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부부친밀감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은희 평택대학교 일반대학원 상담학과 상담학 전공 (지도교수: 김 용 수) 본 연구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베트남 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686150
평택 : 평택대학교, 2020
학위논문(박사) -- 평택대학교 일반대학원 , 상담학과 상담학전공 , 2020
2020
한국어
186.3 판사항(6)
616.89 판사항(23)
경기도
viii, 143 p. ; 26 cm
지도교수: 김용수
권말부록: 연구 참여 안내 및 동의서
참고문헌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부부친밀감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은희 평택대학교 일반대학원 상담학과 상담학 전공 (지도교수: 김 용 수) 본 연구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베트남 결...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부부친밀감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은희
평택대학교 일반대학원 상담학과 상담학 전공
(지도교수: 김 용 수)
본 연구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베트남 결혼 이주여성의
부부 친밀감 경험의 내용과 관계 구조를 분석한다. 분석을 위하여 「다문
화가족지원법」제2조에 따라 등록되어있는 다문화가족 중 한국인 남편과
결혼한 베트남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 중 연구 참여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6명을 선정했다.
첫째, 「다문화가족지원법」제2조에 따라 등록되어있는 다문화가족 중
한국인 남편과 결혼한 외국인 아내.
둘째, 결혼 기간 7년 이상의 결혼이주여성.
셋째, 가족생활주기 중 가족확대기에 자녀 1명 이상을 둔 결혼이주여성.
넷째, 결혼이주여성이 부부관계에서 경험한 부부친밀감에 대한 경험을
연구하기 위해 소개받을 때 연구주제와 관련된 경험을 가지고 있고, 자신
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결혼이주여성.
다섯째, 결혼이주여성이 부부친밀감 경험을 기술해야 하므로 한국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본 연구는 참여자들의 주관적인 체험을 바탕으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현상학적 접근 방법을 사용한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Giorgi(1975, 2012)가 제시한 5단계 방법으로 분석한다. 부부친밀감 경험의
- iv -
진술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의미단위 181개, 하위 구성 요소 30개,
구성 요소 7개가 도출됐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한 부부친밀감 경
험의 내용은 희망, 차이, 갈등, 애정, 지지, 연결, 성장으로 나타났으며, 결
혼이주여성이 경험한 부부친밀감 경험의 구조는 1단계 희망, 2단계 차이와
갈등, 3단계 애정, 지지, 연결, 4단계 성장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부부친밀감 경험의 내용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원가족을 도우며 최선을 다한 참여자는 자신의 행복한 삶을 바라
며 국제결혼을 결심하고 자국에서 짧은 만남 동안 남편의 행동에 애정을
느끼며 희망을 품고 한국으로 이주했다. 한국 생활에서 결혼이주여성은 환
경적인 차이와 가족 체계 확대로 인해 대인관계 혹은 심리적인 갈등을 경
험했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부부가 함께하면서 쌓아온 애정․지지․연
결은 부부친밀감을 견고하게 해주었다. 참여자는 의사소통이 원활해질수록
행복감이 커지는 경험을 하고, 이를 남편과 미래를 향해 함께 노력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삼았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부부친밀감 경험의 구조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희망은 시간적 흐름에 따라 원가족을 돕는 삶, 국제결혼에 대한
기개, 배우자를 만난 계기, 짧은 만남 속 배우자 결정, 행동에서 애정이 싹
틈, 떠남과 만남의 균형으로 진행됐다. 둘째, 차이와 갈등은 부부친밀감을
방해하고 부부친밀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애정, 지지, 연결은 부부친밀감을 보호 요인으로 부부관계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쳤다. 부부친밀감 방해요인인 차이와 갈등은 보호요인인 애정, 지
지, 연결을 통해 서로 순환하는 과정을 거쳐 네 번째 성장을 향해 나아가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미래를 계획하는데 미래에
대한 계획은 부부가 중심이 되어 함께 노력하면서 성장하는 성장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김혜경, 홍달아기, 오정옥, 손홍숙, 박충선, 문혜숙, 도미향, "가족복 지론", 서울: 공동체, 2006
2 박경, 이희숙, "성인애착과 결혼만족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 강, 13(3), 671-689, 2008
3 김혜련, "다문화가족의 건강문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 복지 Issue & Focus Vol.185 No, 2013
4 이경희, "부부간 친밀감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Vol. 33 No. 4, 1995
5 김미라, "부부친밀도에 미치는 요인. 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2001
6 채옥희, 홍달아기, "베트남 결혼이민자의 한국 생활적응 사례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Vol.16 No.1, 2007
7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 화원", 한영문화사, 2004
8 황정미, "결혼이주여성의 가정폭력에 피해에 대한 재고찰", 한국여성 학 Vol.31 No.4, 2015
9 김태량, "결혼이주여성의 이혼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케 어매니지먼트연구, Vol.0 No.30, 2019
