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와 3면이 접해 있는 우리나라는 전통 해양산업인 해운·항만산업, 수산업, 조선업이 국가경제 발전에 큰 공헌을 해왔다. OECD(2016)에서는 세계 해양산업 부가가치가 2010년 1조 4,795억 달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098883
부산 :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학위논문(박사) -- 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 국제물류및항만관리전공 , 2019. 2
2019
한국어
387.1 판사항(23)
부산
148 p. : 삽화 ; 30 cm
지도교수: 김상열
부록: 1.부산 해양산업 산업별 생산유발계수 외 수록
참고문헌: p. 139-142
I804:21016-00000013928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바다와 3면이 접해 있는 우리나라는 전통 해양산업인 해운·항만산업, 수산업, 조선업이 국가경제 발전에 큰 공헌을 해왔다. OECD(2016)에서는 세계 해양산업 부가가치가 2010년 1조 4,795억 달러...
바다와 3면이 접해 있는 우리나라는 전통 해양산업인 해운·항만산업, 수산업, 조선업이 국가경제 발전에 큰 공헌을 해왔다. OECD(2016)에서는 세계 해양산업 부가가치가 2010년 1조 4,795억 달러에서 2030년에는 3조 달러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여러 국가들은 해양의 무한한 잠재력으로 경제성장을 만들어 가고자 해양산업 육성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전통 해양산업과 해양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신해양산업을 육성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우리나라 해양산업의 중심에 부산이 있다. 부산에는 글로벌 항만인 부산항과 우리나라 해양산업체의 31.7%가 위치해 있다. 부산시는 2000년대 초부터 여러 해양산업이 발전한 해양수도 실현을 위해 노력해 왔다. 그러나 글로벌 컨설팅업체 Menon의 해양도시 경쟁력 평가보고서에서 부산은 전체 15개 도시 중에서 13위를 차지하였으며, 부산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절대적인 성장은 하고 있음에도 전국 대비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중앙정부와 부산시는 전통 해양산업과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신해양산업 육성을 위해 법적 근거 마련과 기본계획 수립으로 정책적인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 이러한 현황에도 해양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해운·항만물류분야에만 국한되어 있어, 보다 넓은 범위에서 부산 해양산업의 지역경제기여도를 분석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에 의한 시사점은 향후에 부산 해양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결정에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은행에서 제공하는 지역산업연관표를 부산, 울산, 경남, 수도권, 인천, 기타 등 6개 지역으로 통합하고, 대분류 30개 산업과 해운·항만, 수산, 조선, 해양과학기술, 해양관광, 해양 정보 및 금융 등 6개 해양산업을 합친 36개 산업으로 분류하여 부산 해양산업의 지역경제기여도를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하였다.
지역산업연관분석 중에서는 지역 및 산업별 투입-수요구조 분석, 수요유도형 모형의 생산·부가가치·취업유발효과 및 산업간 연쇄효과 분석과 공급유도형 모형에서 공급지장비용, 부가가치 순이입 효과 및 지역내총생산(GRDP) 기여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부산 전체 산업 중 부산 해양산업의 상대적인 지역경제기여도와 해양산업별 타 산업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부산 해양산업의 지역 산업 내에서 영향과 지역경제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전체 해양산업의 생산유발효과는 10조 7,314억 원으로 부산 전체 산업의 생산유발효과 중 9.95%를 차지하는 2위로 분석되었다. 부가가치유발효과는 3조 1,740억 원으로 6.38%를 차지하며 7위, 취업유발효과도 58,325명으로 5.76%인 7위로 나타났다. 부산 해양산업은 생산유발효과가 부산 산업 중 높은 수준이나, 부가가치유발효과와 취업유발효과는 상위권이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기여도를 보였다.
해양산업의 최종수요가 아닌 시장의 최종수요에 따른 부가가치유발효과를 측정하여 부산 지역내총생산(GRDP)에서 부산 해양산업의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해양산업의 지역내총생산(GR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6%로 부산 전체 산업에서 5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 및 보험서비스업(5.65%), 건설업(4.86%) 등 주요 산업 대비 해양산업의 지역경제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산 해양산업의 지역내총생산(GRDP) 비중은 국가 해양산업의 국내총생산(GDP) 비중 3.4% 대비 높은 것으로 나타나, 국가에 비해 부산지역에서 해양산업이 가지는 중요성이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산 해양산업의 부가가치율 또한 국가 해양산업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해양과학기술산업과 해양 정보 및 금융산업의 부가가치율이 높기 때문에 전체 해양산업의 부가가치율이 상승하였다. 전통 해양산업의 경우에는 부가가치율이 부산 산업 내에서도 하위권에 머물러 부가가치율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부가가치 순이입 효과 측면에서는 부산 해양산업이 지역경제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부산 해양산업의 부가가치 순이입 금액은 부산 산업 중에서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산 산업 중 부가가치 순이입 효과가 있는 산업은 36개 산업 중 14개 산업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 5개가 해양산업이었다. 부산 해양산업 중 해양 정보 및 금융산업을 제외하고 모든 해양산업이 부가가치 순이입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해양산업이 국내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부산이 우리나라의 해양산업 중심지임을 확인하였다.
