화"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 (20): 55-79, 2017

      8 김일수,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 이론과 실제" 충북대학교 출판부 2014

      9 유호근, "미국의 대북 정책결정의 동학: 오바마 1기 행정부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6 (16): 275-295, 2015

      10 김성철, "냉전기 핵통제 인식공동체의 형성"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4 (14): 29-52, 2013

      11 김보미, "김정은 정권의 핵무력 고도화의 원인과 한계: 북한의 수직적 핵확산과 정권안보" 한국국방연구원 33 (33): 35-64, 2017

      12 김일수,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정책과 한국의 대응" 6 (6): 2012

      13 Rothgeb, John, "국제정치의 신 패러다임" 오름 1999

      14 구본학, "격변기의 안보와 국방(한국전략문제연구소 창설 30주년 기념 논문집)"

      15 최강, "격변기의 안보와 국방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창설 30주년 기념 논문집)" 2017

      16 박창권, "격변기의 안보와 국방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창설 30주년 기념 논문집)" 2017

      17 이상현, "격변기의 안보와 국방 (한국전략문제구소 창설 30주년 기념 논문집)" 2017

      18 Zagare, Frank, "“Rationality and Deterrence" 42 (42): 1990

      19 Cashman, Greg, "What Causes War? An Introduction to Theories of International Conflict" Lexington Books 1993

      20 Gavin, Francis J., "We Need to Talk: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U.S. Nuclear Weapons Policy"

      21 Ashford, Emma, "Unforced Error: The Risks of Confrontation with Iran"

      22 "U.S. Nuclear Posture Review" 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

      23 Rudolf, Peter, "U.S. Nuclear Deterrence Policy and Its Problems" SWP 2018

      24 Phillips, James, "U.S. Iran Policy After the Demise of the Nuclear Deal" The Heritage Foundations

      25 Morgan, Patrick M., "The State of Deterrence in International Politics Today" 33 (33): 2012

      26 Waltz, Kenneth,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More May Be Better"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d 1981

      27 Ikenberry, John G., "The Rise of China and the Future of the West" 87 (87): 2008

      28 Osgood, Robert E., "The Revitalization of Containment" 60 (60): 1981

      29 Winson, Ward, "The Myth of Nuclear Deterrence" 15 (15): 2008

      30 Dunn,Lewis A., "The Global Agenda: Issues and Perspectives" Random House 1984

      31 Knopf, Jeffrey W., "The Fourth Wave in Deterrence Research" 31 (31): 2010

      32 Wohlstetter, Albert, "The Delicate Balance of Terror"

      33 West, Graham F., "The Benefits of NATO"

      34 Milkis, Sidney M., "The American Presidency: Origins and Development 1776-1993" Congressional Quarterly Press 1994

      35 Huth, Pau, "Testing Deterrence Theory: Rigor Makes a Difference" 42 (42): 1990

      36 Krieger, David, "Ten Serious Flaws in Nuclear-Deterrence Theory"

      37 Gaddis, John L., "Strategies of Containment: A Critical Appraisal of American National Security Policy During the Cold War"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38 Anderson, Martin, "Revolution: The Reagan Legacy" Hoover Institution Press xxxiii-, 1990

      39 David, Nathaniel, "Reflections on North Korea and Deterrence in the 21st Century"

      40 Shambaugh, David, "Power Shift: China and Asia’s New Dynamic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5

      41 Mazarr, Michael J., "Perspective" RAND Corporation 2018

      42 Arbatov, Alexey, "Nuclear Deterrence: A Guarantee or Threat to Strategic Stability?" Carnegie Moscow Center

      43 Smoke, Richard, "National Security and the Nuclear Dilemma: An Introduction to the American Experience in the Cold War" McGraw-Hill 1993

      44 White House, "National Security Strateg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45 Bush, George W., "National Security Strategy for the United States"

      46 Sanger, David E., "Korea Sign Pact Renouncing Force in Step to Unity"

      47 Allison, Graham, "Essence of Decision: Explaining the Cuban Missile Crisis" Longman 1999

      48 Sherwin, Martin J., "Encyclopedia of U.S. Foreign Rel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49 George, Alexander L., "Deterrence in American Foreign Policy: Theory and Practic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4

      50 Jervis, Robert, "Deterrence and Perception" 7 (7): 1982

      51 Morgan, Patrick M., "Deterrence Now"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52 Morgan, Patrick M., "Deterrence Now"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53 Huth, Paul, "Deterrence Failure and Crisis Escalation" 32 (32): 1988

      54 Security Resources Panel of the Science Advisory Committee, "Deterrence & Survival in the Nuclear Age"

      55 Harvey, John R, "Continuity and Changes in U.S. Nuclear Policy"

      56 Mearsheimer, John, "Better to be Godzilla than Bambi" (146) : 2005

      57 Layne, Christopher, "Assessing the Reagan Years" Cato Institute 1988

      58 Arms Control Association, "Assessing the 2019 Missile Defense Review"

      59 O’Neil, Andrew, "Asia, the U.S. and Extended Nuclear Deterrence: Atomic Umbrella in the Twenty-First Century" Routledge 2013

      60 Brodie, Bernard, "American Foreign Policy: The Dynamics of Choice in the 21st Century" W.W. Norton & Company 2014

      61 Wittkopf, Eugene R., "American Foreign Policy: Pattern and Process" Thomson/Wadsworth 2008

      62 Snyder, Glenn H., "American Defense Polic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68

      63 김일수, "2.13 합의 이후의 북미관계 전망" 한국정치정보학회 10 (10): 149-165,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Area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6 0.76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