10 박평식, "부부친밀감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제신 학대학원대학교, 2009
1 김혜경, 홍달아기, 오정옥, 손홍숙, 박충선, 문혜숙, 도미향, "가족복 지론", 서울: 공동체, 2006
2 박경, 이희숙, "성인애착과 결혼만족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 강, 13(3), 671-689, 2008
3 김혜련, "다문화가족의 건강문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 복지 Issue & Focus Vol.185 No, 2013
4 이경희, "부부간 친밀감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Vol. 33 No. 4, 1995
5 김미라, "부부친밀도에 미치는 요인. 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2001
6 채옥희, 홍달아기, "베트남 결혼이민자의 한국 생활적응 사례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Vol.16 No.1, 2007
7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 화원", 한영문화사, 2004
8 황정미, "결혼이주여성의 가정폭력에 피해에 대한 재고찰", 한국여성 학 Vol.31 No.4, 2015
9 김태량, "결혼이주여성의 이혼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케 어매니지먼트연구, Vol.0 No.30, 2019
10 박평식, "부부친밀감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제신 학대학원대학교, 2009
11 두문영, 조진경, "중국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에 관한 생애사 연구", 여성학연구, 109-141, 2017
12 김오남,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박사학위논문", 가톨 릭대학교, 2006
13 김연수, "베트남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감 영향요인 연구", 한국 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4 No.11, 2016
14 김복곤, "중년부부의 친밀감 회복을 위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호남 신학대학교, 2001
15 변주수, "다문화가족의 이혼위험확률에 미치는 영향요인 탐색", 한국가 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Vol.2018 No.11, 2018
16 Creswell, J. W., "질적연구방법론. 조홍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 학지사, 2015
17 조윤주,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관련 변인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2006
18 안윤지, "결혼이주여성의 이혼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2015
19 최운선, 홍기순, "국제결혼 한국인 남성의 결혼생활 대처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6): 53-67, 2012
20 김금희, 이영선, 민기연, "다문화가정 부부의 의사소통 및 관계 증진 프로그램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1, 2015
21 전리상, 조홍중,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 Vol,10(2). 277-284, 2019
22 설동훈,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 복지 지원 정책방 안", 서울: 보건복지부, 2006
23 권정혜, 이미영, "자기개방과 공감반응이 신혼부부의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24(4), 529-552, 2016
24 김명희, 김정은, "다문화가족 노인의 부모역할 스트레스에 대한 탐색 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4(3), 85-106, 2013
25 김미정, 염동문,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社會科學硏究, Vol. 31 No.3, 2015
26 김승옥, 정혜정, "기혼남녀의 마음챙김과 일치성이 부부친밀감에 미 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1(2), 203-229, 2013
27 김연수, 양옥경, "서울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6: 79-110, 2007
28 권순용, 임수연, "원가족의 건강성, 자기분화, 부부관계의 인과적 관 계의 성차", 한국가족학회 가족과 문화, Vol.23 No.4, 2011
29 주미연,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이혼의사 결정요인 분석. 박사학위 논문",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0
30 김경아, "부부의 친밀감증진을 위한 자아분화 프로그램. 석사학위 논문",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10
31 박연옥, "노년기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박사학위 논문", 백석대학교, 2012
32 최미나, "다문화가정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전주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33 임현경, "부부 친밀감이 남편의 음주동기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2011
34 고기숙,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정폭력 피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피해자학연구, 18(1), 229-259, 2010
35 장수진, "결혼초기 부부의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석사학 위논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6 정정화, "대전・충남 지역의 이혼 다문화가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 위논문",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37 한명화, "부부의 호칭이 의사소통과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 위논문", 가천대학교, 2013