세부 산업별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부산 해양산업 중 가장 특화도가 높은 해운·항만산업은 부가가치율이 24.1%로 해양산업 중 가장 낮은 수준이며, 전체 산업 중에서는 30위 수준으로 부가가치율 제고가 필요하다. 해운·항만산업의 부가가치율이 낮은 이유는 중간투입에서 수입재의 비율이 47%로 매우 높기 때문이다. 국내 중간투입의 비율도 낮아 해운·항만산업의 생산유발계수도 낮은 수준이다. 해운·항만산업의 지역경제기여도 상승을 위해서는 국내 기업을 육성해 부산 해운·항만산업의 생산활동이 지역경제 활성화로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수산업과 조선업의 경우에는 중간투입에서 부산 산업에 의한 투입비율이 높아 생산유발계수와 영향력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두 산업의 활성화는 부산 산업의 활성화로 이어져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아직까지 최종수요가 상대적으로 작아 생산유발효과 측면에서는 순위가 낮았지만, 수산업은 소비와 수출, 조선업은 수출활동으로 최종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다. 수산업과 조선업은 부가가치 및 취업유발효과는 낮았는데, 이는 두 산업의 영세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며 산업체의 사업 확장을 위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해양관광산업 취업유발계수는 부산 전체 산업 중 6위로 해양관광산업의 최종수요가 증가한다면 지역의 고용 창출 효과가 더욱 클 것으로 분석된다. 해양관광산업의 경우에는 부산지역 산업에 의한 중간투입 비율이 가장 낮다. 부산 해양관광산업의 활성화가 부산 산업의 활성화로 이어지도록 환경조성을 위해서는 부산지역 해양관광산업과 부산산업 간의 비즈니스 네트워크 확대가 필요하다.
신해양산업으로 부산지역에 활성화 시키고자 하는 해양과학기술산업과 해양 정보 및 금융산업은 부가가치율과 부가가치유발계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까지는 최종수요가 작아 부산 지역경제에 기여하는 정도가 낮은 수준이지만, 산업 육성 정책으로 최종수요가 증가한다면 지역경제 활성화에 더욱 많이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델파이 기법의 이해와 적용사례, 강용주, EDI연구원, , 2008
2.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김안호, 기성래,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1집 제4호, pp141-160, , 2005
3. “IMF체제하의 해양산업 대응과제”, 정봉민, 한철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1998
4. “해양산업의 부가가치 추정연구”, 김근섭, 김은수, 해운물류학회 제32권 제1호, pp161-179, , 2016
5. “해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정동원, 황삼생, 사회과학연구 제31권 제1호, pp79-95, , 2012
6. “충남지역 해양산업 구조 분석 연구”, 김운수, 최경훈, 김화영, 한국항만경제학회 제 34권 2호, pp1-16, , 2018
7. “해양 기반 신국부 창출전략(1차연 도)”, 홍장원, 황진회, 엄선희, 임진수, 박광서, 황기형,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2009
8. “항만관련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정분도, 홍금우,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 25권 제3호, pp303-320, , 2009
9. “인천항 해양경제특별구역 도입에 관한 연구”, 김운수, 이명화, 인천발전연구원, , 2015
10. “항만이 해항도시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 우양호, 한국지방정부학회 제13권 제 3호, pp339-362, , 2009
1. 델파이 기법의 이해와 적용사례, 강용주, EDI연구원, , 2008
2.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김안호, 기성래,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1집 제4호, pp141-160, , 2005
3. “IMF체제하의 해양산업 대응과제”, 정봉민, 한철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1998
4. “해양산업의 부가가치 추정연구”, 김근섭, 김은수, 해운물류학회 제32권 제1호, pp161-179, , 2016
5. “해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정동원, 황삼생, 사회과학연구 제31권 제1호, pp79-95, , 2012
6. “충남지역 해양산업 구조 분석 연구”, 김운수, 최경훈, 김화영, 한국항만경제학회 제 34권 2호, pp1-16, , 2018
7. “해양 기반 신국부 창출전략(1차연 도)”, 홍장원, 황진회, 엄선희, 임진수, 박광서, 황기형,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2009
8. “항만관련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정분도, 홍금우,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 25권 제3호, pp303-320, , 2009
9. “인천항 해양경제특별구역 도입에 관한 연구”, 김운수, 이명화, 인천발전연구원, , 2015
10. “항만이 해항도시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 우양호, 한국지방정부학회 제13권 제 3호, pp339-362, , 2009
