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설 평점비평방법론의 경전으로의 도입 : 청대에 출현한 『맹자』 주석서 = Fiction-style Commentaries(pingdian 評點) on the Confucian Classics: Commentaries on the Mencius from the Qing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510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청대에 『맹자』에 대한 평점주석서들이 출현하게 된 배경과 소설 평점비평방법론과의 관계를 밝히며, 나아가 청대에 간행된 16종의 수사학적 『맹자』 주석서들을 개관하고...

      본고의 목적은 청대에 『맹자』에 대한 평점주석서들이 출현하게 된 배경과 소설 평점비평방법론과의 관계를 밝히며, 나아가 청대에 간행된 16종의 수사학적 『맹자』 주석서들을 개관하고 그 비평적 특징을 究明하는 것이다. 청대 수사학적 『맹자』 주석서는 문학비평의 한 방법론인 評點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평점비평은 남송대부터 유행하였지만, 경전 주석서에서 평점이 활용된 것은 명대 중기 이후인데, 당시 소설 평점비평의 유행이 경전 주석에 영향을 미친 결과이다. 다만 청대 수사학적 『맹자』 주석서는 맹자를 ‘化工’이라 하며 그 글쓰기 역량을 극도로 존숭한 반면, 명・청대의 소설 평점비평에서 작품 원문을 거침없이 개작하는 등 본질적인 차이가 있다. 본고에서 고찰한 청대 수사학적 『맹자』 주석서의 비평적 특징은 첫째, 圈(◦)과 點(⎖) 등 다양한 부호를 사용하였다는 점, 둘째, 蘇洵과 魏禧, 그리고 姚永概 등 이전 주석가들의 문학비평을 인용・집설하였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두 특징은 청대에 들어 평점비평이 소설 분야뿐만이 아니라 경전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도 그만큼 안착하고 성숙하였음을 방증한다. 경전에 대한 평점비평과 그 성숙은 서구에서 발견하기 어려운 중국만의 독특한 특징이다. 본고에서 밝힌 전근대 중국에서 평점을 활용한 다수의 『맹자』 주석서가 존재・발전하였다는 사실은 ‘과연 평점비평이 소설 등 순문학만이 갖는 전유물이었는가.’라는 의문을 제기한다. 한문학에서 評點 등 문장 비평을 논할 때 소설과 시에만 국한하지 않고 경전으로 논의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fiction-style commentaries (hereafter, pingdian 評點) on the Mencius 孟子 from the Qing dynast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fiction criticism. In doing so, I compare Qing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fiction-style commentaries (hereafter, pingdian 評點) on the Mencius 孟子 from the Qing dynast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fiction criticism. In doing so, I compare Qing commentaries with stylistic commentaries from the Song and Ming dynasties and literary criticism of fiction. The main characteristic of rhetorical commentaries on the Mencius that appeared in the Qing dynasty is the use of pingdian. This suggests an interesting convergence with fictional commentary because pingdian in the Ming-Qing periods was mainly used to critique the literary features of fiction. Though popular already from the Southern Song, such reader commentary developed and matured into the fiction commentary known from the middle of the Ming dynasty onward. The fashion for fiction commentary prompted scholars to utilize pingdian in commentaries on the Confucian Classics. However, the fact that Mencius is referred to as “natural feats endowed by Heaven (huagong 化工)” and that his compositional skill is highly revered reveals an essential difference from the unabashed rewriting of original works found in Ming-Qing commentaries on fiction. The two other features of rhetorical commentaries on the Mencius from the Qing dynasty discussed in this paper are: (1) they include the use of various marks such as circles (quan 圈; ◦) and dots (dian 點; ⎖), and (2) they cite the literary criticism of previous scholars, for examples, Su Xun 蘇洵 (1009~1066), Wei Xi 魏禧 (1624~1681), and Yao Yonggai 姚永概 (1866~1923). These two characteristics demonstrate that pingdian of the Classics acquired the same stability and maturity as literary criticism of fiction. Pingdian and its maturity appear to be unique to China, and are hardly found in the West. The fact that many of the rhetorical commentaries on the Confucian Classics using pingdian were developed during the pre-modern period begs an important question - “Was pingdian a methodology uniquely for literary criticism of fiction?” To answer this question, we need to expand the object of discussion away from fiction to the Confucian Classic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문제제기 2. 『맹자』에 대한 수사학적 접근과 평점비평 3. 청대 『맹자』 평점주석서의 개관과 그 특징 4. 결 론
      • 1. 문제제기 2. 『맹자』에 대한 수사학적 접근과 평점비평 3. 청대 『맹자』 평점주석서의 개관과 그 특징 4. 결 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민정, "한・중・일의 수사학적 경전해석: 맹자 주석서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2019