38 이정은, 정남운, "원가족 분화경험과 임신 중 우울의 관계: 부부친밀 감의 매개효과", 가족과 상담, Vol.4 No.1, 2014
39 김현재, "베트남 여성의 한국으로의 결혼이민: 그 배경과 원인에 대 한 고찰", 동아연구 52: 219-254, 2007
40 김희순, "생애사를 통해 본 베트남결혼이주여성의 이혼 연구. 박 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41 김인복, "재혼부부의 부부친밀감 형성 경험의 현상학적 연구. 박 사학위논문", 평택대학교, 2020
42 이경희, "부인이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 따른 부부관계 유형. 박 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1998
43 박태영, 조지용, "갈등으로 인한 이혼위기를 경험하고 있는 부부의 부부치료 사례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19(2), 41-62, 2011
44 박은정,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45 문선영, "국제결혼부부의 초기 생활적응경험에 관한 내용분석. 석 사학위논문",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9
46 문흥안, "베트남결혼이주여성의 혼인의 특징과 국제결혼의 제도적 개 선 방안", 한국법제연구원 2013 법제연구 Vol.- No.44, 2013
47 김금희, 이영선, "이시이히로꼬 다문화가정 부부를 위한 관계중심 부부소통 프로그램",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1(2), 97-127, 2015
48 현경자, "경제적 곤란과 문화적 도전이 다문화부부의 가족과정에 미 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0 No.4, 2016
49 조은수, "베트남, 중국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건강문해력. 석 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9
50 양진선, "부부친밀감과 자아존중감 및 원가족 건강성간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4
51 이현승, 최연희,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2, 2016
52 심창교, "노년기 부부성숙 프로그램 개발 :개입연구 방법의 적용,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2008
53 김선화, "중년기부부의 친밀감과 의사소통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북외국어대학교, 2012
54 신승연, 홍은미,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부부의 의사소통과 친 밀감에 미치는 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Vol.7 No.4, 2011
55 이경성, 한덕웅, "친밀한 관계에서 양자간 정서반응의 유사성이 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 No.1, 2003
56 김복태, "결혼이민자 취업 역량 강화를 위한 실행방안 연구. 한국 여성정책연구원", 서울, 2015
57 김경례,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 향. 석사학위논문", 연구성결대학교, 2010
58 유희란, "여성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요인과 해소방안에 관한 연 구. 석사학위논문",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59 김미순, "목회자 부부의 의사소통능력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 향. 석사학위논문", 호남신학대학교 기독교상담대학원, 2014
60 이영희, 이윤주, "부모의 부부갈등과 원가족분화, 부부친밀감이 결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Vol.12 No.1, 2011
61 조원덕, "성인자녀가 독립한 중년여성의 부부친밀감 현상학적 연 구.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3
62 이미영, "자기개방과 공감반응이 신혼부부의 친밀감에 미치는 영 향.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09
63 강현준, "자녀를 가진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 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9
64 최인영, 최종렬,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지형과 쟁점, 다문화사회를 향한 전망과 정책적 대응", 한국여성정책연구원, 66-72, 2008
65 장선웅, "원가족 경험이 부부친밀감과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 향.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2008
66 최호림, "국제결혼에서 귀환까지: 베트남 여성의 한국행 결혼이 주 경험에 관한 연구", 동아연구, 34(1), 143-182, 2015
67 강명자,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 및 자아분화와 부부갈등과의 관 계. 석사학위 논문", 제주대학교, 2007
68 Gottman, J. M., Silver, N., "행복한 부부 이혼하는 부부 [The Seven Principles For Making Marriage Work]. (임주현역)", 서울: 문 학사상, 2002
69 김이선,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 갈등경험과 소통 경험을 통해 본 정신건강의 역동성",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 2008 No.1, 2008
70 정기선,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이주특성과 이민생활적응: 출신국가별 차이를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68-103, 2008
71 박재경, "정서표현과 가족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 석 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2017
72 권복순, "한국어 능력, 자아존중감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 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Vol. 61 No.2, 2009
73 오은희, "기혼 남녀의 내외통제성과 일치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 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2012
