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작품은 연출자 본인이 동의대학교 대학원 영화·영상콘텐츠학과와 프랑스 국립 귀스타브 에펠 대학 (구 파리-에스트 대학) 웹문화기술대학원 간석사과정 복수학위 취득을 위해 연출한 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780904
부산 :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1
학위논문(석사) -- 동의대학교 대학원 , 영화·영상콘텐츠학과 다큐멘터리 전공 , 2021. 2
2021
영어
326.73 판사항(5)
부산
vi, 11 p. : 삽화 ; 26 cm + 비디오디스크(DVD) 1매
동의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차민철
I804:21010-20000037767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작품은 연출자 본인이 동의대학교 대학원 영화·영상콘텐츠학과와 프랑스 국립 귀스타브 에펠 대학 (구 파리-에스트 대학) 웹문화기술대학원 간석사과정 복수학위 취득을 위해 연출한 다...
이 작품은 연출자 본인이 동의대학교 대학원 영화·영상콘텐츠학과와 프랑스 국립 귀스타브 에펠 대학 (구 파리-에스트 대학) 웹문화기술대학원 간석사과정 복수학위 취득을 위해 연출한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특히, 연출자 본인이 프랑스인 유학생으로서 경험하고 느낀 2020년 한 해의 기억을 영화적으로 재현하고자 하였다.
형식적 측면에서는 ‘도시 교향곡’ 스타일의 실험 다큐멘터리와 일기 형식의 사적 다큐 에세이라는 두 가지 형식의 조합을 통해 영화적 형식 실험을 시도했다. 영상과 더불어 사운드적 실험도 동시에 진행하였으며, 시점의 변주, 내레이션을 위한 표현 전략, 영상 및 이미지 결합 등 다양한 층위의 형식 실험을 통해 영화적 주제를 재현하고자 했다. 아방가르드 영화 거장 요나스 메카스와 다비드 페를로프의 영화에서 많은 영감을 받았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라는 객관적, 외부적 현상과 그에 관한 개인적 성찰이라는 주관성의 영역이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어떤 방식으로 확장되고 재현될 수 있는지를 탐구하고자 했다.
이 영화는 나를 기억하기 위한 것이며 동시에 나의 기억들을 창조하기 위한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work is my graduation film for obtention of Dual Master’s Degree between Department of Cinema & Audiovisual Contents of Graduate School at Dong-eui University and Master Cultures et Métiers du Web at Gustave Eiffel University (formerly Par...
This work is my graduation film for obtention of Dual Master’s Degree
between Department of Cinema & Audiovisual Contents of Graduate School
at Dong-eui University and Master Cultures et Métiers du Web at Gustave
Eiffel University (formerly Paris-Est Marne-la-Vallée University). In this
documentary film, I attempted to recreate and represent my memories of the
year 2020 I experienced and felt as a French student in Korea.
In terms of formality, this film tried to experiment in cinematic form
through a combination of two forms - an experimental documentary in the
style of “City Symphony” and a personal documentary essay in the form of
a diary. In addition, sound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the same time,
and the subject of the film was recreated through various levels of formal
experiments such as variation of viewpoint, expression strategy for narration,
and combination of various layers of images. By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Jonas Mekas or even David Perlov, I wanted to open my diary and
reveal my feelings about the year 2020.
The objective and external phenomena of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and the subjective sphere of personal introspection on it could be
expanded and represented through the medium of film.
It is a film to remember me but also to create my memories.
목차 (Table of Contents)