11. “신해양경제 시대를 선도하는 부산의 발전전 략”, 금성근, 송교욱, 허윤수, 김율성, 양윤옥, 부산발전연구원, , 2013
12. “항만도시성장의 관점에서 본 부산항 재개발 방향”, 이성우, 월간 해양수산 제263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2006
13. “해양수산업의 시장규모 및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정동원, 유승훈, 김요섭,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38(1), pp59-70, , 2016
14. “해양부문 신산업 발전을 위한 기반구축 방안 연구”, 황기형,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2012
15. “항만과 도시의 상생발전을 위한 항만활로 전략대안”, 류재영, 임영태, 국토정책 Brief 제258호, pp1-8, 국토연구원, , 2009
16. “해양GNP시대 실현 을 위한 해양기반 신국부 창출전략”, 김태일, 박광서, 최재선, 김민수, 홍장원, 안요한, 박문진, 마창모,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2010
17. “부산지역 해운항만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재조명”, 김상춘, 최봉호, 무역연구 제 11권 제1호, , 2015
18. “부산과 경남의 산업경쟁력: 입지계수와 변이할당분석”, 최동오, 이광배, 모수원, 무 역연구 제12권 제5호, pp309-323, , 2016
19. “손해보험산업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용재, 김사영, 보험학회지 제102권 제4호, pp1-38, , 2015
20. “울산지역 항만산업의 구조 및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 김상춘, 최봉호, 산업경제연 구 제21권 제2호, pp559-586, , 2008
21. “해양산업 발전을 위한 중앙권한 지방이양에 관한연 구”, 김상구, 허윤수, 이광남, 최성두, 부산발전연구원, , 2018
22. “지역산업연관분석을 통한 강원도 전략산업의 발전 방안”, 유원근, 최호영, 권일, 산 업경제연구 제27권 제6호, pp2533-2557, , 2014
23. “국제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우리나라의 Global Value Chain 분석”, 이우기, 홍영은, 이인규, 한국은행, , 2013
24. “입지계수분석을 통한 도시관광과 소매업 개발의 관계 연구”, 정은성, 김한수, 관광 경영연구 제17권 제4호, pp357-372, , 2013
25. “항만과 도시기능의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인천을 중심으로”, 이태휘, 여기태, 한국 항해항만학회 제36권 제1호, pp75-80, , 2012
26. “ 부산시 지역경제와 항만의 경제적 연계성 분석과 그 시사점”, 정봉민, 한국항만경 제학회지 제30권 제4호, pp199-217, , 2014
27.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부동산 산업의 경제적파급효과 분 석”, 이승재, 한종호, 이승철, 부동산연구 제19집 제1호, pp5-26, , 2009
28. “우리나라 부가가치 기준 무역의 분석-수상운송업을 중심으로”, 이건우, 이민규, 해 운물류연구 제30권 제1호(통권 81호), pp173-196, , 2014
29. “산업연관분석기법을 이용한 해양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윤동한, 해양정책연 구 제6권 제2호, , 1991
30.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해양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 석”, 유승훈, 장정인, 곽승준, 해양정책연구 제17권 1호, , 2002
31. “해항도시의 경제성장과 해양산업간의 관계: 부산시를 중심으로”, 강윤호, 우양호,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7권 제6호, pp627-635, , 2013
32. “항만물류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부산, 인천, 울산을 대상으 로”, 이기열, 이민규, 해운물류연구 제32권 제2호(통권 90호), pp299-320, , 2016
33. “해양과학기술 전문인력양성 정책연구: 해양신산업분야 전문 인력을 중심으로”, 안요한, 한기원, 현우용,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2013
34. “항만폐쇄의 국가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수요유도형 모형과 공급유 도형 모형의 적용”, 이민규, 김의준, 해운물류학회 제31권 제4호(통권 88호), pp839-861, , 2015
35.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물류산업 발전에 관한 연구: 부산의 항만물류산업 을 중심으로”, 김용민, 물류학회지 제24권 제4호, pp51-71, , 2014
36. “컨테이너 화물처리에 따른 부산지역 경제기여도 원단위 산정 연구: 해상부분을 중심으로”, 김율성, 허윤수,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3권 제3호, pp207-213, , 2009
37. “지역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항만물류산업의 성장요인 분석: 부산, 울산, 인천을 대상으로”, 김소연, 류수열, 무역연구 제13권 제3호, pp693-712, , 2017
38. “지역대학의 지역내총생산 유발효과 분석: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상지대 학교 사례 연구”, 황신준, 질서경제저널 제18권 1호, pp21-44, ,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