74 박재규, "국제결혼 여성이민자의 가족해체 원인 및 특성분석: 경기 지역 자료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1(3), pp. 104-139, 2011
75 이주연, 정혜정, 장선웅, "기혼남녀가 지각한 원가족 경험과 부부 친 밀감이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5 No.4, 2011
76 이호림, "소수자 스트레스가 한국 성소수자(LGB)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77 이정은, "원가족 분화경험과 임신 중 우울의 관계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3
78 김윤정, 오금숙,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지지, 부부친밀감, 생활만 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건강학회지 Vol.3 No.1, 2013
79 신희천, 윤미혜, "일상사건의 공유를 통한 부부의 친밀감 발달과정: 지각된 배우자 반응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Vol. 23 No.1, 2009
80 김인영, 한주리, "다문화 가정의 부부 갈등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 구: 갈등형성과 대처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19: 159-196, 2012
81 박미용, "다문화가정해체의 원인분석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동 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82 박동숙, "결혼이주여성의 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 자녀양육 경험 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예명대학원대학교, 2019
83 곽서정, "다문화가족을 위한 가족관계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 한 메타분석.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9
84 최이화, "성경적 결혼관을 통한 크리스천 부부의 친밀감 경험 :질 적 사례 연구. 박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85 박희정, 변상해, "재혼부부의 자기분화, 부부친밀감, 부부갈등대처 방 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눈문지, 제.17권 7호, 2017
86 박경애, "・정혜선 결혼이민여성의 부부 의사소통, 부부친밀감이 심리 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아동복지연구, Vol 9, No 2, 59-84, 2011
87 박진옥, "결혼이주여성가족의 부부관계 및 고부관계에서 나타나는 적응과 갈등.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88 김시양, "다문화가족 부부의 자기개방과 공감능력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2017
89 Johnson, S. M., "정서중심적 부부치료 [ The Practice of Emotionally Focused Couple Therapy].(박성덕 역).서울: 학지사", (원 서출판:2006), 2006
90 남기훈, "중년기 부부갈등이 부부친밀감이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 희생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18
91 진현자, "기혼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과 부부 친밀감의 관계 에서 기능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2016
92 김하영, "사별을 경험한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홀로서기 삶에 관 한 현상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9
93 정혜정, 조소희, "기혼남녀의 원가족 경험과 자기분화가 핵가족의 부 부관계와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Vol.1 7 No.5, 2008
94 엄동춘, "결혼이민자 부부간의 발마사지가 부부의 의사소통, 친밀감, 갈등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과학회, 40(4), 493-502, 2010
95 문지현, "결혼이주 베트남여성의 부부친밀감, 배우자지지, 성적자율 성과 임파워먼트 관계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4, 2019
96 홍정화, "노년기 부부관계 증진 프로그램이 부부친밀감과 자아통 합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7
97 박윤주, "부부의 상위기분과 정서표현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 효과와 배우자 효과.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013
98 박민지,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원가족 분화수준과 가족규 칙 및 부부의사소통.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99 윤인지, "기혼남녀의 애착안정성, 자기개방, 배우자지지가 부부친 밀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100 김명희,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친밀감과 부부의사소통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2006
101 옥수미, "원가족건강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부부의사소 통 효율성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102 송윤선, "이미나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상담 관련 KCI연구 동향1993년부터 2017년까지 게재논문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 미디어논문지, Vol.9 No.4, 2019
103 박수진, 이인수, "부부의 원가족건강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 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한국가족치료학회", 23(2), 381-400, 2015