      2 심경호, "한문한문미학" 고려대학교출판부 2013

      3 "동양고전종합DB"

      4 임형택, "동아시아 서사학의 전통과 근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5

      5 蘇洵, "載詠樓重鐫硃批孟子" 하버드대학교 소장본

      6 羅劍波, "論文學評點之興" (1) : 2019

      7 張伯偉, "評點四論" (2) : 2001

      8 劉希載, "藝槪" 漢京文化事業公司 1985

      9 中國科學院圖書館 整理, "續修四庫全書總目提要: 經部" 中華書局 2013

      10 蔣伯潜, "經與經學" 九州出版社 2011

      1 유민정, "한・중・일의 수사학적 경전해석: 맹자 주석서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2019

      2 심경호, "한문한문미학" 고려대학교출판부 2013

      3 "동양고전종합DB"

      4 임형택, "동아시아 서사학의 전통과 근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5

      5 蘇洵, "載詠樓重鐫硃批孟子" 하버드대학교 소장본

      6 羅劍波, "論文學評點之興" (1) : 2019

      7 張伯偉, "評點四論" (2) : 2001

      8 劉希載, "藝槪" 漢京文化事業公司 1985

      9 中國科學院圖書館 整理, "續修四庫全書總目提要: 經部" 中華書局 2013

      10 蔣伯潜, "經與經學" 九州出版社 2011

      11 江志豪, "牛運震之文章評論學" 香港中文大學 2004

      12 李畅然, "淸代 孟子 學史大綱" 北京大學出版社 2011

      13 김대중, "楓石鼓篋集 의 評語 연구" 서울대 2005

      14 張伯偉, "東亞視野下的經學與文學: 以 孟子 在中韓歷史上的影響爲中心" 2017

      15 黎靖德, "朱子語類" 中華書局 2004

      16 林 崗, "明清之際小說評點學之研究" 北京大學出版社 1999

      17 劉勰, "文心雕龍" 商務印書館 1930

      18 姚鼐, "惜抱軒文集" 上海書店 1926

      19 張秋娥, "宋代文章評點研究" 武漢大學 2010

      20 朱熹, "孟子集注" 동양고전종합DB

      21 趙岐, "孟子章句" 中華書局 1998

      22 蘇洵, "增補蘇批孟子" 성균관대학교 존경각본

      23 李贄, "四書評" 성균관대학교 존경각본

      24 吳承學, "四庫全書與評點之學" (1) : 2007

      25 紀昀 總纂, "四庫全書總目提要" 河北人民出版社 2000

      26 龔鹏程, "六經皆文: 經學史/文學史" 臺灣學生書局有限公司 2008

      27 "中華古籍書目數據庫"

      28 孫琴安, "中國評點文學史" 上海社會科學院 1999

      29 龔鹏程, "中國文學史 上" 世界圖書出版公司 2015

      30 中國古籍總目編纂委員會, "中國古籍總目" 中華書局 2012

      31 蘇洵, "三蘇全書 卷19" 語文出版社 2001

      32 담범, "[단행본] 中國小說評點硏究" 華東師範大學出版社 2001

      33 Rolston, David L, "Traditional Chinese Fiction and Fiction Commentary:Reading and Writing Between the Lines ,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7

      34 유민정, "New Trends in Commentary on the Confucian Classics: Characteristics, Differences, and Significance of Rhetorically Oriented Exegeses of the Mengzi" 한국학연구원 21 (21): 503-524, 2018

      35 Huang, Martin W, "Author(ity) and Reader in Traditional Chinese Xiaoshuo Commentary" 16 :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Http://Www.Daedonghanmunhak.Co.Kr -> http://www.daedonghanmun.or.kr/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1 1.49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