104 김도희, "결혼이민여성의 양육효능감에 관한 영향 연구 : 문화적 응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105 김소희, 노윤구,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녀양육효능감의 관 계에서 배우자 지지의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24 No.2, 2018
106 이옥희, "결혼이민여성의 원가족건강성과 문화적응이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2012
107 김대광, "기혼남녀의 원가족 정서성과 공감능력 및 배우자지지가 부 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무", 충북대학교, 2012
108 송진영, "기독교 중년여성의 영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부부친밀감과 자아 존중감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109 윤혜림, "원가족 건강성, 성인애착, 부부의사소통능력과 결혼초기 부부친밀감의 인과적 관련성.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110 우명순, 임은자,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친밀감에 관한 연구: 자아 정체감과 부부의사소통, 양성평등의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개발연구. Vol.16 No.4, 2010
111 김영희, 박봉순, "원가족 분화경험이 기혼남녀의 부부친밀감에 미치 는 영향: 자아정체감과 자녀에 대한 태도를 매개로", 대한가정학회, Vol. 48 No.9, 2010
112 설동훈, 윤홍식, "국내거주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사 회복지정책. 한국 사회복지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대구. 10월, 2005
113 정재완, "성인애착유형과 자아분화수준이 성적, 정서적 친밀감을 통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2012
114 유승희, "국내 여성결혼이민자의 심리적 적응과 사회문화적 적응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2018
115 김춘태, "사회적 자본이 여성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춘천시, 여수시, 광양시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순천대학교, 2016
116 오연미, "한국 다문화부부의 갈등해결을 위한 다문화상담 방안 연 구: 사티어의 대화이론 모델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2017
117 김란희, "고등학생의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개방과 지각된 반응성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2014
118 엄미선, 조용주, "국제결혼이주여성이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생활만족 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 회복지교육, Vol.32 No, 2015
119 양승민, "한국적 다문화상담의 모색을 위한 농촌지역 결혼이민여 성들의 스트레스 요인과 반응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008
120 이영희, "부모의 부부갈등과 자녀의 결혼안정성과의 관계에서 자녀의 원가 족분화와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2011
121 유경숙,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과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용문상담심리대 학원대학교, 2017
122 김정화, 현경자, "다문화부부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갈등반응행동 간 의 관계에서 희망과 부부친밀성 및 지원서비스 이용의 조절효과", 보 건사회연구, 31(1), 140-180, 2017
123 우명순,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친밀감에 관한 연구: 자아정체감 과 부부의사소통, 양성평등의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승실대학교, 2008
124 최효식, "다문화가정의 부부 대화시간, 가구 월평균 소득이 어머니 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부갈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 심교과교육연구, 17(1), 237-255, 2017
125 이순자,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 관계성 연구: 부부의사소통과 사회적지지의 매개․조절효과검증. 박사학위 논문", 성결대학교, 2014
126 김인선, "국제결혼부부의 의사소통 및 스트레스대처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친밀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박사학 위논문", 경상대학교, 2020
127 이지현, 진수진, 주현정, 조연실,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 부 부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4(1): 87-98, 2013
128 태지현,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와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 감이 경제활동참여 동기에 미치는 영향 :베트남 여성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군산대학교, 2019
129 김진아, "정서표현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자기효과 및 상대방 효과: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상 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30 박인옥, "농촌지역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지지가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활동참여와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 과. 석사학위논문",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